• 제목/요약/키워드: treated sewag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1초

하수슬러지의 열처리에 의한 가용화효과 및 고온산발효의 분해효율에 미치는 영향 평가 (Effect of Heat Treatment of Sewage Sludge on Solubilization and Thermophilic Acid fermentation efficinecy)

  • 박용진;쓰노 히로시;히다카 타이라;김석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2호
    • /
    • pp.89-9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의 가용화를 위한 처리공정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열처리에 의하여 입자상 유기성분의 가용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120^{\circ}C$ 30분의 열처리에 의하여 1차 슬러지의 경우 COD기준 8.3%의 가용화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2차슬러지의 경우 16.5%의 높은 값을 보여주었고 이는 단백질의 높은 가용화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든 슬러지에 대하여 열처리에 따른 분해율 및 유기산 생성율의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단 산발효 실험을 통하여 최적 열처리조건은 대상 기질의 유기물 조성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았던 1차슬러지의 경우 $80^{\circ}C$ 30분의 열처리를 통하여 최대의 분해율과 유기산 생성효과를 얻었으며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던 2차 슬러지의 경우 $120^{\circ}C$ 30분이 최적의 열처리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직렬연결 수직 및 수평 흐름 갈대 제올라이트 인공습지에 의한 생활하수 처리 (Evaluation of Combined Vertical and Horizontal Flow Zeolite-Filled Reed Bed with Intermittent Feeding for Sewage Treatment)

  • 서정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5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렬연결 수직 및 수평 흐름 갈대 제올라이트 인공습지에 생활하수를 간헐적으로 주입하였을 때 처리효율을 조사하는 것이다. 각 항목별 유입수에 대한 평균 처리효율은 수직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에서 BOD 92.42%, $COD_{Cr}$ 79.02%, $COD_{Mn}$ 80.62%, SS 98.33%, T-N 37.06%, $NH{_4}^+-N$ 99.45%, T-P 57.96%이었으며 수평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에서 BOD 95.56%, $COD_{Cr}$ 91.02%, $COD_{Mn}$ 87.78%, SS 99.22%, T-N 45.87%, $NH{_4}^+-N$ 99.88%, T-P 71.17%이었다. 최종 유출수 중 T-N은 대부분이 $NO{_3}^--N$이었으며 $NO{_2}^--N$은 평균 0.04mg/L 이하이었다. 특히, 갈대 제올라이트 인공습지는 SS와 $NH{_4}^+-N$의 처리에 탁월하였다.

소각재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제조 (Preparation of Multi-functional Brick Using MSWI Fly Ash)

  • 반효진;박은주;이우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1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각재와 하수슬러지, 용융슬래그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벽돌을 대신 할 수 있는 건축외장재를 제조하고,사용 재료의 혼합비와 소성온도 등 적정 제작 조건을 도출하고자 한다. 외장재 제조는 재료를 각 비율별로 성형하여 상온과 $160^{\circ}C$에서 각각 24시간 동안 건조 후 1,080~$1,130^{\circ}C$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였다. 소성한 다음 제조한 외장재 시편의 압축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였으며, 소각재의 함유량이 적을수록, 용융슬래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외장재 제조 적정조건은 소각재 : 용융슬래그 : 하수슬러지 : 점토의 비율이 10 : 20 : 5 : 65로 제조된 시편을 $1,115^{\circ}C$에서 소성한 시편의 압축강도가 41 MPa 이상으로 나타나 외장재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한 외장재의 중금속 용출실험결과 환경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 흐름 제올라이트 갈대 여과상에 의한 생활하수 처리 (Vertical Flow Zeolite-Filled Reed Bed with Intermittent Feeding for Sewage Treatment)

  • 서정윤
    • KSBB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02-108
    • /
    • 2007
  • 제올라이트로 충진된 수직 흐름 갈대 여과상에 인공하수를 주입하면서 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여과상 표면적 $m^2$당 1일 314 L의 인공하수가 6시간마다 10분 동안 간헐적으로 주입되었다. 처리수의 pH는 원수보다 감소하였으며, 용존산소 농도는 원수보다 증가하였다. 수직 흐름 여과상에서 각 항목별 연중 평균 처리효율은 SS 89.9%, $COD_{Cr}$ 86.1%, $COD_{Mn}$ 81.2%, BOD 93.3%, T-N 34.0%, $NH_4^+$-N, 97.3%,T-P 34.6%이었다. 처리수 중 T-N의 대부분은 $NO_3^-$-N이었으며 $NO_2^-$-N의 농도는 0.10 mg/L 이하이었다. 처리효율의 계절적 차이는 없었다. 수직 흐름 칼럼실험에서 여재인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인의 형태별 함량은 모든 깊이에서 Ca-P > Fe-P > 환원가용성 Fe-P > Occluded p > Saloid P > Al-P 순이었다. 여과상 깊이별 Al-P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인화합물의 함량은 위층일수록 높았으며, 함량 비율은 깊이가 깊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유기물 함량도 상층 (0$\sim$5 cm 깊이)에 가장 높았으며, 그 이하의 깊이에서는 별 변화가 없었다. 가동기간이 경과할수록 모든 깊이에서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다.

도시 생활하수 슬러지의 퇴비화를 위한 부숙공정지표 설정 (Development of Operating Parameters for Composting of Municipal Sewage Sludge)

  • 이홍재;조주식;최형섭;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2-389
    • /
    • 1997
  • 하수슬러지를 퇴비화하여 농지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형 퇴비화조에서의 하수슬러지에 수분조절제로 톱밥 또는 왕겨를 사용하여 미생물 처리유무, 초기 C/N율, 공기 및 초기 수분함량조절등 조건을 달리 처리하여 퇴비화과정중 온도변화 및 $CO_2$발생량 등을 조사함으로써 하수슬러지의 최적 퇴비화조건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비화과정중 온도는 퇴비재료에 미생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높았으며, 수분조절제로 왕겨를 사용한 경우가 톱밥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온도가 높았다. 또한 퇴비재료의 초기 C/N율을 21${\sim}$22, 공기주입량을 $200ml/l\;{\cdot}\;min$., 초기수분함량을 64${\sim}$65%로 조절하였을 경우가 전반적으로 다른 조건에 비하여 온도가 높았다. 퇴비화과정중 $CO_2$발생량은 퇴비화 재료에 미생물을 처리하였을 경우가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많았고, 수분조절제로 톱밥을 사용한 경우가 왕겨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많았다. 초기 C/N율을 21${\sim}$40으로 조절하였을 경우에 12${\sim}$14로 조절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CO_2$발생량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하수슬러지 퇴비화의 최적조건은 퇴비원료에 미생물을 5%정도 첨가하고, 초기 C/N율을 약 21${\sim}$22로, 퇴비화조내 공기주입량은 $200ml/l\;{\cdot}\;min$.로, 그리고 초기 수분함량은 64${\sim}$65%로 각각 조절하는 것이라 판단되었다.

  • PDF

제주시 정수장 처리수의 급수과정별 수질변화 특성 (Water Quality Change Characteristics of Treated Water in Distribution System of Water Treatment Plant of Jeiu City)

  • 한경용;이민규;정호진;감상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9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the water quality change characteristics of treated water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of Water Treatment Plants (WTPs) of Jeju City. For this, the raw water, treated water and tap water that did not pass (named as not pass-tap water) and passed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named as pass-tap water) were sampled and analyzed monthly from September 2001 to August 2002, for four (W, S, B and O) WTPs except for D WTP (where treated water is not supplied continuously) among WTPs of Jeju City. The concentrations of $NO_3^-$ and $Cl^-$ of treated water in distribution systems changed little, but changed seasonally, which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quality of raw water. The pH of treated water changed little in distribution systems for S WTP, but for the other WTPs, the pH of not pass-tap water was similar to that of treated water and the pH of pass-tap water was higher than that of treated water. The turbidity of treated water in distribution systems changed little except for W2 of W WTP and S4 and S5 of S WTP, where it was higher than that of each treated water.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between treated water and not pass-tap water changed little, but those between treated water and pass-tap water changed greatly, based on the its long residence time in water storage tank and so its reaction with organic matter, etc or its evaporation. The concentrations of TTHMs (total trihalomethanes) and $CHCl_3$ that induce cancer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of these WTPs, were much lower than their water quality criteria and those in other cities. The concentrations of TTHMs of treated water and not pass-tap water were similar, but concentrations of pass-tap water were 1.5 to 2.0 times higher than those of treated water and not pass-tap water, due to the reaction of residual chlorine and organic matter, etc, with the result of long residence time in water storage tank.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직접접촉식 막증발법 적용 가능성 연구 (A Feasibility Study on Sewage Discharge Water Treatment for Water Reuse by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 최용준;최지혁;신용현;조형락;손진식;이상호
    • 멤브레인
    • /
    • 제26권1호
    • /
    • pp.70-7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직접 접촉식 막증발법을 적용하여 원수 온도와 원수 유량 변화에 따른 하수처리수의 COD, TN, TP, TOC의 제거율 변화와 여과플럭스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하수처리수에 의한 분리막의 오염 가역성을 평가하기 위해 1차 증류수만을 사용하여 물리세정을 수행한 후 플럭스의 회복률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원수의 온도 및 유량에 관계없이 원수가 3배 농축될 때까지 여과를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하수처리수의 주요 오염물질인 COD, TN, TP, TOC에 대한 제거율이 92%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교적 낮은 온도인 $50^{\circ}C$$60^{\circ}C$에서 원수의 유량에 따라 최소 13.8 LMH에서 20.3 LMH로 높은 여과플럭스를 나타냈다. 그리고 높은 농축계수까지 여과 실험을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여과플럭스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1차 증류수를 이용한 짧은 시간 동안의 물리세정만으로 최소 90% 이상의 높은 여과 플럭스 회복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공정으로 막증발법의 적용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성 폐기물 장기시용 후 토양에서 무 (Raphanus sativus cv. sodamaltari)의 중금속 흡수 (Uptake of Heavy Metals by Radish (Raphanus sativus cv. sodamaltari) from the Soils after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Wastes)

  • 권순익;장연아;김계훈;정구복;김민경;황해;채미진;김권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5-72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long-term effects of organic waste treatments on the fate of heavy metals in soils originated from the organic wastes and consequent uptake of heavy metals by plant, together with examination of changes in soil properties and plant growth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soils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organic wastes (municipal sewage sludge, alcohol fermentation processing sludge, pig manure compost) at three different rates (12.5, 25.0, 50.0 ton $ha^{-1}yr^{-1}$) for 7 years (1994 - 2000) were used. To see the long-term effect, plant growth study and soil examination were conducted twice in 2000 and 2010, respectively. There was no additional treatments of organic wastes for 10 years after the organic waste treatment for 7 years. Compared to plant growth examination conducted in 2000 using radish (Raphanus sativus cv. sodamaltari), it appeared that height, root length and diameter, fresh weight of radish grown in 2010 decreased in the plots treated with municipal sewage sludge and alcohol fermentation processing sludge and that the extent of decrease was higher with increase of sludge application rates. On the other hand, pig compost treatment increased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diameter, fresh weight with increasing application rates. Cu and Pb concentrations in radish root and leaves increased in 2010 compared to those in 2000 while Ni concentrations in root and leaves decreased. Z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only in the soils treated with pig manure compo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heavy metal species fractions in soils, soil pH, and metal concentrations in radish root and leaves indicated that the metal uptake by radish was governed mainly by the soil pH and subsequent increase of available heavy metal fractions in soils with organic waste treatments.

리스테리아증과 Listeria monocytogenes (Listerios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 Bahk, Jae-Rim;Elmer H. Mart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34-644
    • /
    • 1989
  • Listeria monocytogenes, one of five species in the genus Listeria and the only one currently believed to be pathogenic for humans, is a small gram-positive, nonsporeforming, aerobic, motile and hemolytic rod-shaped bacterium. The bacterium is widespread in the environment, having been isolated from soil, dust, animal feed, water, sewage, almost every type of animal that has been cultured, and asymptomatic humans. L. monocytogenes causes listeriosis, a disease which most often affects humans with a compromised immune system. Included are pregnant woman, infants and adults suffering from such diseases as cancer, cirrhosis of liver or AIDS or are being treated with drugs such as corticosteroids. Listeriosis is manifested by such syndromes as pregnancy infections, granulomatosis infantiseptica, sepsis, meningoencephalitis, and focal infections. Infections, can be treated successfully with penicillin, ampicillin, or erythromycin. However, a mortality rate of about 30% has occurred in outbreaks of listeriosis. Food-associated outbreaks of listeriosis have been attributed to coleslaw (Canada, 1981), pasteurized milk (U.S., 1983), and soft cheese (U.S., 1985). Presence of L. monocytogenes in various dairy foods has prompted recall of such products from the U.S. market-place. L. monocytogenes also has been found in raw meats and seafood.

  • PDF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고농축 잉여슬러지의 열적가용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mal Solubilization Characteristics of Highly Thickened Excess Sludge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김은혁;박명수;구슬기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4호
    • /
    • pp.5-13
    • /
    • 2022
  • 현대의 환경문제는 다량의 폐기물의 발생과 무분별한 에너지의 소비로 인한 환경오염이 가속화 되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에너지 생산 연료인 화석연료는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연소가 이루어져 다량의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최종적으로 기후변화를 야기한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처리하는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는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 및 감량화이다.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해양매립이 전면 금지된 이후로 다양하게 처리되고 있으나, 그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수슬러지는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혐기소화를 통하여 하수슬러지를 에너지화 하고 최종 배출되는 폐기물을 감량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잉여슬러지의 경우 대부분이 하수처리에 이용되었던 미생물 덩어리로써 잉여슬러지가 혐기성소화 되기 위해서는 먼저 미생물의 세포벽이 파괴되어야 하는데 세포벽 파괴에는 많은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혐기성 소화 과정만으로는 높은 바이오가스 생산율이나 폐기물 감량율을 달성할 수 없다. 따라서 잉여슬러지를 가용화하는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며, 여러 가지 가용화 공법 중에서 열적 가용화 공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검증되었고, 혐기성소화 공정의 전처리 과정으로써 열적가용화 공정을 이용하여 잉여슬러지에 포함된 세포벽을 파괴한 후 전처리 된 잉여슬러지를 혐기성소화 함으로써 높은 바이오가스 생산율과 폐기물 감량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적 가용화장치를 통하여 TS 10%의 농축 잉여슬러지를 전처리하는데 있어서 체류시간 및 운전온도 변수에 따른 가용화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적 가용화장치의 체류시간에 대한 실험변수는 운전온도를 160 ℃로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 30분, 60분, 90분, 120분이었다. 실험 결과로 도출된 TCOD와 SCOD를 통해 계산된 가용화율은 각각 12.11%, 20.52%, 28.62%, 31.40%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운전온도에 따른 변수는 반응시간을 60분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각각 120℃, 140℃, 160℃, 180℃, 200℃였으며 가용화율은 각각 7.14%, 14.52%, 20.52%, 40.72%, 57.85% 순으로 증가하였다. 이 외에 TS, VS, T-N, T-P, NH4+-N, VFAs를 분석하여 농축 잉여슬러지를 대상으로 하는 열적 가용화 특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 했으며, 그 결과 TS 10%의 농축 잉여슬러지에 대한 열적 가용화를 통하여 30% 이상의 가용화율을 얻기 위해서는 운전온도를 160℃로 고정할 경우 120분의 체류시간이 필요하며, 운전시간을 60분으로 고정할 경우 170℃ 이상의 운전온도가 요구되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