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arent soil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9초

Visualization of bulging development of geosynthetic-encased stone column

  • Zhou, Yang;Kong, Gangqiang;Peng, Huaifeng;Li, Chunhong;Qin, Hongy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8권3호
    • /
    • pp.329-337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about visualization of bulging development of geosynthetic-encased stone column (GESC) based on the digital image correlation (DIC) technique and transparent soil. Visual model tests on GESC and ordinary stone column (OSC)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delete the warping effect resulting from transparent soil and experiment setup, a modification for experiment results was performed. The bulging development process of the GESC and the displacement field of the surrounding soil were measured.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results, it demonstrates that the model test system developed for studying the continuous bulging development of GESC is suitable. The current test results show that the bulging depth of GESC ranges from 1.05 to 1.40 times the diameter of GESC. The influence depth of GESC bulging on surrounding soil displacement is 0~3 the times diameter of GESC.

Characterization of face stability of shield tunnel excavated in sand-clay mixed ground through transparent soil models

  • YuanHai Li;XiaoJie Tang;Shuo Yang;YanFeng Di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3권5호
    • /
    • pp.439-451
    • /
    • 2023
  • The construction of shield tunnelling in urban sites is facing serious risks from complex and changeable underground conditions. Construction problems in the sand-clay mixed ground have been more reported in recent decades for its poor control of soil loss in tunnel face, ground settlement and supporting pressure. Since the limitations of observation methods, the conventional physical modelling experiments normally simplify the tunnelling to a plane strain situation whose results are not reliable in mixed ground cases which exhibit more complicated responses. We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study of the mixed ground tunnel through which mixed lays are simulated with transparent soil surrogates exhibiting different mechanical properties. An experimental framework for the transparent soil modelling of the mixed ground tunnel was established incorporated with the self-developed digital image correlation system (PhotoInfor). To understand better the response of face stability, ground deformation, settlement and supporting phenomenon to tunnelling excavation in the sand-clay mixed ground, a series of case studies were carried out comparing the results from cases subjected to different buried depths and mixed phenomen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formation mode, settlement and supporting phenomenon vary with the mixed phenomenon and buried depth. Moreover, a stratigraphic effect exists that the ground movement around mixed face reveals a notable difference.

Visualization analysis of the progressive failure mechanism of tunnel face in transparent clay

  • Lei, Huayang;Zhai, Saibei;Liu, Yingnan;Jia, Ru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9권2호
    • /
    • pp.193-205
    • /
    • 2022
  • The face stability of shield tunnelling is the most important control index for safety risk management.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transparent clay (TC) model test, a series of TC model tests under different buried depth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gressive failure mechanism of tunnel face. The support pressure was divided into the rapid descent stage, the slow descent stage and the basically stable stage with company of the local failure and integral failure in the internal of the soil during the failure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pressure and the soil movement characteristics of each failure stage was defined. The failure occurred from the soil in front of the tunnel face and propagated as the slip zone and the loose zone. The fitted formulas were propo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failure process. The failure mode in clay was specified as the basin shape with an inverted trapezoid shape for shallow buried and appeared as the basin shape with a teardrop-like shape in deep cas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could help in the safety risk management of the underground construction.

우리 나라 남부지역에서 강황 (Curcuma longa L.)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in Southern Part of Korea)

  • 최성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5-88
    • /
    • 2004
  •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온난한 남부 도서지역인 진도지방에서 강황의 멀칭재배를 실시한 바, 진도지역에서 강황을 4월 30일 정식할 경우 4주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0{\sim}88%$이었다. 강황의 초장은 $97{\sim}137\;cm$로서 1주의 근경중은 $759{\sim}983\;g$ 이었으며, 10a 당 수량은 약 $3,567{\sim}4,620\;kg$이였다. 강황의 재배시 초장은 무피복에 비하여 멀칭재배에서 크고, 멀칭은 PE 필름에서 생장이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진도에서 강황을 PE 필름으로 멀칭 재배할 경우 어느 정도 수확이 가능하였다. 특히 흑색 PE 필름으로 밀칭채대를 하면 근경이 비대 되고, 영농의 가장 큰 장해요인인 잡초도 방제할 수 있어 농가에 장려할 만한 재배법으로 판단된다.

나무이끼의 투명컵 재배시 용토 및 습도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t Soil and humidity on Growth for Transparent Cup Cultivation of Climacium japonicum Lindb)

  • 서종택;류승열;유동림;남춘우;허윤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9-385
    • /
    • 2010
  • 농가현장에서 이끼재배에 활용할 수 있는 기존의 연구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분화식물로서 관상가치가 높은 나무이끼의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투명용기 재배시 토양 습도, 적정 공기노출 정도구명, 적정 용토 구명, 지피용 이끼선발 등 상품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나무이끼의 투명용기 재배시 용기내에 수분을 적습(수분 60~80%)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으며 용토는 피트모스:펄라이트(7:3)의 상토에서 좋았고 공기노출 정도에 있어서는 완전밀폐와 10% 노출에서 생육이 좋았다. 용기의 공기유통 정도를 나타내는 천공형태는 상부천공 2구에서 생육이 좋고 내부에 습기가 맺히지 않았다. 투명 용기내의 적정 용토는 수태, 피트모스, 피트모스+펄라이트 구에서 생육이 좋았으나 수태는 가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피트모스나 피트모스+펄라이트 상토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무이끼와 어울릴 수 있는 지피용 이끼로는 솔이끼, 편평털깃털이끼, 깃털이끼, 털깃털이끼, 아기초롱이끼, 은이끼, 가는털깃털이끼, 표주박이끼, 흰털이끼, 꼬마이끼 등 10종 모두 초장이 0.7~2.7 cm로 나무이끼보다 1 cm이상 작아 지피용으로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Vinyl mulching에 의(依)한 증발산량(蒸發散量) 및 토양수분(土壤水分)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Changes in Evapotranspiration and Soil Water Status to Vinyl mulching)

  • 엄기철;손응룡;류관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0-106
    • /
    • 1990
  • 비닐피복(被覆) 고추재배(栽培)에 있어서 토양수분(土陽水分)과 증발산량(蒸發散量)의 변화(變化) 그리고 물이용효율(利用效率)이 어떻게 달라지는가 하는 것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흑색 및 투명비닐을 이용(利用)하여 피복(被服)정도를 달리하면서 1982~83 2년간(年間) 사양토포장(砂壤土圃場)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근권(根圈)의 토양수분(土壤水分) potential은, 일반적(一般的)으로 비닐피복구(被覆區)가 무피복구(無被覆區)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나, 한발(旱魃)이 약 25일(日) 정도 지속되면 반대(反對)로 투명비닐피복구(被覆區)가 무피복구(無被覆區)보다 20cm깊이까지의 토양수분(土陽水分) potential이 낮아졌다. 2. 흑색비닐피복구(被覆區)의 토양수분(土壤水分) potential는 한발(旱魃)이 6주(週)정도 지속되었어도 투명비닐피복구(被覆區)나 무피복구(無被覆區)보다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동안 높게 유지되었다. 3. 사양토(砂壤土)에서 한발(旱魃)이 계속될때 무피복구(無被覆區)에 비(比)하여 투명비닐피복(被覆)에 의(依)한 10 cm, 20 cm, 30 cm 및 50 cm깊이까지의 토양수분보존효과(土壤水分保存效果)가 지속될 수 있는 기간(期間)은 각각(各各) 2주(週), 3주(週), 5주(週) 및 6주(週) 정도이었다. 4. 한발기간(旱魃期間)동안 무피복구(無被覆區)에서는 토심별(土深別) 물소모량(消耗量)이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비닐피복구(被覆區)에서는 한발(旱魃)이 지속될수록 표층토(表層土)보다는 심층토(深層土)에서의 물소모량(消耗量)이 더 많았다. 5. 증발산량(蒸發散量)은 건기(乾期)에는 투명비닐피복구(被覆區)가, 우기(雨期)에는 무피복구(無被覆區)가 더 많았으며, 흑색비닐피복구(被覆區)와 무피복구(無被覆區) 간(間)에는 별 차이(差異)가 없었다. 6. 포장재배기간중(圃場栽培期間中) 비닐피복구(被覆區)와 무피복구간(無被覆區間) 평균(平均) 증발산량(蒸發散量)(mm/day)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물이용효율(利用效率)은 비닐피복구(被覆區)에서 크게 증가(增加)되었으며 부분(Top) 피복구(被覆區)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

남부 도서지역에서 황칠나부의 주요형질에 미치는 멀칭재료의 효과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Agronomic Chracteristics of Dendropanox morbifera LEB. In Southern Area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7-181
    • /
    • 1996
  •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생육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멀칭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멀칭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과 지온은 무멀칭가 짚피복에 비하여 투명 P.E 멀칭과 검정 P.E 멀칭이 높은 경향이었다. 황칠나무의 재배시 Pot 육묘한 $2\sim3$년생의 묘목을 이식재배 할 경우, 투명 P.E 벌칭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추기 생장이 촉진되어 알맞은 멀칭재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Pot 육묘한 묘목의 투명 P.E 멀칭재배시 잡초의 발생이 증가됨으로 멀칭이 반드시 재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력의 부족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검정 P.E 멀칭재배는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어 투명 P.E 멀칭재배보다 잡초의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권장할 만한 멀칭재로로 생각된다.

  • PDF

지표면 멀칭재료가 지온과 사과나무 묘목의 수체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aterials for Surface Mulching on Soil Temperature and Vegetative Growth of Apple Nursery Trees)

  • 사공동훈;이수진;한수곤;윤태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
    • /
    • 2011
  • 본 실험은 멀칭용 P.E 필름 종류에 따른 지온변화가 사과 우량 측지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투명 P.E. 필름, 흑색 P.E. 필름 피복구와 대조구로 무피복구를 두고 대목 직경이 9.1~11.0mm인 M.9 대목을 재식하였다. 대목 재식 3주 후에 사과 '시나노 스위트' 품종을 절접하였으며, 6월 중순에는 재식 당년 측지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묘목에 BA를 살포하였다. 생육기인 4월 중순부터 11월 초순까지의 대조구의 지온은 기온보다 약 $0.7^{\circ}C$ 정도 높았고, 피복구의 지온은 대조구보다 약 $1{\sim}5^{\circ}C$ 정도 높았다. P.E. 필름 종류별 지온은 투명 P.E. 필름 피복구가 흑색 P.E. 필름 피복구보다 약 $2{\sim}3^{\circ}C$ 정도 높았다. 기상요소에 따른 지온의 일교차는 흑색 P.E. 필름 피복구가 시험구중 가장 낮았다. 사과 묘목의 생장과 측지 발달에 있어서는 피복구가 무피복구보다 생장이 양호하였다. 우량 측지묘 획득률은 흑색 P.E. 필름피복구가 가장 높았는데, 그 이유는 생육초기 지온이 대조구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여름철에 지온이 $35^{\circ}C$를 넘은 적이 투명 P.E. 필름 피복구보다 많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조기 재배시 감자의 비닐 피복 재배 연구 (Study on Vinyl Coating Cultivation of Potatoe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최관수;정건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6-564
    • /
    • 2017
  • 중부지역에서 감자와 콩의 안전다수확 작부체계를 위해서는 전작물인 봄감자의 조기 파종과 초기생육을 위한 적정 토양 온도의 확보가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실험은 비닐 피복의 종류별 지온상승효과와 이에 따른 감자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봄감자 초기생육기간인 파종부터 덧 필름 제거 시까지 처리구별 평균지온은 무피복구(NM) $13.8^{\circ}C$에 비하여 투명필름+덧 필름 > 투명필름 > 흑색필름+덧 필름 > 흑색필름 순으로 각각 $20.3^{\circ}C$ > $18.5^{\circ}C$ > $16.1^{\circ}C$ > $14.5^{\circ}C$ 높았다. 일중 시간대별 온도변화를 보면, 기온이 낮은 오후 6~9시부터 익일 오전 11~12시까지는 BF의 지온이 NM보다 낮았던 반면, 기온이 높은 오전 10~12시부터 오후 6~9시까지는 NM의 지온이 BF의 지온보다 높았다. 감자 싹의 지상부 출현은 TF+ATF > TF > BF+ATF > BF 순으로 각각 15일 > 18일 > 20일 > 22일 빨랐으며, TF+ATF 처리구의 경우 무처리구(NM) 24일에 비하여 무려9일 이나 빨리 감자 싹이 출현되었다. 수확 10일 전 처리구간 감자 지하부 건물중 차이는 TF > TF+ATF > BF+ATF > BF > NM 순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이는 처리구별 지온상승효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감자 수량은 대조구인 NM 처리의 $2,805kg\;10a^{-1}$ 비하여 TF에서 41%, TF+ATF 처리는 37% 및 BF+ATF 처리는 2% 증수되었고, BF 처리는 유사하였다. 본 실험은 비닐피복으로 지온을 높여 생육을 증진시키고자 하는데 목표가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 봄감자 안전다수확 재배를 위해서는 생육초기 지온상승과 생육촉진효과가 높고 조기파종과 출현을 촉진하여 보다 긴 생육기간을 확보 할 수 있는 투명필름 피복이 효과적이고, 덧 필름 피복은 기상조건에 따라 경제성을 고려하여 선택을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Effects of Solar Heating for Control of Pink Root and Other Soil-borne Diseases of Onions

  • Lee, Chan-Jung;Lee, Jong-Tae;Moon, Jin-Seong;Ha, In-Jong;Kim, Hee-Dae;Kim, Woo-Il;Cheon, Mi-G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95-299
    • /
    • 2007
  •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efficacy of soil solarization for control of pink root disease by means of mulching with transparent polyethylene sheets in the hot season. The effects of soil solarization on incidence of pink-root disease caused by Pyrenochaeta terrestris and on onion growth and on populations of soil fungi were investigated. Solarization was dramatically effective in reducing pink root incidence in onion seedling and harvested onion bulb. A 30-day and 40-day solarization treatment significantly improved seedling survival and increased yield of 'Changnyeong-deago' onion while decreasing incidence of pink root. Populations of soil fungi from fields planted to onion were assayed on selective media. Solarization treatment was effective in reducing populations of P. terrestris, Pythium spp., and Rhizoctonia sp. in soil. Increase of yield of onion bulbs was associated with control of soil-borne pathogenic fungi. Soil solarization had beneficial effects on yield, bulb diameter, or incidence of pink r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