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atty acids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5초

전북지역 유통 가공식품 트랜스지방 함량 (Trans Fatty Acid Content in Commercial Processed Food in Jeon-Buk Area)

  • 정주리;서규석;이석규;조은자;나문수;정진화;오세일;손명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3호
    • /
    • pp.291-299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proportion of fatty acids and contents of trans fatty acid in commercial processed foods in Jeon-Buk area. Contents of trans fatty acid in bakery products ranged from 0.2% to 1.0% per 100 g food. Especially garlic bread and pastry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Popcorns contained trans fatty acid from 0.0% to 13.4%. Among them, instant popcorns for microwave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while trans fatty acid was hardly detected in popcorns for theater. And trans fatty acid detected in popcorns was mostly in the form of 18 : 1 trans. The content of trans fatty acid in pizza was nearly 0.2%. Amounts of saturated fatty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 were similar between each type of pizza and frozen pizza. Fritters such as fried chickens and vegetables contained trans fatty acid less than 0.2% per 100 g food.

유리모세관칼럼에 의한 담배연기응축물중의 cis-trans형 지방산의 분리정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PARATION & DETERMINATION OF CIS-TRANS FATTY ACIDS IN CIGARETTE SMOKE CONDENSATE BY GLASS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 이문수;이운철;김찬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7-74
    • /
    • 1985
  • Cis-trans forms of fatty acids in cigarette smoke condensate were separated and characterized using SP 2340 glass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The transforms of fatty acids, palmitoeladic , 1-vaccenic, eladic and linoeladic acid were identified. These components were not present only 3% of the total fatty acid fraction, but they showed a very low transfer rate.

  • PDF

시중 유통 자장면의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 조사 (Studies on the Fat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Black-bean-sauce Noodles in the Chinese Restaurants)

  • 김효진;김연;이기택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61-266
    • /
    • 2010
  • In this study, we determined lipid content,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trans fatty acid(tFA) content, and acid value of twenty black-bean-sauce noodles collected in Seoul city area. Total lipid contents of twenty samples were determined to be 3.33~9.23% on wet base.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from 47.83% to 83.18%(mainly oleic and linoleic acid). Total saturated fatty acids ranged from 16.06% to 51.48%. Besides, tFA contents in total lipid of samples were ranged from 0.38% to 1.39%, equivalent to 20 to 80mg per 100g of black-bean-sauce noodles. Acid values of lipids extracted from samples ranged from 0.56 to 2.88.

레토르트식품, 분유, 비스킷 및 피자 내에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지방산 함량 분석 (Analysis of Trans Fatty Acid Content in Retort Food, Powdered Milk, Biscuit and Pizza Products)

  • 박다정;박정민;신진호;송재철;김진만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40-24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식품 내에 존재하는 트랜스지방산 함량에 대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에서 수거한 레토르트식품류 2종, 분유류 6종, 비스킷류 7종 피자류 3종을 선택하여 총 4종류의 18종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레토르트식품류 2종, 분유류 6종, 비스킷류 1종은 chloroform-methanol(CM) 추출법에 의하여 조지방을 추출하였으며 비스킷류 6종, 피자류 3종은 chloroform-methanol(CM) 추출법과 acid digestion 추출법을 각각 이용하여 조지방을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GC)에 의해 트랜스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레토르트식품류의 총 지방 중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1-2.8%이며 분유류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0.4-2.4%로서 제품의 브랜드와 제조회사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났다. 비스킷류의 트랜스지방산 함량은 0-2.95%로서 제품 간 가장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첨가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피자류에서는 2.8-3.45%의 높은 트랜스지방산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Effect of all-trans retinoic acid on casein and fatty acid synthesis in MAC-T cells

  • Liao, Xian-Dong;Zhou, Chang-Hai;Zhang, Jing;Shen, Jing-Lin;Wang, Ya-Jing;Jin, Yong-Cheng;Li, Sheng-L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1012-1022
    • /
    • 2020
  • Objective: Caseins and fatty acids of milk are synthesized and secreted by the epithelial cells of the mammary gland. All-trans retinoic acid (ATRA), an active metabolite of vitamin A, has been shown to promote mammary develop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TRA on casein synthesi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AC-T cells. Methods: MAC-T cells were allowed to differentiate for 4 d, treated with ATRA (0, 1.0, 1.5, and 2.0 μM), and incubated for 3 d. We analyz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the mRNA expression of casein and fatty acid synthesis-related genes, and the phosphorylation of casein synthesis-related proteins of MAC-T cells by gas chromatograph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Results: In MAC-T cells, ATRA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αS1-casein and β-casein, janus kinase 2 (JAK2) and E74-like factor 5 of the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5 β (STAT5-β) pathway, ribosomal protein S6 kinase beta-1 (S6K1) and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E binding protein 1 of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pathway,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 and eukaryotic initiation factor 4E of the mTOR pathway, and promoted the phosphorylation of STAT5-β and S6K1 proteins. Additionally, ATRA increased the de novo synthesis of fatty acids, reduced the content of long-chain fatty acids, the ratio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SFA), the ratio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to SFA, and the ratio of ω-6 to ω-3 PUFA. The mRNA levels of acetyl-CoA carboxylase 1, fatty acid synthase, lipoprotein lipase, stearoyl-CoA desaturas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were enhanced by ATRA. Conclusion: ATRA promotes the synthesis of casein by regulating JAK2/STAT5 pathway and downstream mTOR signaling pathway, and it improve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T cells by regulating SREBP1-related genes.

Effect of C18-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heir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Rumen Bacterial Lipids and CLA Production In vitro

  • Choi, S.H.;Song,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512-515
    • /
    • 2005
  •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18-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rumen bacteria, bio-hydrogenation and production of CLA in vitro. Sixty milligrams of linoleic acid ($C_{18:2}$) or linolenic acid ($C_{18:3}$) were absorbed into the 0.5 g cellulose powder was added to the 150 ml culture solution consisting of 120 ml McDougall's buffer and 30 ml strained rumen fluid. Four uCi of 1-$^{14}C_{18:2}$ or 1-$^{14}C_{18:3}$ (1 uCi/15 mg each fatty acid) were also added to the corresponding fatty acids to estimate the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bacterial lipids. The culture solution was then incubated anaerobically in a culture jar with stirrer at 39$^{\circ}C$ for 12 h. Ammonia concentration and pH of the culture solution were slightly influenced by the fatty acids. Amount of fatty acid incorporated into the bacteria was 1.20 mg and 0.43 mg/30 ml rumen fluid for $C_{18:2}$ and $C_{18:3}$, respectively during 12 h incubation. Slightly increased CLA (sum of cis-9, trans-11 and cis-10, trans-12 $C_{18:2}$) was obtained from the $C_{18:3}$ addition compared to that from $C_{18:2}$ after 12 h incubation in vitro.

trans 지방산 함유 지방이 콜레스테롤대사와 간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 Fatty acid containing Fats on Cholesterol Metabolism and Hepatic Membrane Fluidity in Rats)

  • 김찬희;원미숙;송영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69-779
    • /
    • 2002
  • 식생활의 변화로 인해 fast food 및 가공식품의 소비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식품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trans 지방산의 생리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즐겨 섭취하는 유지중 trans 지방산 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마가린, 버터의 장기간 섭취가 횐쥐의 콜레스테롤 대사와 세포막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옥수수유와 비교하여 trans 지방산 함유 식품의 생리기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유 직후의 흰쥐(S.D. male)를 trans 지방산 함량이 다른 마가린(25%)과 버터(8.5%), 옥수수유를 포함하는 식이로 각각 8주간 섭취시켜 사육한 결과, 체중증가와 1일 식이 섭취량은 식이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trans 지방산을 함유한 식이군(마가린, 버터)의 식이효율이 감소하였다. 혈장 지질 조성에서 중성지방 농도는 차이가 없었지만, 콜레스테롤 농도는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해 trans 지방산을 함유한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지단백 획분 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해 마가린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버터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버터 식이군이 다른 식이군에 비해 낮았으며 그 결과 버터 식이군의 동맥경화지수가 가장 높았다. 또한 간 중성지방 함량은 마가린과 옥수수유 식이군에 비해 버터 식이군에서 낮았으며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옥수수유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다. 간 조직으로의 trans 지방산의 축적 정도는 마가린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간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버터와 마가린 식이군에서 다소 감소하였다.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량은 trans 지방산을 함유한 마가린과 버터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배설되는 trans 지방산 함량은 마가린 식이군에서 가장 높았다. 세포막 유동성은 옥수수유군에 비해 마가린과 버터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trans 지방산 함유 지방 섭취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trans 지방산의 섭취가 분변으로의 콜레스테롤 배설을 증가시키고 HMG-CoA reductase 활성을 저하시켜 혈장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되며 버터군에서 동맥경화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버터의 포화지방산, 특히 미리스틴산과 팔미트산의 높은 함량 때문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마가린과 버터식이군의 세포막 유동성이 현저히 감소한 것은 세포막에서 trans 지방산이 포화지방산과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 때문으로 풀이된다.

Trans지방산의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ous Trans Fatty Acid Contents)

  • 안명수;서미숙;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42-548
    • /
    • 2008
  • 기질유지 4종을 $170{\pm}2^{\circ}C$$210{\pm}2^{\circ}C$에서 가열하면서 산가, 요오드가 및 trans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가는 4종 기질유지 모두 가열시간과 가열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그 증가폭은 감소되었다. 요오드가는 가열하는 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항산화제 첨가로 감소폭이 감소하였다. 시료유지 중 올리브유의 경우 $170{\pm}2^{\circ}C$$210{\pm}2^{\circ}C$에서 7시간 가열 시 각각 88.7$\pm$0.6 및 89.2$\pm$0.5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rans지방산 생성량은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옥배유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이 가장 크게 증가되었으며, 올리브유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이 가장 적어 안정된 유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Catechin과 BHT의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0.5{\sim}15.4$%의 trans지방산의 생성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atechin이 BHT보다 trans지방산 생성량을 감소시키는데 좀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은 옥배유> 대두유, 채종유> 올리브유의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제를 사용함으로써 trans지방산의 생성을 줄일 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방산의 기기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Instruments of Fatty Acids Determination)

  • 박선미;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1
    • /
    • 1991
  • 1. 유지의 지방산 조성 분석시 GC의 경우 Oleic acid/Elaidic acid를 분리 측정하지 못하였으나 그 외 지방산들(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Linoleic acid, Lindenic acid, Arachidonic acid)에 있어서는 재현성이 높았으며 HPLC는 Stearic acid, Elaidic acid, 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검출에 높은 재현성을 나타냈으나 Palmitic acid/Oleic acid를 분리하지 못하였으며 CGC는 Elaidic acid를 제외한 모든 지방산들에 있어서 좋은 측정능력을 보였주었다. 2. 지방산의 cis/trans 기하 이성체의 측정시에는 CGC가 가장 능력이 뛰어났고 HPLC도 양호하였으나 GC는 Oleic acid/Elaidic acid 이성체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각 지방산 분석에 소요된 평균 시간은 GC가 7.21분, CGC가 9.84분, 그리고 HPLC는 24.48분으로서 GC와 CGC의 경우는 비슷하나 HPLC는 다른 기기에 비해 약2.5∼3배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3. 이들 3가지 분석기기로 실제 유지식품인 대두유(CSOY, DSOY)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정제된 대두유(CSOY)는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가 주요구성 지방산인 반면 Stearic acid는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미정제 대두유(DSOY)에서는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이었고 Linolenic acid는 아주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이때 3가지 분석기기의 대두유의 지방산 분석능력은 표준지방산 분석의 지방산 분석능력은 표준지방산 분석시에 나타난 결과와 동일하였다. 따라서 GC, CGC및 HPLC의 분석특징으로 GC의 경우 분석소요시간이 CGC나 HPLC에 비해 짧은 반면 이성체 분리가 불가능하였으며 HPLC는 분석소요시간이 다른 기기에 비해 다소 긴 반면 이성체 측정이 가능하였고 포화지방산보다는 불포화지방산 측정에 다소 유리하였다. 그리고 CGC의 분석특성에 있어서 재현성, 분석 소요시간 및 이성체 분리능력이 GC나 HPCL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