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ism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 의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of Local Festival Visitors - Focused on Visitors’ Evaluation of Festival Image Attributes -)

  • 김시중;정경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31-646
    • /
    • 2008
  • 본 연구는 지역축제 방문객의 축제 이미지 평가에 따른 만족과 재방문의사 분석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인‘무주 반딧불축제’를 중심으로 정서적 이미지 23개 인지적 이미지 26개의 요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 이미지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결과 정서적 이미지요인에서는‘독특성’인지적 이미지에서는‘신명성’과‘교육적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제 이미지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결과 정서적 이미지요인 중 재방문에‘독특성’‘전통성’이, 인지적 이미지요인에서는‘신명성’‘교육적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축제 이미지가 구전의사에 미치는 영향분석 결과 정서적 이미지요인 중 구전의사에‘독특성’이 인지적 이미지요인 중‘신명성’‘교육적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1980년대 이후 한국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shion Design -mainly on the works of fashion designers since 1980s-)

  • 김인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36-547
    • /
    • 1995
  • The modernization of the fashion design in our country, like our chaotic modern history, has not been easy for us to grasp its main stream because it lacke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sincere attitude of creating. In trying to find out designs very Korean, designers usually ignore the deeply rooted ideologies and modes of our own, and primarily depend on the scattered fragments of tradition, such as the curled line of the ancient roofs, folk jackets and skirts, and Talcum, our ethnic dance, sometimes making some patchwork like clothes they divan't really intend to make. In the world of modern design, especially of the fashion industrial design, designs more scientific, more rationale and more positively appealing to the consumers, not the unconscious and emotional ones, are being demanded. To win in the fierce competing world of design as well call this age an age of "Design War", it is desirable for us to create our peculiar designs by uniting the internationalism (universality) and nationalism (traditionalism) together under a single rigid purpose. Analyzing the designs mainly of Korean style fashion designers since the 1980s, 1 could see that Korean designs in the aspect of appearance have a strong tendency toward applying or reviving the traditional elements, thus are under a bias toward nationalism rather than in ternationalism. The idea of "very Korean" does not mean a mere harmony or negotiation of the traditional elements with modern ones. It is rather a concept from vivid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conflict between the purely Korean mental, cultural heritages and the demands in mod- eradiation. Therefore, based on this concept of "very Korean" we must create fashions completely Korean and modern at the same time.n and modern at the same time.

  • PDF

의상디자인의 형태와 조형예술자의 관계 -1960년대의 팝아트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Design Form and Art Plastique - Focused on Pop Art in 1960's -)

  • 이인성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427-1438
    • /
    • 1997
  • The art plastique is the part from which designers draw their inspirations to create fashion design. Many designers look for their inspirations from Art Plastique.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lots of designers led by Paul Poiret drew their inspirations from Art and co-works with artists. The direct involvement of those artists helped to position Fashion to be an art. Also, these co-works brought the mass media's attention and commercial profit. The most preval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ashion design and art plastique is the reproduction of art such as the 1960s 'Pop Art printed on T-shirts, which can be seen easily todays. After World War ll, art was popularized in a new society where young generation played a major role. Pop Art having image of the freedom and the rejection of tradition was considered as the major trend of 1960s. This study considers reflection of anti-traditionalism, anti-elitism and popularity as the kitsch of Pop. That is the attraction which youth culture looked for from Pop Art and the reason that 60's avast-garde cloth could position itself into the mass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kitsch of Pop and the expression of parody upon the major changes in 1960s fashion from which are the mini-look and women's trousers wearing. This study examines Andra Courreges who led 1960s Mini look and Yves Saint Laurent who introduced Pop dress, Smoking look and transparent blouse to find the way which makes it possible for avant garde fashion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and to position itself to be a art.

  • PDF

중국 사범대학생의 유교적 가치관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An Analysis on Confucian Values of China Normal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the Q Methodology -)

  • 여상운;이장패;이효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273-28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사범대학 대학생들의 유교적 가치관 유형과 특징을 알아본 것이다.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으며, 중국 사천사범대학교 대학생 4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중국 사범대학교 대학생의 유교적 가치관은"국가주의","전통주의","명분주의","자연주의" 네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각 유형은 선명한 특징을 기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첫째. 네 유형은 국가 관계, 가족 관계, 붕우 관계에 대하여 유기적, 화해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둘째, 네 유형간 가장 공통적인 특징은 바로 남녀관계, 역할에 대한 관점이다. 중국 사범대학교 대학생들은 유교적 가치관에서 남녀관에 대한 관점을 동의하지 않고 부정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여성은 가족이나 남성의 부속물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다. 셋째, 비록 유교 가치관은 중국 문화의 발전에 대해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현대 사회 발전과 부합하지 않는 관점도 존재하는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유교 가치관에 대해 변증적이고 전면적인 관점으로 볼 필요가 있다.

아산 외암마을 토속경관의 문화유산적 가치 (The Landscape Value of Asan Oeam-ri's Folk Village as Cultural Heritage)

  • 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1호
    • /
    • pp.30-51
    • /
    • 2011
  •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수많은 농촌마을은 문화경관적 건전성을 상실한 채 변질이나 해체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 아산에 위치하는 외암마을(국가지정 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은 신전통주의 부흥을 추구하며 지속성을 유지한 채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마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외암마을은 예안이씨 동족마을로 500여년의 긴 역사 동안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성과 건전성을 지켜온 민속마을로서 문화유산적 가치 측면에서 '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토속경관 사례이다. 유교적 문화경관 지표물(종가, 사당과 묘역, 신도비, 정려와 송덕비, 정자 등)과 다양한 민간신앙 요소(장승과 솟대, 당산목, 산신당, 마을숲 등), 그리고 유 무형의 생활문화(활발한 문중활동과 엄정한 조상숭배 의례, 가계계승의식, 공동체 농경문화 및 생태환경의 보존 등)를 지속성있게 전승함으로써 전통시대 양반촌을 상징하는 보편성과 완전성, 그리고 진정성을 유지한 채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독특한 환경설계원리인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마을을 자리 잡기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정주공간(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을 구축함으로서 토속성 짙은 문화경관을 완성한 사례가 되는데, 외암오산(광덕, 설아, 송악, 월라, 면잠)과 외암오수(용추, 인곡, 반계, 역천, 온정)와 같은 광역 생태문화경관의 보전과 같은 자연환경의 절제, 그리고 생태환경의 질서와 문화적 가치를 중시하는 환경관(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을 결합하여 지속성과 진정성을 지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외암마을 토속문화경관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기준 IV(인류역사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뛰어난 유형의 건축물이나 건조물 집합체 또는 조경유산)와 V(뛰어난 유형의 전통 인간 거주지 또는 급격한 변화로 파괴의 위험에 직면한 문화의 대표적 유산으로서 토지에 기반을 둔 유산)의 범주에 포함되는 우리나라 공동체 사회의 대표적 사례가 된다.

동양회화에 있어서 형상관점의 심미 (The beauty of form in Oriental painting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 정진룡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6권
    • /
    • pp.119-139
    • /
    • 2004
  • The intention of the research is to look into the form reflecting the spiritual image due to Oriental aesthetic from a realistic point of view. In this regard, I will pay attention to examining the process from figurative perspectives, in which painting image by subject acquires the beauty of form. Of the main subjection this paper, figure is an image itself appearing in painting. At this point, I will attempt to show how the meaning and value of image have been interpreted and judged on the aesthetic standard in Oriental painting in particular. For this process, I generalize the conception of the image as 'figure' and through this I will reconsider the standard of understanding and the value of perception regarding painting images on the method which are more applicable to the expressions of Oriental painting. The reason why I try to find out the true nature of images in Oriental painting from a figurative viewpoint is to convert a conventional sense of value which recognizes the images of Oriental painting only as results of idealism, into more practical field. If the true nature of Oriental painting is fixed and restricted to natures of idealism, any productive development and any changes in form for future couldn't be expected at all. In fact, what the ideological and aesthetic values of art suggest is clearly a proof of real art form. However, it is not a hard thing to prospect that only a superficial idealism will be ceaselessly produced, while the practical study about aesthetic values, meaningful results of painting expressions, is totally ignored, if ideology itself is used as criteria to judge the identity of it or if only the idealistic aesthetic values are emphasized while any clue to show a real existence of oriental paintings is not certain. Actually,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interests about real natures regarding art expressions have been relatively ignored while armed with mental ideology for esthetic view of oriental painting in traditionalism Therefore, it is clear that 'spiritual status' itself can generate any form. Traditionally, in the Orient, the standard of judging a real value of things, which put a focus on a spiritual view of value rather than on a materialistic view of it, has been vaguely positioned the identity of images in painting As a result, the aesthetic convention has finally committed to an error that for images of oriental painting, ideological criteria like so called spiritualism are applied as a judging way, and esthetic meanings and values of real painting are considered as strategic results and spiritual intentions.

  • PDF

미술과 집단성 (Art and Collectivity)

  • 곽건초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4호
    • /
    • pp.181-202
    • /
    • 2006
  • "When it comes to art, nationalism is a goodticket to ride with", says the title of a report in the Indian Express (Mumbai, 29 Oct 2000). The newspaper report goes on to say that since Indian art was kept "ethnic" by colonialism, national liberation meant opening up to the world on India's own terms. Advocacy, at the tail end of the 20th century, would contrast dramatically with the call by Rabindranath Tagore, the founder of the academy at Santiniketan in 1901, to guard against the fetish of nationalism. "The colourless vagueness of cosmopolitanism," Tagore pronounced, "nor thefierce self-idolatry of nation-worship, is the goal of human history" (Nationalism, 1917). This contrast is significant on two counts. First is the positive aspect of "nation" as a frame in art production or circulation, at the current point of globalization when massive expansion of cultural consumers may be realized through prevailing communication networks and technology. The organization of the information market, most vividly demonstrated through the recent FIFA World Cup when one out of every five living human beings on earth watched the finals, is predicated on nations as categories. An extension of the Indian Express argument would be that tagging of artworks along the category of nation would help ensure greatest reception, and would in turn open up the reified category of "art," so as to consider new impetus from aesthetic traditions from all parts of the world many of which hereto fore regarded as "ethnic," so as to liberate art from any hegemony of "international standards." Secondly, the critique of nationalism points to a transnational civic sphere, be it Tagore's notion of people-not-nation, or the much mo re recent "transnational constellation" of Jurgen Habermas (2001), a vision for the European Union w here civil sphere beyond confines of nation opens up new possibilities, and may serve as a model for a liberated sphere on global scale. There are other levels of collectivity which art may address, for instance the Indonesian example of local communities headed by Ketua Rukun Tetangga, the neighbourhood headmen, in which community matters of culture and the arts are organically woven into the communal fabric. Art and collectivity at the national-transnational level yield a contrasting situation of, on the idealized end, the dual inputs of local culture and tradition through "nation" as necessary frame, and the concurrent development of a transnational, culturally and aesthetically vibrant civic sphere that will ensure a cosmopolitanism that is not a "colourless vagueness." In art historical studies, this is seen, for instance, in the recent discussion on "cosmopolitan modernisms." Conversely, we may see a dual tyranny of a nationalism that is a closure (sometimes stated as "ethno-nationalism" which is disputable), and an internationalism that is evolved through restrictiv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development within privileged expressions. In art historical terms, where there is a lack of investigation into the reality of multiple modernisms, the possibility of a democratic cosmopolitanism in art is severely curtailed. The advocacy of a liberal cosmopolitanism without a democratic foundation returns art to dominance of historical privileged category. A local community with lack of transnational inputs may sometimes place emphasis on neo-traditionalism which is also a double edged sword, as re kindling with traditions is both liberating and restrictive, which in turn interplays with the push and pull of the collective matrix.

  • PDF

대순진리회의 효 윤리에 나타난 종교성 연구 (A Study on the Religiosity of Filial Piety Ethics in Daesoonjinrihoe)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27집
    • /
    • pp.171-200
    • /
    • 2016
  • 이 글은 전통 효(Filial Piety) 윤리와 대순진리회(Daesoonjinrihoe)의 효 윤리를 비교의 지평에서 분석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의 전통 효 윤리는 현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변화를 요구받아 왔고, 그 핵심은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가 수직적·일방적인 게 아닌 수평적·상호 호혜적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이념과 대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민족종교인 대순진리회가 근대화 이후에 전통과 현대의 충돌을 경험하면서 성장해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교리체계에서 효 윤리가 어떻게 구축되어 있는지를 관찰하는 작업은 전통 효가 현대적 감각에 맞게 어떻게 윤색될 수 있는지를 살피게 하는 하나의 좋은 사례를 제공해줄 수 있으리라 본다. 이것을 요약하면, 첫째, 유교와 대순진리회는 봉친(奉親)을 효 윤리로 삼지만, 유교는 가부장적인 봉건성에 입각하여 아랫사람의 일방적·맹목적 희생을 강조하고, 대순진리회는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희생을 지양하며 부모와 자식 사이의 상생(mutual beneficence)을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유교적 효가 봉건질서를 추구하는 이념 속에서, 대순진리회 효가 새로운 종교적 세계인 후천 신세계의 원리인 보은상생과 인존(Respect For Man)의 이념 속에서 구축된 결과로 나타난 것이다. 둘째, 불교와 도교의 효는 부모 생전에 수복(壽福)을 누릴 것을 기원하고 사후에는 천도를 위해 발원하는 소극적·수동적인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효 역시 그러한 관념을 일부 포함하지만, 거기에 그치지 않고 부모 스스로가 죄를 벗고 앞길을 닦아나가도록 유도하는 것까지 효의 범주를 더 넓게 잡는다. 부모와 자식의 수행을 동시에 요구하는 이런 효 윤리는, 자식이 수행 끝에 종교적 목표를 이룬 연후 받게 되는 복록을 부모도 동시에 누릴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대순진리회 세계관 때문에 성립된다. 셋째, 유교와 대순진리회는 선령향화를 효 윤리로 삼지만, 무속적 사고를 배제한 본래 유교(성리학)적 세계관 속의 효는 향화의 대상을 비인격적 존재로, 대순진리회는 인격적 존재로 상정한다. 따라서 유교에 비해 대순진리회의 선령향화는 관념에 치우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보다 현실적이다. 넷째, 유교와 대순진리회는 모두 조상들의 은혜를 갚고자 하나 그 은혜의 내용과 보은에 차이가 있다. 유교에서는 조상들이 생명을 준 존재이기에 그에 대한 감사로써 향화를 올리는 것만으로 효가 성립되지만, 대순진리회에서는 조상신들이 자손의 도성덕립을 목적으로 60년 적공(積功)으로써 생명을 주면서 동시에 수도를 하도록 독려하는 존재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향화를 올리는 것과 더불어 수도까지 해야 효가 성립된다. 다섯째, 유교에서는 세속에서의 출세를 의미하는 입신양명이 효이지만, 대순진리회에서는 그 보다는 수도를 성공시켜 종교적 목표를 달성시키는 것이 더 큰 효로 규정된다. 여섯째, 유불도는 모두 도덕에 기반한 가족윤리로 효를 규정한다. 대순진리회 역시 그러하지만, 그 외에도 효에 종교적 구원을 위한 필수 윤리라는 위상을 더 부여한다. 왜냐하면 효의 부재는 세상을 병들게 하고 멸망케 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면서, 동시에 60년 동안 적공(積功)을 한 조상신들과 직접적으로 생명을 준 부모들의 은혜를 저버리는 배은이 개벽시대에는 용납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대순진리회는 자신의 독특한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유불도의 전통 효 윤리들을 일부는 수용하고 일부는 재해석과 재창조 과정을 거쳐 윤색해 두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즉 대순진리회의 효는 인간 존중의 이념, 구체적으로는 보은상생과 인존(Respect For Man)사상 위에서 정립된 윤리 규정이며, 인격 완성과 도통이라는 종교적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나 자신의 수행이자 복록을 더불어 누리기 위한 부모의 일정한 수행까지 요구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개벽시대에 구원을 받기 위한 필수 윤리라는 대단히 강화된 종교적 색채를 띠고 있는 것이라고 크게 그려 볼 수 있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