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wedding artifac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혼례유물에 대한 내용분석 (A Content Analysis of Traditional Wedding Artifacts)

  • 최배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1권5호
    • /
    • pp.155-170
    • /
    • 2003
  • This paper will provide a basic analysis of traditional wedding artifacts as they appear on museum websites and their value for scientific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a total of 115 wedding artifacts(72 written documents related to weddings, 43 marital items) on the website of a museum. Most of them were related to the latter half of Cho-sun Dynasty. From these artifacts, we may understand the culture surrounding wedding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Cho-sun Dynasty to modem time. 2. By analyzing such wedding artifacts, we can supplement existing methods of study such as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histories. In this way, we may better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ddings. 3.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weddings we need to adopt a mor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wedding artifacts.

경북지역 종가의 혼례문화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Wedding Culture of the Main Family in the Gyeongbuk Area)

  • 이향숙;주영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13-32
    • /
    • 2012
  • This study surveyed features of weddings in the main family by selecting 10 families in which the grandnephew and grandnephew's wife dwell in the head house, have a shrine, an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Bulcheonwi (不遷位). A case survey through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from April 9, to October 8, 2011. It surveyed the contents and the wedding artifacts in Uihon (議婚), Napchae (納采), Nappye (納幣), Daerye (大禮), Hyeongugorye (見舅姑禮), which are the procedures of traditional wedding that have been kept in the wedding ceremony of the main family. As a result, in deciding on marriage, the marriage was formed on the basis of similar Gagyeok (家格) and on ancestor's common scholastic mantle or origin. As for wedding furnishings, wedding presents, and wedding gifts, 9 out of 10 families were indicated to give and take weakly. Also, 6 out of 10 families held a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in the yard of the bride's house. Hyeongugorye (見舅姑禮) was indicated to be held by all of the 10 families. A continuous effort in academic circles and industries is demanded for preserving the living culture of the main family, which proceeds with following the traditional elements even amid a rapidly-changing historical flow as today.

19세기 말~20세기 초 신부 가마덮개의 특성과 양식 변천 (Characteristics of Bridal Palanquin Covers and Changes in Styl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 박윤미;오준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80-98
    • /
    • 2023
  • 조선 말기에 혼례를 마치고 신부가 시댁으로 가면서 가마를 타고 가는데 그 때 가마 위에 벽사의 뜻이 담긴 호피를 덮는 풍습이 있었다. 상류층을 중심으로 호피나 표피를 사용했으나 서민들 사이에서는 호랑이무늬를 그린 모포를 덮었다. 그 모포는 호탄자, 호구, 호구욕 등으로 불리었다. 신부 가마덮개가 처음 사용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대략 19세기 말부터 1930년대까지 성행하다 점차 사라졌는데 신식혼례의 등장으로 신부의 가마가 필요 없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호랑이무늬 모포는 신부 가마 위에 덮는 것뿐만 아니라 상 위에 덮거나 바닥에 깔기도 하였는데 모두 혼인식에 사용되었다. 호랑이무늬 모포 9점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 겉감과 안감의 경사는 무명실, 위사에는 모사(毛絲)가 사용되었다. 겉감의 위사에 사용된 모사는 2종류인데 중국의 비미종 양모와 중국 허베이성 카펫용 염소모로 밝혀졌다. 러시아에서 '호랑이 그린 무늬의 담요'가 수입되었다는 것과 중국에서 모물을 사들인 후 우리나라에서 깔개를 만들었다는 내용, 그리고 여러 기법의 모깔개를 제작했다는 사료를 고려해보면 중국과 러시아 등지에서 완제품으로 수입하기도 했고 국내에서 생산하기도 했다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물 조사한 호랑이무늬 모포 13점의 겉감은 직물의 조직과 실꼬임 방향에 따라 6종류가 있으며 안감은 3종류, 그리고 가선은 4종류로 분류되었다. 안감과 겉감은 한 폭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직물의 폭이 최소 135cm의 광폭으로 직조하였다. 호랑이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은 공판화 기법이다. 빨간색 겉감 위에 호랑이 몸통과 꼬리의 도안을 대고 흰색을 칠한 후 호랑이의 바탕색인 노란색과 얼룩무늬인 갈색, 검은색의 순서로 칠한다. 호랑이무늬는 조금씩 달라서 여러 공방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호탄자의 무늬는 호피처럼 엎드린 상태로 그렸는데 서 있는 자세도 생겨나고 호랑이무늬는 작아지면서 가장자리에 화려한 꽃무늬를 그려 넣었다. 이같이 호탄자는 무늬에 장식적인 요소가 가미되는 변천을 겪다가 가마덮개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면서 점차 사라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남아 있는 호랑이무늬 모포 중 수입품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과 당시 유행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여러 생산지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