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market tou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자갈치 수산관광단지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 먹거리를 중심으로 - (Developing the Jagalchi Marine Tour Complexes - Focusing on Foods -)

  • 윤태환;박봉규;조용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93-302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ment methods of marine tour complexes by specializing and modernizing the renowned Jagalchi Fish Market.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e ways of overcoming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market place and making a unique tourism destination with affluent attractive culture elements. To preserve its position as the most famous fish market in Korea, Jagalchi market needs to more differentiate its position over competitors. To do that, it needs to avoid over-lapping of product categories among different sectors and specializing each zone according to the assigned theme. Improving tourism environments by expanding entertaining aspects, building landmark facilities and a seaside park, and tourism infrastructur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scheme needs to be planned unified with other city development plans to create a unified image, and a connection program with other tourism resources surrounding the target area needs to be created in order to pursue synergy effects. In the aspect of food, a large seafood center which offers various seafood from all around the world, a traditional night market street, various theme restaurants can be suggested.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Jagalchi marine tour complexes not only has ripple effects on the region's culture, society, and other related industries but directly influences related regional tourism and commercial industry.

  • PDF

송탄 u-City의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 (Business Models for SongTan Ubiquitous City)

  • 장희선;조기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223-23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송탄이 미래 u-City로서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현 시점에서 가장 시급히 수행하여야 할 네 가지 비즈니스 모델(u-Tour, u-ITS, u-유통, B2B(business to business))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유비쿼터스 도시에서의 주요 비즈니스를 분석하고 송탄에서의 주요 산업인 관광산업, 산업단지 및 재래시장의 비즈니스 현황을 분석하며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로부터 관광특구 지역 및 상가/재래시장 활성화, 수입증대, 고부가가치 산업 창출, 자급 자족의 도시 구현 등의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주요 비즈니스 개발 전략과 함께 송탄 도시 구성원들, 즉 지자체, 시민, 산학연 협의체의 u-City 추진 방안을 제안한다.

A Genetic Algorithm Based Approach to the Profitable Tour Problem with Pick-up and Delivery

  • Lee, Hae-Kyeong;Ferdinand, Friska Natalia;Kim, Tai-Oun;Ko, Chang-Seong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9권2호
    • /
    • pp.80-87
    • /
    • 2010
  • As express courier market expands rapidly, companies are exposed to fierce competition. To cope with struggle for their survival, they are continuously making efforts to improve their service system. Even if most of service centers are directly linked to a consolidation terminal in courier service network, some of them with regional disadvantages are operated in milk run type from/to the consolidation terminal, which is a traditional PDP (Pick-up and Delivery Problem). This study suggests an approach to solve the PDP with the objective of maximizing the incremental profit, which belongs to PTP (Profitable Tour Problem) class. After the PTP is converted to TSP (Traveling Salesman Problem) with the same objective, a heuristic algorithm based on GA (Genetic Algorithm) is developed and examined through an example problem in practice of a courier service company in Korea.

감천항 수산물 도매시장 조경설계 (Landscape Design of Gamcheon Wholesale Fish Market)

  • 권영휴;민권식;황용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0-78
    • /
    • 2002
  • The landscape disign of Gamcheon wholesale fish Market was designed around a turnkey base to promote the economy of Busan Metropolitan City, to establish a fishery marketing center and to modernize existing facilities.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 were to promote the mood of an old market, while preserving its functions and efficiency as a market, to design outdoor spaces with natural resources and amenities in balance, and to create attractive tourist spots in connection with the wide area development plan. The project was oriented, fast, to enhance the functions of the market. For this purpose, a multi-dimensional space layout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as a wholesale market. The safety of pedestrians was secured by separating lathes for vehicles and for pedestrians. Tree planting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sheltering, wind breaking and guiding was planned. Secondly, nature-friendly and human-friendly landscaping design was attempted. For this, the beautiful natural resources of Amnam Park were utilized, and green spaces such as green bridges linking buildings in the wholesale market, and rooftop gardens were to be arranged. In addition, environment-friendly facilities such as roads paved with natural materials(i.e. gravel, shells) and program parking lots were to be planned. Thirdly, landscape design was considered to create attractive tourist spots. For example, a fish farm was created as a theme street for pedestrians and various water-friendly spaces such as pedestrian ramps, observatories and seaside streets were to be secured.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 green bridge to Ahnnam Park was introduced for a tour source and flower garden, an event plan and viewing deck open to the sea were planned on the bridge's axis. Secondly, for the effective land use plan concerning open space and convenience to visitors, a promenade was planned, which is connected with the theme plaza and small plazas by environmental sculptures in front of the market hall and at the gate. As well, an observatory and a roof garden help create three dimensional multi leveled space, with a good view of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sea, sky and park Thirdly, landscape materials, such as trees and those for facilities, strengthened for protection against the seawind and salt damage were selected. The commercial market area was intended to be transformed a traditional functional area of efficiency and economy into an attractive marine leisure area where both tourists and neighbors can make use of it.

농촌전통테마마을에 대한 이용자 평가 및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도시주민의 의식에 관한 연구 - 김천옛날솜씨마을과 경상북도 김천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Participator's Evaluation of the Rural Theme Village and Urban Inhabitants' Consciousness of Green Tourism - Focused on the Rural Theme Village 'Yetnalsomsi-Maul' and Gimcheon City in Gyeongsangbuk-do -)

  • 장한섭;김익환;김영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8
    • /
    • 2009
  • This paper evaluate use on facilities of green tourism by participator's questionnaire and urban inhabitants' questionnaire. As the result of study, it shows follows; 1) To make town look more traditionally we should rebuild the buildings and the styles of roof with our own traditional rural system. And, we also change the block and brick style fence into soil or rock one instead to look rural path. The agricultural land and watercourse should be left naturally to be looked non-polluted environment. 2) The outdoor toilet, washing stand and distribute should be maintained and managed clearly every time. Residents' own housing also should be maintained to promote the home-stay lodging. 3)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people's need of agricultural product, the special market building or place that could be packed and sold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should be built or made. And, it should be located in the harmonious spot with the natural scenery and good parking lot.

  • PDF

음식관광의 참여활동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Food Tourism's Activities on Visiting Intention)

  • 이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417-425
    • /
    • 2010
  • 본 연구는 음식관광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음식과 관련된 참여활동이 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음식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250부를 배포하여 24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의 분석에서 음식관광을 경험한 사람은 43.5%, 18.5%는 경험은 없지만 관심이 있고, 그 형태는 유명한 맛 집 방문과 음식문화축제 참여로 나타났다. 아직, 음식관광 형태는 단순하지만 충분히 음식관광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의미된다. 둘째, 관광지에서 추구하는 음식성향은 현지주민이 추천하는 음식, 내 입맛에 맞는 음식, 지역특산품 및 향토음식, 재래시장 방문, 먹거리 축제/음식문화 체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양지역을 방문할 경우 응답자들은 송이 능이버섯 전골, 항아리 맥적구이, 소백산 산채비빔밥, 곤드레 마늘솥밥의 향토음식을 선택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관광의 참여활동에서 '음식문화 경험', '건강지향', '음식의 지식/정보추구'의 순으로 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한 유커 인바운드 여행 수요 예측 모형 및 유커마이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Yóukè Mining System with Yóukè's Travel Demand and Insight Based on Web Search Traffic Information)

  • 최유지;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3호
    • /
    • pp.155-175
    • /
    • 2017
  • 최근 독감 예측이나 당선인 예측, 구매 패턴, 투자 등 다방면에서 웹검색 트래픽 정보. 소셜 네트워크 내용 등 거대한 데이터를 통해 사회적 현상, 소비 패턴을 분석하는 시도가 이전보다 늘어났다. 구글, 네이버, 바이두 등 인터넷 포털 업체들의 웹검색 트래픽 정보 공개 서비스와 함께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하여 소비자나 사용자와 관련된 연구가 실시되기 시작했다.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한 사회 현상, 소비 패턴 분석을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으나, 그에 비해서 도출된 여행 수요 모델을 토대로 의사결정을 위한 실질적 대책 수립으로 이어지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관광산업은 상대적으로 많은 고용을 가능하게 하고 외자를 유치하는 등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여 경제 전체에 선순환 효과를 일으키는 중요한 산업이다. 그 중에서도 국내 입국외래객중 수년간 2위와의 큰 차이로 1위를 차지해왔던 중국 국적의 관광객 '유커' 및 그들이 지출하는 1인당 평균 관광 수지는 한국 경제에 매우 중요한 한 부분이다. 관광 수요의 예측은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합리적인 의사 결정에 있어서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 모두 중요하다. 적절한 관광 수요 예측을 통해서 한정된 자원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더욱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인 인바운드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 이전보다 더 최신의 트렌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개인들의 집합의 관심도가 포함되어 예측 성능이 개선된 방법을 제안한다. 해외여행은 고관여 소비이기 때문에 잠재적 여행객들이 입국하기 전 웹검색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여정과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활동을 한다. 따라서 웹검색 트래픽 수치가 중국인 여행객의 관심정도를 대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중국인 여행객들이 한국 여행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검색할만한 키워드를 선정해 실제 중국인 입국자 수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국 웹검색 엔진 시장에서 80%의 점유율을 가지는 중국 최대 웹검색 엔진 '바이두'에서 공개한 웹검색 데이터를 활용하여 그 관심 정도를 대표할 수 있을 것이라 추정했다. 수집에 필요한 키워드의 선정 단계에서는 잠재적 여행객이 여정을 계획하고 구체화하는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검색하게 되는 키워드 후보군을 선정하였다. 키워드의 선정에는 중국 국적의 잠재적 여행객 표본과의 인터뷰를 거쳤다. 트래픽 대소 관계 확인 결과에 따라서 최종 선정된 키워드들을 한국여행이라는 주제와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는 키워드부터, 간접적인 연관을 가지는 키워드까지 총 세 가지 레벨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카테고리 내의 키워드들은 바이두'가 제공하는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 제공 서비스 '바이두 인덱스'를 통해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했다. 공개된 데이터 페이지 특성을 고려한 웹 크롤러를 직접 설계하여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분리되어 수집된 변수에는 필요한 변수 변환 과정을 수행했다. 자동화 수집된 웹검색 트래픽 정보들을 투입하여 중국 여행 인바운드에 대한 유의한 영향 관계를 확인하여 중국인 여행객의 한국 인바운드 여행 수요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책 의사결정 및 관광 경영 의사결정 같은 실무적 활용을 고려하여 각 변수의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설득이 명료한 방법인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해 선형 식을 도출하였다. 수집된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를 기존 검증된 모형 독립변인들에 추가적으로 투입함으로써 전통적인 독립변인으로만 구성된 연구 모형과 비교하여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모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려는, 웹검색 트래픽으로 대표되는 독립변인을 투입한 최종 도출된 모형을 통해 중국인 관광 수요를 예측할 때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웹검색 트래픽 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최적 모형 설명력을 가지는 모형을 기반으로 최종 회귀 식을 만들었고 이를 '유커마이닝' 시스템 내부에 도입하였다. 데이터 분석에서 더 나아가 도출된 모형을 직관적으로 시각화하고, 웹검색 트래픽 정보를 활용하여 도출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함께 보여주는 데이터 분석 기반의 '유커마이닝' 솔루션의 시스템 알고리즘과 UX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모형과 시스템은 관광수요 예측모형 분야에서 웹검색 트래픽 데이터라는 정보 탐색을 하는 과정에 놓인 개인들의 인터랙티브하고 즉각적인 변수를 활용한 새로운 시도이다. 실무적으로 관련 정책결정자나 관광사, 항공사 등이 활용 가능한 실제적인 가치를 가지고, 정책적으로도 효과적인 관광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