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cheid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산 소나무 식별을 위한 연륜해부학적 연구 (Dendro-anatomical Study for Identification of Pine at Korea)

  • 이광희;서연주;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6
    • /
    • 2022
  • 연륜연대기와 가도관 길이, 단열방사조직 크기를 이용하여 유사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는 국내산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외래산 소나무(Pinus resinosa, Pinus sylvestris)를 연륜해부학적 방법으로 식별하고자 하였다. 조사를 위하여 13곳의 국립공원에서 국내산 소나무 시료를 채취하였고 외래산 소나무 시료는 목재수입업체 2곳에서 확보하였다. 가도관 길이 측정은 조재와 만재를 구분하여 실시하였고, 단열방사조직 높이와 구성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외래산 소나무로 제작된 연륜연대기는 외국의 표준연륜연대기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높아 벌채된 국가 및 지역, 정확한 벌채시기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가도관 길이와 단열방사조직의 높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다만 러시아 소나무의 가도관이 국내산 소나무들보다는 다소 긴 것으로 나타내었다. 향후 다수의 외래산 소나무 시편을 확보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정확한 결과가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er)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 특성(特性)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走査電子顯微鏡的)인 연구(硏究)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Features of Compression Wood, Opposite Wood, and Side Wood in Branch of Pitch Pine(Pinus rigida Miller))

  • 엄영근;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3-18
    • /
    • 1985
  • 한국(韓國)에서는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Miller, pitch pine) 지재(枝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가 광학현미경적(光學顯微鏡的)인 방법(方法)을 통하여 이(李)에 의하여 1972년(年) 발표(發表)되었다. 본 연구(硏究)에서는 리기다소나무 지재(枝材)의 해부학적(解剖學的)인 특성(特性)에 관한 이(李)의 연구(硏究) 속보(續報)로써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compression wood), 대응재(對應材) (opposite wood) 및 측면재(側面材) (side wood)의 횡단면(橫斷面)과 방사단면(放射斷面)상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을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을 통하여 비교(比較) 연구(硏究)한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에 있어서 춘재(春材)로부터 추재(秋材)로의 가도관(假導管) 이행(移行)은 극점(極漸)이며 가도관(假導管)의 배열(排列) 및 크기 역시 거의 균일(均一)한 상태(狀態)를 나타내지만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에 있어서는 가도관(假導管)의 이행(移行)이 급(急)하며 가도관(假導管)의 배열(排列) 및 크기도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보다 불균일(不均一)하다. 또한 대응재(對應材)의 연륜폭(年輪幅)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나 측면재(側面材)의 연륜폭(年輪幅)보다 좁으며 측면재(側面材)의 횡단면(橫斷面)상 방사조직(放射組織)은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 및 대응재(對應材)의 방사조직(放射組織)보다 더 명확(明確)하다. 2.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 특히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이 둥근 경향(傾向)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은 다소 모난 모양을 나타낸다. 그리고 세포간극(細胞間隙) (intercellular space), 나선강(螺旋腔) (helical cavity) 및 나선형(螺旋型) (spiral check)이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춘재(春材) 및 추재(秋材)에 모두 존재하는데 반하여 대응재(對應材)에 있어서는 춘재(春材) 및 추재(秋材) 모두에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3.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에 있어서 추재(秋材) 가도관(假導管)의 막(膜) 두께가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의 것보다는 더욱 크지만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추재(秋材) 가도관(假導管)은 그 막(膜)의 두께가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의 것과 비슷하여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과는 달리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에는 2차막(次膜)의 $S_3$ 층(層)이 존재(存在)하지 않는다. 4.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과는 달리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은 종종 그 선단부(先端部)가 굴곡(屈曲)되어 있으며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에 존재(存在)하는 유연막공(有緣膜孔)은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것과는 달리 세포막(細胞膜) 내표면(內表面)의 나선상(螺旋狀) (groove)에 존재(存在)한다. 5. 대응재(對應材) 및 측면재(側面材)의 가도관(假導管)의 방사막(放射膜)에 존재(存在)하는 유연막공(有緣膜孔)은 난형(卵形)이지만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가도관(假導管)의 유연막공(有緣膜孔)은 약간 변형(變形)된 난형(卵形)을 나타낸다. 6. 측면재(側面材)의 춘재(春材)에 있어서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둥근 삼각형(三角形)을 나타내며 대형(大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2개의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가 합병(合倂)되어 창상(窓狀)을 나타낸다. 그러나, 대응재(對應材)의 춘재(春材)에 있어서 소형(小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직립(直立)의 난형(卵形)을 그리고 대형(大形)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평복(平伏)의 난형(卵形)을 나타내며 압축이상재(壓縮異常材)의 분야막공구(分野膜孔口)는 가도관측(假導管側)의 막공연(膜孔緣)으로 인하여 춘재(春材)의 것이 양편 볼록렌즈형(形)을, 추재(秋材)의 것이 슬릿 (slit)형(形)을 나타낸다.

  • PDF

수 종 고사리삼과 식물 지상부의 가도관 구조 (Tracheid Structure in Aerial System of Several Ophioglossaceous Plants)

  • 김경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337-343
    • /
    • 1993
  • Tracheid structure of aerial system in five species of Ophioglossaceae and one species of Osmundaceae was examined with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species were Botrichium multifidum var. robustrum, B. ternatum, strictum, B. virginianum, Ophioglossum vulgatum, and Osmunda japonica. Three types of tracheids could be recognized by the pattern of secondary wall thickening; helical, irregular reticulate and circular bordered pitted tracheids. Among them, the appearance of circular bordered pitted tracheids supported that ophioglossaceous plants might have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 progymnosperm-seed plant line. Circular and elliptical bordered pits in shape were observed in five ophioglossaceous species; the former was subdivided into large and small types in size. In conclusion, three types of bordered pits were found: (1) large circular type- O. vulgatum, (2) small circular type- B. multifidum var. robustrum, B. ternatum and (3) elliptical type-B. strictum, B. virginianum. B. strictum and B. virginianum belong to subgenus Osmundopteris had the elliptical bordered pits. Therefore, this group might be interpreted as the most primitive in this family; however, such suggestion did subgenus Osmundopteris was classified into the most advanced group.

  • PDF

Longitudinal Conduction of Preservative Solution by Larix kaempferi

  • Ahmed, Sheikh Ali;Kim, Jong-In;Chun, Su-Kyo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4-129
    • /
    • 2008
  • Moisture content of Larix kapempferi was maintained at 28% after air drying. 5% CCFZ solution penetration depth was observed through longitudinal tracheid and axial resin canal. Penetration depth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heartwood to sapwood and the penetration depth was found 1.3 times higher for sapwood measured at 15.0 second of penetration. On the other hand, liquid flow in sapwood and heartwood involved most liquid first entering the resin canals. Overall resin canal conducted 1.4 times more than tracheid. Latewood was found more permeable than in earlywood. At the beginning of penetration, the speed was high and then decreased in the course of time.

  • PDF

낙우송(落羽松) 수간(樹幹) 가도관(假導管)내의 타일로시스 (Occurrence of Tyloses in Stemwood Tracheids of Taxodium distichum Rich)

  • 이필우;엄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163-165
    • /
    • 1988
  • 단막공(單膜孔)을 지니는 후막(厚膜)의 타일로시스가 삼나무형(型) 또는 편백형(型) 분야막공(分野膜孔)을 나타내는 낙우송(落羽松)의 수간(樹幹) 춘재(春材) 가도관(假導管)에서 관찰(觀察)되었으며 이러한 타일로시스는 방사유세포(放射柔細胞)가 가도관내강(假導管內腔)내로 확대(擴大) 침입(侵入)됨으로써 형성(形成)되는 것으로 여겨졌다.

  • PDF

주요(主要) 침엽수(針葉樹) 조림목(造林木)의 재질변이(材質變異)에 관한 연구(硏究)(I) - 잣나무, 낙엽송(落葉松), 편백(扁栢)의 해부적(解剖的) 성질(性質) - (Variations in Properties and Qualities of Major Plantation-grown Softwoods in Korea(I) - Anatomical Properties of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Chamaecyparis obtusa -)

  • 이찬호;박정환;김영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117-126
    • /
    • 1997
  • In fast grown softwood, there are very large changes in material properties going outward from the pith to bark such as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Some of variations in anatomical properties with annual ring were then examined from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Chamaecyparis obtusa, which are major softwoods of plantation in Korea. The large variations of annual ring width during young age of tree tended to stabilize after 25year through the transitional period in 17~23year. The ring density was 1.5~2.4 in 1~10year period, and 3.5~6.3 in 30~35year period, in which juvenile and mature wood were certainly assumed to be formed, respectively. Variations of tracheid length showed functional relationships with annual rings as logarithm. Demarcation between juvenile wood and mature wood could be 16~19year, which was determined from increase rate of tracheid length of 0.2%. Cell wall thickness increased with increase of annual ring even though large variations were observed as well. Variations of cell wall thickness within species were pronounced in latewood than earlywood. The increase of cell wall thickness from juvenile wood to mature wood was predominant in Larix leptolepis as 2.0times, and least in Chamaecyparis obtusa as 1.1 times. Cell diameters showed trends of increase during young age of 1~15year, and consistent afterward. The variations of cell diameter between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were greater in latewood, and most pronounced in Chamaecyparis obtusa.

  • PDF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 지재(枝材)의 압축이상재(壓縮理想材) 및 대응재(對應材)에 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 (Cellular Anatomy of Compression Wood and Opposite Wood in a Branch of Taxodium distichum Rich.)

  • 이필우;정연집;권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3호
    • /
    • pp.296-302
    • /
    • 1991
  • 본 연구(硏究)는 압축이상재가 현저하게 발달되어 있는 낙우송(落羽松)(Taxodium distichum Rich.)의 기재(技材)로부터 압축이상재율과 편심율 변이에 따른 압축이상재와 대응재의 해부학적(解剖學的) 특성(特性)을 비교(比較)하고자 실시하였다. 압축이상재의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가도관의 둥근형태, 춘재로부터 추재로의 매우 점진적인 가도관 이행(移行), 가도관 선단부의 뒤얽힘 및 나선강(螺旋腔)과 세포간극의 존재 등에 있어 대응재와 다른 특성(特性)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조직학적(組織學的) 특성(特性)은 압축이상재율과 편싱심률에 관계없이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적(數量的) 특성에 있어서도 압축이상재는 가도관장(假導管長)이 대응재보다 짧은 특성을 보였으나 방사조직(放射組織) 밀도(密度)와 단열방사조직(單列放射組織)의 수(數)는 압축이상재가 대응재보다 많았다. 그리고 단열방사조직의 세포고(細胞高)는 대응재가 압축이 상재보다 더 큰 특성(特性)을 나타내었다.

  • PDF

목탄시비 수목의 재질 (Wood Quality of Trees Fertilized by Charcoals)

  • 김병로;신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55-60
    • /
    • 2008
  • 본 연구는 목재의 재질에 대한 목탄 시용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묘목의 연륜폭은 대조구보다 목탄시용구에서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탄시용에 있어서, 낙엽송탄이 가장 큰 연륜폭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잣나무탄, 파티클보오드탄, 상수리탄 순으로 나타났다. 만재율과 비중은 목탄시용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낙엽송탄에서 가장 낮았다. 가도관장은 대조구보다 분말탄 시용구에서 길게 나타났지만 입상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도관폭은 목탄시용구와 무처리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벽두께도 조재부의 경우 목탄시용구와 무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재부의 경우는 목탄시용구가 무처리구 보다 큰 것으로 나타냈다. 마이크로피부릴 경각은 입상탄 시용구에서 대조구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분말탄 시용구와 입상탄 시용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처리구에서 분말탄과 입상탄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