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titratable acidity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7초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제품의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Jeungpyun Product Durins Fermentation)

  • 박영선;서정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00-304
    • /
    • 1996
  • 증편반죽의 증자과정 중에 일어나는 변화양상을 규명하고자 발효시간을 0에서 10시간까지 달리한 증편제품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른 증편제 품의 화학적 성질들의 변화양상은 반죽시료의 경우와 유사하였으나 증자과정 중 pH는 약간 증가한 반면에 적정산도, lactic acid, 총 당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과 총 유리아미노산은 감소하였고 특히 환원당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유리아미노산의 종류별로는 다소 증가 혹은 감소하여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PDF

복발효 감식초의 품질 (Quality of Persimmon Vinegar Fermented by Complex Fermentation Method)

  • 김미경;김미정;김소연;정대성;정용진;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9-44
    • /
    • 1994
  • To prepar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fermentation of high quality persimmon vinegar in the farm. the quality of the complex fermented persimmon vinegar(CFPV) was compared to that of naturally fermented persimmon vinegar (NFPV). The titratable acidity of the CFPV was 3% which was the half concentration of the NFPV.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 by HPLC was 6% in CFPV and NFPV was 5%. Organic acid compositions in persimmon vinegar were oxal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and glutaric acid in addition to acetic acid. Total content of the organic acids in NFPV was higer than in CFPV. Especially, the content of latic acid in NFPV was very higher than that of CFPV. the flavour, color and taste of persimmon fruit itself in CFPV were stronger than those in NFPV.

고구마와 호박을 첨가한 요구르트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weet Potato or Pumpkin)

  • 신용서;이갑상;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66-67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전유(全乳)에 고형분 함량(15%)을 증가시키기 위해 탈지분유 대신 고구마와 호박을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만들고, 젖산균의 산생성, 생균수 및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생성은 12시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그 이후에는 완만히 증가하였으며 호박첨가구보다 고구마첨가시 높았다. 생균수은 24시간 발효 후 모든구에서 $6.4{\times}10^{9}cfu/ml$이상이였으며 접종 후 12시간만에 정상기에 도달하였다. 발효액 중의 유기산은 탈지분유를 첨가한 경우보다 고구마나 호박을 첨가할 때 총산에 대한 젖산 함량 비율이 감소하여 대조구는 83%, 고구마첨가구는 76%, 호박첨가구는 74%이었다. 관능검사 결과를 보면 고구마첨가 요구르트가 대조구보다 우수하였고 호박첨가요구르트가 가장 나빴다. 발효가 완료된 모든 요구르트의 저장성은 $5^{\circ}C$에서 15일간 산생성과 pH, 생균수에 거의 변화가 없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고구마를 첨가하여 기호성이 높고, 식품 영양학적인 가치가 있는 새로운 형태의 요구르트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인삼이 첨가된 배추김치의 발효중 품질 특성 (Qualify Characteristics of Baechukimchi Added Ginseng during Fermentation Periods)

  • 구경형;이경아;박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44-1448
    • /
    • 2006
  • 김치의 주원료인 배추 대신 인삼 비율을 높게 하고, 김치 부재료를 그대로 이용하여 김치 발효과정 중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김치 제조 직후 pH는 대조구 5.48에 비하여 인삼 첨가구가 약간 높았고, 대조구의 적정산도는 0.24%, 인삼 첨가구는 0.25%였으며, 총균수와 젖산균수의 경우 대조구는 $1.59\times10^5,\;7.60\times10^4$에서 인삼 첨가구가 $1.90\times10^6\sim2.93\times10^2,\;2.21\times10^6\sim2.62\times10^6$으로 높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인삼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pH 감소와 산도 증가가 컸으나, 미생물 균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 관능검사 결과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인삼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인삼 첨가구의 김치 맛이 강하다고 평가하였고, 시료군 별로 초기의 조직감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한편 김치 제조에 사용한 인삼의 조사포닌 함량은 건물량으로 5.89%에서 김치 발효 후 3.74%로 감소되었고, Re, $Rg_1$, Rf, $Rg_2,\;Rh_1,\;Rb_1$, Rc, $Rb_2$, Rd, $Rg_3$의 ginsenoside 함량은 원료 인삼에 비하여 발효 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Rg_3$는 16.6 mg% 에서 59.2 mg%로, $Rh_1$은 22.2 mg%에서 39.4 mg%로 증가하였다.

조생 감귤의 품질 특성 분포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Early Harvesting Mandarin Oranges)

  • 홍석인;이주원;김선희;정문철;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4-59
    • /
    • 2003
  • 제주도를 5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생 감귤을 3년간 구입한 후 감귤의 품질인자로서 색도, 크기(종, 횡), 중량, 균일도, 당도, pH 및 적정산도를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각 품질인자의 연도별, 지역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감귤의 3년 평균 녹색도(100-황색도)는 2.58%로 대부분이 황색을 띠었으나 편차가 9.04%로 년도별 차이가 심하였다. 종과 횡의 크기는 3년 평균값이 각각 47.64mm 와 56.05mm 이었으며, 중량은 3년 평균값이 82.249으로 년도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였다 당도는 3년 평균치가 10.53$^{\circ}$Brix였고, 최고치는 17.2$^{\circ}$Brix, 최저치는 5.60$^{\circ}$Brix이었다. pH 및 적정산도의 3년 평균치는 각각 3.90 및 0.71%이었다. 지역별 품질특성을 보면 녹색도는 1.14-3.53%이었고. 종과 횡의 크기는 지역A가 각각 49.35mm 와 57.48mm로 가장 컸고, 지역I가 46.35mm 와 54.87mm로 가장 작았다. 중량 또한 크기에 비례하여 지역A가 87.619으로 가장 많이 나가고 지역I가 76.779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간의 당도는 10.27-10.75$^{\circ}$Brix 범위로 산지별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pH는 3.78-3.96범위였고, 적정산도는 0.64-0.75%로 지역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A Study of the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arm Produced and Commercially Produced Grape Juice in the Korean Market

  • Cabrera, Shirley Gutierrez;Moon, Kwang-Deo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40-746
    • /
    • 2007
  • Fruit juices such as grape juice are associated with healthy products by consumers because of the many health benefits they provide. Farm produced (FPGJ) and commercially produced grape juice (CPGJ) in South Korea were compared and studi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ir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PGJ'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more varied than CPGJ.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total soluble solids of FPGJ were higher than CPGJ. FPGJ had a higher mean value for total phenolics ($2,558.20{\pm}50.06\;mg/L$ GAE), total flavonoid ($3,236.80{\pm}56.11\;mg/L$), total anthocyanin ($559.88{\pm}3.51\;mg/L$),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86.48%) than CPGJ,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only with regard to total flavonoid and total anthocyanin.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CPGJ is preferred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These properties may be used as a basis for the optimization of processing to produce a higher quality grape juice.

CO2 흡수제 함유 김치포장에서 CO2 농도와 제품 숙성도의 상호관련성 (Interrelationship between Kimchi Ripening and CO2 Concentration of the Headspace in Flexible Packages Included with CO2 Absorber)

  • 정수연;이동선;안덕순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1-76
    • /
    • 2020
  • CO2 concentration in kimchi package has emerged recently as a potential index of product ripening to be monitored or sensed in intelligent packaging. Considering that addition of CO2 absorber into the flexible kimchi package changes behavior of its CO2 concentration, ripening of kimchi in total acidity, package CO2 concentration in partial pressure (PCO2) and package volume at 10℃ were estimated by mathematical model for two size packages included with different CO2 absorbers. In small size package containing 0.5 kg of kimchi, relatively less gas permeable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sachet of the absorber was found to give rise of PCO2 linearly correlated with acidity at acceptable conditions of absorber amount and size. The levels of PCO2 at optimum ripening were different with absorber amount. However, highly gas permeable microporous spunbonded film (Tyvek) sachet did not show the linear relationship except a condition of 1.5 g of CO2 absorbent. In large size package containing 2.0 kg, absorber sachets of LDPE and Tyvek could give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cidity and package PCO2 but at different levels (PCO2 of package with LDPE sachet: 0.46~0.79 bar, PCO2 of package with Tyvek sachet: 0.00~0.75 bar). The PCO2 at optimal ripening was found to be less variable with LDPE sachets than with Tyvek ones. Use of package CO2 concentration as an indicator of kimchi ripening was shown to be possible on the limited conditions where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established or confirmed.

Delaware 포도의 무핵재배에서 엽${\cdot}$신초${\cdot}$과립의 생장 및 성숙에 따른 화학성분의 변화 (Seasonal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Leaves, Shoot and Berries of ‘Delaware’Seedless Grapes induced by Gibberellic Acid)

  • 최수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2-148
    • /
    • 1997
  • 본 연구는 100ppm의 Gibbetellin을 만개기 전과 후 10일 각 1회(계2회) 과방에 침지 처리한 Dleaware 포도이 무핵재배에서 생육에 따른 엽${\cdot}$신초${\cdot}$과립이 주요성분의 경시적 진전특성과 상호관련성 및 과립의 품질구성요인들과 감미비와의 관련성을 구명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과립중의 누적생장곡선은 double sigmoid 양상을 보여 발육주기는 3기로 나눌 수가 있었으나 $GA_3$처리에 의향 그 특성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 과실비대와 각 성분의 변동과의 관계를 보면 경엽의 회분, 전탄소 전질소, 총탄수화물의 함량은 과실의 비대와 성숙과는 별다른 관계가 인정되지 아니 하였으나, 당과 전분은 밀접한 관계를 보여 전당함량은 과실의 비대 성숙기에는 감소하며 수확후는 급증하였다. 신초의 전분함량은 성숙의 진해으로 감소하다가 수확후는 증가하였으먀, 특히 경엽의 전당함량은 신초의 전분함량이 증가하는 수확후 11월에는 급감하여 전분으로 전류가 일어난다고 판단되었다. 3. 과립의 가용성고형물함량돠 환원당함량은 발육 제3기에 급증하였고 적정산과 유기산함량은 당이 급격히 축적하는 시기에는 급감하였다. 4. 과랍의 경도는 발육 제1기에 증가하다가 제2기에는 정체를 보인후 제3기에는 급감하엿다. 점도는 생육 제2기까지는 정체를 보인후 제3기에는 급증하였다. pH,점도는 고도의 正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명도와 경도는 고도의 負의 상관을 보였다. 경로계수 분석에서 pH(0.9090), 경도(0.5938), 점도(0.3550)는 正의 직접효과를, 명도(-0.3554)는 負의 직접효과를 보였다.

  • PDF

Assessment of Phytochemicals, Quality Attribut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Commercial Tomato Cultivars

  • Bhandari, Shiva Ram;Chae, Young;Lee, Jun Gu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677-691
    • /
    • 2016
  • To assess South Korean commercial tomato cultivars, regular and cherry tomato cultivars were grown in the greenhouse and evaluated for color attributes, titratable acidity, pH, total soluble solids, carotenoids (lycopene and ${\beta}$-carotene), total phenols, flavonoids, vitamin C, and antioxidant activit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most phytochemicals, quality parameters, and antioxidant activity among the twenty South Korean tomato cultivars tested. Lycopene and ${\beta}$-carotene contents varied significantly (p < 0.05 using DMRT), from $0.95mg{\cdot}100g^{-1}$ to $5.12mg{\cdot}100g^{-1}$ and $0.65mg{\cdot}100g^{-1}$ to $3.56mg{\cdot}100g^{-1}$ of fresh weight, respectively. ${\beta}$-carotene contents exhibited the highest genetic variation (59.2%), followed by naringenin (52.8%) and other phytochemicals. Most of the cherry tomato cultivars had statistically higher levels (p < 0.05 using DMRT) of carotenoids, phenols, flavonoids, vitamin C,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regular tomato varieties, suggesting their higher nutritional value. Lycopene content was highest in the cultivars YoYo, Jicored, Titi-Chal, TY-Endorphin, and Rubyking. Cultivars Rubyking, TY-Endorphin, and Titi-Chal also showed relatively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in three assay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s. All the antioxidants, except luteoli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the highes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otal phenol and antioxidant activities, follow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rutin and vitamin C. Cultivars identified to have superior nutritional status would be useful in tomato breeding programs to further improve quality and health benefits of tomatoes for the fresh and processed markets.

자몽씨 추출물을 첨가한 석이버섯주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Umbilicaria esculenta Yakju Add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during Storage)

  • 강혜영;이상권;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9-246
    • /
    • 2016
  • 석이버섯과 한방재료를 첨가하여 만든 숙성된 석이버섯주에 grapefruit seed extract(GSE)를 0.5%, 1% 첨가하여 $4^{\circ}C$는 165일간, $25^{\circ}C$ 75일간 저장하면서 약주의 저장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품질 특성은 pH, 총산도, 탁도, 일반세균수 및 ethanol, glucose, acetic acid, lactic acid 함량을 분석하였다. GSE 무첨가 약주는 저장 중 pH, 총산도, 탁도, acetic acid, lactic acid가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에 GSE 0.5%, 1% 첨가 약주는 미미하게 증가하여 큰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GSE 무첨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일반세균수는 대조군보다 GSE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P<0.05), 모든 시험군에서 대장균, 효모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Ethanol 함량은 저장 중 조금씩 증가하였고, glucose 함량은 저장 중 약간 감소하였으나 저장 중 큰 변화는 없었으며, ethanol, glucose 함량 모두 대조군과 GSE 첨가군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식품규격에 따라 품질 유지기한이 $25^{\circ}C$는 3개월, $4^{\circ}C$는 6개월까지 섭취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로써 GSE는 약주의 저장성 향상 및 품질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