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ollution load regul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분석적 BOD모델(AMB)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Model of BOD(AMB) for Total Pollution Load Regulation)

  • 김경섭;안태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775-782
    • /
    • 2000
  • 수질모델을 사용하여 수계내 오염물질의 총량관리를 위한 오염물질관리 목표량 및 허용총량 파악, 그리고 삭감계획의 효과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QUAL2E, WASP5 및 HSPF와 같은 수질모델은 다양한 자료를 요구하고 실제수계 적용이 쉽지 않음으로 수계의 수리학적 특성이 반영된 용이성을 갖춘 분석적인 수질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달경로를 고려한 배수구역내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분석적인 BOD모델(AMB)을 개발하였다. AMB모델은 배수구역내 소배수 구역의 하천 유하 거리가 약 7km 이내 비점오염원 유입 유로연장은 약 3.5km로 설정되어야 하며, 배수구역은 위의 유하거리를 만족하는 상태에서 가능한 한 일정한 수리학적 특성 및 반응속도상수를 갖는 소배수 구역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본 모델을 소하천에 적용해 본 결과 QUAL2E와 같은 상용화된 모델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지자체에서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수질관리대책 마련시 적절하게 본 모델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적용을 위한 도시유역의 하수발생량 분석 (Wastewater Flowrate Analysis of Drainage Basin for Application of Total Water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 권준희;박인혁;하성룡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5-82
    • /
    • 2009
  • 기존의 하천 수질을 규제하던 농도규제방식은 오염부하의 양적증가를 통제할 수 없어 수질개선에 한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폐수 중 오염물질의 총량을 규제하여 환경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허용부하량 이내로 배출 오염물질의 총량을 할당, 규제할 수 있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하수발생량 산출시 실측한 값을 사용하지 않고 오염원별 발생원단위를 곱하여 산출하여 실측한 data를 이용한 산출값과 차이가 있다. 수질오염총량관리에 의한 산출결과를 보면 건기시 관거유입량 $26,460.9m^3$/d, 관거이송유량 $17,778.6m^3$/d로 실측한 data를 이용하여 산출한 관거유입량 $17,106.1m^3$/d, 관거이송유량 $19,033.9m^3$/d로 차이가 났으며, 우기시의 경우 수질오염총량관리에 의한 관거유입량 $49,512.2m^3$/d, 관거이송유량 $18,628.7m^3$/d로 실측한 data를 이용하여 산출한 관거유입량 $30,918.2m^3$/d, 관거이송유량 $19,700.7m^3$/d로 차이가 났다. 오염 부하량의 기초값인 하수발생량이 실측한 하수발생량과 차이를 보여 효율적인 제도 수행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질오염총량을 이용한 생태계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 (Valuation of Ecosystem Water Quality Regulation Service Using TMDL)

  • 이창희;박경옥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0-2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 중 수질조절 서비스 가치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생태계서비스 수질조절 서비스의 물리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과거에 비해 수질이 개선되고, 어류 등 수생생물의 종과 수가 늘었더라도, 그 요인은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와 수질개선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 수질환경규제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된다. 그 중 생태계 조절서비스 가치에 대해 정량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를 정량적 가치를 규명하기 위해 수질오염총량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생태계의 수질조절 서비스의 산정된 물리적 수질조절량에 처리단가를 곱함으로써 경제적 가치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낙동강 수계에 BOD, T-P 항목에 대해서 생태계 수질가치를 평가하였다.

과학적인 수질관리를 위한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추진 방안 (Policy Directions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for the Scientific Management of Water Quality)

  • 박석순;나유미;나은혜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2호
    • /
    • pp.157-165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policy directions of total maximum daily loads(TMDL), which was recently adopted in Korea, for scientific management of water quality. The basic principles of water quality management are also discussed in this paper, along with the TMDL policy in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previous policy in Korea. We discussed several unreasonable points out of the previous approaches, such as regulation of all point sources with equal standards, negligence of an assimilative capacity of the receiving water, and emphasis only on drinking water supply, etc.. For successful applications of the TMDL policy in Korea, the following directions are suggested: 1) the unit drainage basin for each TMDL application should be given, 2) the water body where the water quality standards should be maintained, needs to be guided, 3)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of TMDL should be given, 4) the technical guidances should be given for applications of water quality models, and 5) the seasonal TMDL would be allowed. In order to maximize the benefits of the TMDL policy, the local governments would need to implement the following strategies: 1) the increment of an assimilative capacity of the receiving water, 2) the effective controls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3) the advanced treatment of the point sources, 4) application of system optimization techniques along with effluent trade, and 5) utilization of watershed management systems.

  • PDF

수질오염총량관리제하에서 친환경 개발사업을 위한 자연형 비점저감시설의 규모 산정 (Determination of Detention Basin Size for NPS Control in TMDL Area)

  • 정용준;이은주;이소영;임경호;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
    • /
    • 2007
  • 최근 환경정책의 변화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 및 비점오염원관리로 요약된다. 이는 과거 30년 동안의 급격한 환경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상수원수인 수질의 악화에 기인한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란 환경시설에서의 농도규제가 아닌, 하천에서의 비점오염원을 포함한 총량규제를 위한 제도로 점오염원관리와 더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비점오염원이란 각종 토지이용을 의미하며, 개발사은 비점오염원의 부하량 증대에 큰 영향을 끼치는 원인이다. 이에 개발사업에 따른 비점오염원을 제어하기 위해서 비점저감시설등의 설치가 의무화 되고 있다. 비점저감시설 중 자연형 비점관리시설등의 규모산정에 관한 내용은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관한 규정에서 강우량 해석을 기초로 하여 시설의 규모를 산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조트 스키장 개발사업에서 발생 가능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자연형 비점오염물질관리시설인 저류지의 규모를 산정하기 위하여 최근 5년간 및 10년간의 강우사상을 분석하였다. 강우량 해석을 통하여 적정 처리를 위한 강우량을 해석한 결과, 적정 저류지 용량은 누적강우량 기준으로 7.4mm가 가장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Kitan 해협의 유동 및 수질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s of flow and water quality in the Kitan strait)

  • 허재영;김한구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9-268
    • /
    • 2003
  • Kitan 해협을 포함하는 Seto내해(inland sea)에서는 COD, 인 등에 관한 총량규제가 실시됨에도 불구하고 적조현상과 빈산소 수괴 현상이 매년 발생하고 있는데, 그 원인으로서 저니로부터의 용출과 부영양화에 따른 1차 생산의 증가가 주목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조사결과는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는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이 육지뿐만 아니라 태평양으로부터도 유입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saka만과 Kii수로를 연결하는 Kitan해협에 있어서 유동구조와 물질수송구조의 실태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현지관측을 실시하였으며, 기 출판된 자료와 함께 연구대상 해역의 오염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지조사는 1999년부터 2002년 사이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자료의 획득은 각 계절을 대표하는 2월, 5월, 8월, 11월에 각각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