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Journal of Gastric Cancer
/
제21권3호
/
pp.221-235
/
2021
Purpose: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KGCA) has been conducting nationwide surveys on patients with surgically treated gastric cancer, every 5 years, since 1995. This study details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in 2019. Materials and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December 2020 using a standardized case report form, which was sent to every member of the KGCA via e-mail. We collected data on 54 items, including patient demographics, tumor characteristics, surgical procedures, and surgical outcomes.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2019 survey with previous surveys. Results: Data of 14,076 cases were collected from 68 institutions. The mean patient age was 62.9 years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were aged ≥71 years increased from 9.1% in 1995 to 28.8% in 2019. The proportion of upper-third tumors steadily increased from 11.2% in 1995 to 20.9% in 2019 and that of early gastric cancer increased from 57.7% in 2009 to 63.6% in 2019. Regarding operative procedures, a total laparoscopic approach was used in more than half of the cases (55.1%) in 2019. The most common anastomotic method was the Billroth II procedure (45.0%) after distal gastrectomy and double tract reconstruction (81.2%) after proximal gastrectomy in 2019. The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1.0%, and the overall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was 14.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2019 nationwide survey demonstrate the current status of gastric cancer treatment in Korea.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a basis for gastric cancer research in the future.
목적: 복강경하 보조 위 절제술이 위암 치료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수술적 치료와 관계하는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조기위암으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87예와 개복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정보와 혈청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임상병리학적 요인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총 백혈구수는 개복군에 비해 술 후 1일째와 3일째 더 증가 정도가 낮았으며(P=0.001, P=0.008), CRP는 술 후 1일째와 3일째에서 증가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632, P=0.139), 술 후 5일째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P<0.001). T4/T8 ratio는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술 후 3일째 감소 정도가 적었으나(P=0.003), Albumin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57). 결론: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은 개복 위절제술에 비해 Albumin을 이용해 비교한 영양학적 측면에서 장점은 없었으나, 술 후 총 백혈수의 증가, CRP 감소, 및 T4/T8 ratio 감소 등의 전신 면역 및 염증 반응에서 우월함을 알 수 있었다.
목적: 그렐린은 위에서 주로 생산되며 체내 영양상태를 반영하고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한다. 위암으로 위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의 혈장 및 조직의 그렐린 수치와 임상소견과의 관련성, 혈중 그렐린 수치와 위 암 조직 의 그렐린 수치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9월까지 위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위전절제술과 위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3개월 이내에 체중이 5% 이상 감소한 군과 5% 미만으로 감소한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 생화학 검사소견, 체질량지수, 종양의 병기, 조직 유형, 혈액과 조직의 그렐린 펩타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술 방법에 따라 수술 전후의 체질량지수, 생화학적 검사 소견, 혈중 그렐린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체중 감소 정도에 따른 환자들의 임상 양상, 혈중 그렐린 농도, 종양 조직 및 정상조직의 그렐린 수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이들 사이에 상호 연관성 역시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두 군 모두에서 종양 조직의 그렐린 수치는 정상 조직의 그렐린 수치에 비해 유의하게(P<0.0001)감소되어 있었고 종양의 분화도에 따라 종양 조직의 그렐린 수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7). 위아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7일 째 혈장 그렐린 농도는 수술 전 농도의 $36.5{\pm}25.6%$로, 위전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는 수술 전 농도의 $47.3{\pm}34.3%$로 감소하였다. 절제 범위에 따른 수술 전 후의 혈중 그렐린 농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위암의 발생 및 종양의 분화도는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며 위 조직의 그렐린 수치는 체내 그렐린 생성량을 반영하지 못한다. 위는 그렐린 생성의 주요 장소이며 위 절제 범위에 따라 혈중 그렐린 농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위전절술 후 다른 장기에서 그렐린이 대상성으로 더욱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렐린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들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목적: 위암이 국소적으로 진행하여 췌장과 비장으로 직접 침윤이 발생되었을 췌-비장 절제를 시행하는 것에는 반대 의견이 없지만, 췌-비장의 보존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비장혈관이나 비문부 림프절의 완전 절제를 위해서 췌-비장 절제가 시행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많다 저자들은 위 중-상부의 진행암으로 위 전절제술과 함께 원위부 췌-비장 절제가 시행되었던 환자들의 수술 결과 분석을 통하여 불필요한 합병절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2001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위 전절제술과 동반되어 원위부 췌-비장 절제가 시행된 118명의 환자 중, 병리 조직학적으로 암의 췌장 침윤이 없었던 90예(I군)와 침윤이 확인된 28예(II군)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이환율과 사망률 및 생존율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118예 중 췌장 침윤이 확인된 pT4는 28예(23.7%)였고, 침윤이 없었던 pT3과 pT2가 각각 65예(55.1%) 와 20예(16.9%)였으며, pT1도 5예(4.3%)였다. 병기는 28예의 pT4 중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어 IV기인 경우가 25예(89.3%)였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IIIa기는 3예(10.7%)에 불과하였다. 또한 I군은 la (pT1N0)기 4예, Ib (pT2N0)기 7예였고, II기는 pT2N1 8예, pT3N0 12예, pT1N2 1예였으며, III기는 IIIa 15예, IIIb 17예, IV기는 26예였다. 두 군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중 병기, 절제연 및 근치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단변량 분석에서는 병기, 위벽 침윤, 췌장 침윤, 림프절전이, 비장혈관과 비문부 림프절 전이, 전이 림프절 비율, 근치도, 간 및 복막 전이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중 병기와 전이 림프절 비율 및 근치도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 예후인자로 나타났다. 5년 생존율은 I군이 36.2%, II군이 13.9%였고, 술 후 합병증으로 췌장 루 6예(5.1%), 복강 내 농양 5예(4.2%), 출혈 5예(4.2%)로 수술로 인한 전체 이환율은 22.1%였으며, 사망률은 6.8% (8예)였다. 결론: 진행성 상부 위암으로 위 전 절제술을 시행할 때 원위부 췌-비장 절제는 이환율이 비교적 높은 술식이기 때문에 간이나 복막전이가 없는 상태에서 위암의 병기가 높고, 절제연이 불충분하며,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때에만 선택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Purpose: Gastric stump cancer is defined as a cancer that develops in the stomach after a resection in cases of non-malignant or malignant gastric disease. The interval between the gastrectomy and the detection of gastric stump cancer must be over 5 years. Since duodenogastric reflux gastritis is a precancerous condition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ducing gastric stump cancer, we compared the bile-acid content of gastric juice between gastric stump cancer patients and controls. Materials and Methods: To evaluate retrospectively the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gastric stump cancer, we reviewed the cases histories of 1016 stomach cancer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on at the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Kosin University Gospel Hospital, between 1995 and 1998. The gastric juice was collected during the operations on the gastric stump cancer patients by using a needle puncture of the fundus of the stomach and during the endoscopic examinations of the control subjects.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various bile acid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ults: The 6 gastric stump cancer cases accounted for $0.6\%$ of all gastric cancer patients; 5 patients were first operated on for a peptic ulcer and the remaining one for an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All of the cases were men. The reconstruction method after the initial gastrectomy was a Billroth II in all cases. The sites of the gastric stump cancer were the anastomotic sitein 2 patients, the upper body in 2, the fundus in 1 and the cardia in 1. The operative methods were 3 total gastrectomies, 2 subtotal gastrectomies with Roux en Y anastomosis, and 1 parti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and had a curative intention in all patients. All of the patients were still surviving at the time of this report. The gastric juices of 4 gastric stump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cholic acid ($36.42{\mu}g/ml$) compared to the gastric juices of 35 control subjects ($36.42{\mu}g/ml$)(p$\leq0.0001$). Chenodeoxycholic acid and lithocholic aci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 gastric juice of gastric stump cancer patients contained a significantly higher cholic acid content. At the time of the initial gastrectomy, an operative method that prevents duodenogastric reflux may prevent or minimize the development of gastric stump cancer, and more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 may improve survival.
Background: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of gastric carcinoma improves survival among high-risk patient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se long-term survival probability and the impact of certain covariates on the survival outcome in affected individual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5, 244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derwent adjuvant radiotherapy (RT) in our institution. Data were retrieved retrospectively from patient files and analysed with SPSS version 21.0. Results: A total of 244 case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2.2:1,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2 years (range, 20-78 years). Surgical margin status was positive or close in 72 (33%) out of 220 patients. Postoperative adjuvant RT dose was 46 Gy. Median follow-up was 99 months (range, 79-132 months) and 23 months (range, 2-155 months) for surviving patients and all patients, respectively. Actuarial overall survival (OS) probability for 1-, 3-, 5- and 10-year was 79%, 37%, 24% and 16%, respectively. Actuarial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probability was 69%, 34%, 23% and 16% in the same consecutive order. AJCC Stage I-II disease, subtotal gastrectomy and adjuvant C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roved OS and PFS in multivariate analyses. Surgical margin status or lymph node dissection type were not prognostic for survival. Conclusions: Postoperative CRT should be considered for all patients with high risk of recurrence after gastrectomy. Beside well-known prognostic factors such as stage, lymph node status and concurrent chemotherapy, the type of gastrectomy w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our series. With our findings we add to the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of required surgical margin for subtotal gastrectomy. We consider that our observations in gastric cancer patients in our clinic can be useful in the future randomised trials to point the way to improved outcomes.
Various flaps are using for reconstruction of esophageal defect. The choice of reconstruction is depended to the oncologic needs of the situation. If the entire esophagus or significant part of the thoracic esophagus is involved by tumor, then total esophagectomy and gastric pull-up or colon transposition is indicated. But for most hypopharyngeal tumors, laryngopharyngeal tumors, and cervical esophageal tumors, segmental resection of these area and replacement with a jejunal fee or forearm free flap has become the standard technique. The authors have experienced a case of total pharyngo-laryngo-esophago-gastrectomy and colon transposition in a patient of esophageal cancer following partial esophagectomy and gastic pull-up due to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We report this case with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Kim, Hyung Nam;Han, Sun Ae;Park, Ha Yeol;Kim, Hyun Woo;Hong, Ran;Choi, Nam Gyu;Shin, Min Ho;Yoon, Na Ra;Kim, Hyun Lee;Chung, Jong Hoon;Shin, Byung Chul
대한이식학회지
/
제32권4호
/
pp.104-107
/
2018
Mucormycosis is an extremely rare but potentially life-threatening fungal infection. Gastrointestinal (GI) mucormycosis is very rare and occurs primarily in highly malnourished patients, especially in infants and children. A 55-year-old man with end-stage renal disease due to diabetic nephropathy, who had undergone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2 years prior, complained of abdominal pain and distension with a 3-day duration.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diffuse gastric wall thickening, and a huge amount of grey colored necrotic debris surrounded by erythematous erosive mucosa was observed at the antrum to upper body by GI endoscopy. The microscopic examination obtained from a GI endoscopic specimen demonstrated peptic detritus with numerous non-septate mucor hyphae in the mucosa and submucosa. Mucormycosis was diagnosed based on the clinical findings and morphological features. A total gastrectomy was performed and an antifungal agent was administered. A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surgical specimen demonstrated invasive mucormycosis with numerous fungal hyphae with invasion into the mucosa to subserosa. The patient and graft were treated successfully by total gastrectomy and antifungal therapy.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the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s in the stomach.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2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 1995 to Sep. 2000 and who had been pathologically proven to have a MALT lymphoma. The factors we analyzed were operative procedure, tumor stage,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Of 3658 patients with a gastric malignancy, 22 patients proved to have a MALT lymphoma ($0.6\%$). There were 7 men and 15 women whose ages ranged from 25 years to 70 years (mean, 48.8 years). Forteen cases were located in the antrum, 4 ($18\%$) in the body and 4 ($18\%$) in the fundus or the high body. Nineteen of these patients were managed with total gastrectomy and splenectomy and 3 with radical subtotal gastrectomy. Histopathologically the tumor was limited to the mucosa in 3 patients ($1.36\%$), to the submucosa in 13 ($59.1\%$) and extended to the muscularis propria in 6 ($27.3\%$). Lymph node involvement was seen in 12 patients ($54.6\%$). There was no splenic or hepatic involvement. Bone marrow involvement was not seen in any patients. H. pylori was identified in 11 patients (50$\%$).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32.7 months, there were no reports of tumor recurrence or death. Conclusion: MALT lymphomas rarely disseminate by the time of diagnosis and rarely involve the bone marrow. Lymph node involvement is relatively high and a total gastrectomy is effective in managing patients with a MALT lymphoma.
Chung, Joo Weon;Seo, Kyung Won;Jung, Kyoungwon;Park, Moo In;Kim, Sung Eun;Park, Seun Ja;Lee, Sang Ho;Shin, Yeon Myung
Journal of Gastric Cancer
/
제17권3호
/
pp.220-227
/
2017
Purpose: Precise localization of tumors and creation of sufficient proximal resection margins are complicated processes during total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TLDG) for clinical T1/T2 gastric cancers. Various solutions to this problem have also yielded many disadvantages. In this study, we reviewed a preoperative endoscopic clipp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negative biopsy and selective intraoperative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345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TLDG and preoperative endoscopic clipping for tumor localization was conducted. During preoperative endoscopy, the endoscopists performed negative biopsies just 1-2 cm selectively above the tumor's upper limit. After confirming the biopsy results, endoscopic metal clips were applied just proximal to the negative biopsy site the day before surgery. Selective intraoperative tumor localization using portable abdominal radiography was performed only when we could not ensure a precise resection line. Results: Negative biopsy was performed in 244 patients. Larger tumor size (P=0.008) and more distally located tumors (P=0.052)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he negative biopsy group than in the non-negative biopsy group. The non-negative biopsy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ies of differentiated tumor types than the negative biopsy group (P=0.003). Of the 244 patients who underwent negative biopsies, 6 had cancer cells in their biopsy specimens. We performed intraoperative radiography in 12 patients whose tumors had difficult-to-determine proximal margins. No tumors were found in the proximal resection margins of any patients. Conclusions: Our tumor localization method is a promising and accurate method for securing a sufficient resection margin during TLDG.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