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mylase activity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9초

밀리미터파 처리가 청국장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llimeter Wa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 서동호;김미선;금준석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26-131
    • /
    • 2017
  • 결론적으로 밀리미터파를 청국장 발효시 60 GHz와 70 GHz로 조사하였을 때, 청국장 총균수에는 대조구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청국장 점질물의 함량과 pH는 대조구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밀리미터파는 청국장의 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청국장에 존재하는 가수분해효소들에 영향을 주어 생성되는 주파수에 따라 가수분해 산물에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특히 70 GHz에서는 청국장 발효에 중요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크게 증가였으며, 이를 통하여 70 GHz 밀리미터파 조사 청국장은 아미노태 질소 함량와 총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다. 청국장 발효 중 70 GHz의 밀리미터파 조사하면 기존과 다른 청국장의 풍미를 기대할 수 있다.밀리미터파는 청국장 발효시 균의 생장에는 영향을 미치진 않으나, 최종 청국장의 품질특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밀리미터파가 발효식품에 새로운 품질을 부여 할 수 있는 신기술이라 할 수 있다.

Administration of encapsulated L-tryptophan improves duodenal starch digestion and increases gastrointestinal hormones secretions in beef cattle

  • Lee, Sang-Bum;Lee, Kyung-Won;Wang, Tao;Lee, Jae-Sung;Jung, U-Suk;Nejad, Jalil Ghassemi;Oh, Young-Kyoon;Baek, Youl-Chang;Kim, Kyoung Hoon;Lee, Hong-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91-99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rumen-protected L-tryptophan (RPL-T) on duodenal starch digestion and gastrointestinal hormones (GIH) secretions using Hanwoo beef steers as the animal models. Methods: Four steers (423±24 kg) fitted with ruminal and duodenal cannulas were employed in a crossover design replicated twice. Treatments were control (basal diet) and RPL-T (basal diet+191.1 mg/kg body weight [BW]) group. Blood and duodenal samples were collected to measure serum GIH levels and pancreatic α-amylase activity at day 0, 1, 3, and 5 (-30, 30, 90, 150, and 210 min) of the study. Samples from each segment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re collected via ruminal and duodenal cannulas and were used to determine soluble protein and the starch digestion rate at days 6 (-30, 180, 360, and 540 min) and 8 (-30, 90, 270, and 450 min) of the experiment.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uminal pH, NH3-N,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including the levels of acetate, propionate, butyrate, isobutyrate, valerate, isovalerate, and the acetate-to-propionate ratio was observed between groups (p>0.05). Crude protein uptake was higher and feces starch content was lower in RPL-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e D-glucose contents of feces in RPL-T group decreased at day 5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no change was found at day 0, 1, or 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Serum cholecystokinin (CCK), melatonin, duodenal pancreatic α-amylase activity, and starch diges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RPL-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 Taken together, oral administration of RPL-T at the rate of 191.1 mg/kg BW consistently increased CCK concentration, pancreatic α-amylase activity in duodenal fluids, and starch digestion rate in the small intestine and thus found to be beneficial.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효과 증진을 위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 (Effects of the addition of Hizikia fusiforme, Capsosiphon fulvescens,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on antioxidant and inhibitory potential against enzymes related to type 2 diabetes of vegetable extract)

  • 통타오;장성매;고두옥;김보석;정광진;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60-467
    • /
    • 2014
  • 혼합야채추출물의 항산화와 ${\alpha}$-amylase 및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증진을 위해서 톳, 매생이, 미역귀의 첨가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해조류 첨가된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과 미네랄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3가지 해조류의 첨가량은 야채추출물의 일반성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톳과 미역귀 5% 첨가에 의해 칼슘,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톳 20% 첨가한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력이 야채추출물보다 각각 47.08와 16.82%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3가지 해조류 첨가에 의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큰 변화가 없었다. 톳, 매생이, 미역귀 20% 첨가에 의해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각각 27.47, 22.25, 17.2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해조류 첨가된 혼합 야채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약한 ${\alpha}$-amylase 억제활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강한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이 나타냈다. 특별히 미역귀 5% 첨가한 경우 ${\alpha}$-glucosidase을 98.26%로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전반적으로 해조류 첨가를 통해 야채추출물의 미네랄 함량이 증가하였고 항산화와 2형 당뇨병 관련 효소 억제활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소화효소 활성으로 본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적정 영양강화 조건 (The Optimal Enrichment Condition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 권오남;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4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수온과 염분농도의 변화에 따른 이들의 소화효소 활성을 파악하고, 소화효소 활성을 기초로 적정 영양강화 조건을 찾는 것이다. 다른 온도에서 24시간 배양된 rotifer 밀도는 $32^{\circ}C$에서 1,453 개체/mL로 가장 높았다(P<0.05). 그리고 배양온도 $28^{\circ}C$에서 염분농도에 따른 rotifer 밀도는 15 에서 2,147 개체/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배양환경에 따른 rotifer의 소화효소 활성에서 TAP 개체당 활성은 $24-32^{\circ}C$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단백질 비활성은 $32-36^{\circ}C$에서 높게 조사되었다(P<0.05). 그리고 TG-lipase 활성에서는 개체당 활성과 단백질 비활성 모두 $20^{\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또한 염분별 실험에서 TAP와 TG-lipase 활성은 32 psu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P<0.05). 32 psu에서 온도별 영양강화한 rotifer의 methionine 함량(% in protein), 지질 함량과 지방산 불포화도이 $20^{\circ}C$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DHA와 DHA/EPA 비가 $20^{\circ}C$ 실험구에서 12.6%와 12.5의 비로 각각 높았다(P<0.05). 따라서 rotifer B. rotundiformis의 지질 영양강화는 특히 TGlipase 활성을 높여 줄 수 있는 32 psu, $20^{\circ}C$에서 실시하는 것이 지방산 불포화도, DHA 및 DHA/EPA 비를 높여 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Giberellic acid와 Abscisic acid가 대맥종자(大麥種子) 및 초엽(?葉)에서 핵산합성(核酸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ibberellic and Abscisic Acids on The Synthesis of Ribonucleic Acid in Seeds and Coleoptiles of Barley)

  • 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2호
    • /
    • pp.84-102
    • /
    • 1978
  • 대맥(大麥)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 $10{\mu}M$ GA를 처리(處理)하여 배양(培養) 10시간(時間)에 배지(培地)에서 ABA의 농도(濃度)가 각각(各各) $0.1{\mu}M,\;5{\mu}M$$10{\mu}M$이 되도록 ABA 용액(溶液)을 첨가하여 ${\alpha}-amylase$ 생성(生成)의 소장(消長)을 그리고 $10{\mu}M$ GA와 $10{\mu}M$ ABA 혼합액(混合液) 처리(處理)하여 10시간(時間) 배양(培養) 후(後) 핵산(核酸)의 거동을 $10{\mu}M$ GA처리구(處理區)의 그것과 비교(比較)하였다. 대맥(大麥) 초엽(?葉)에 $10{\mu}M$ GA와 $10{\mu}M$ ABA를 처리(處理)하여 초엽의 생육(生育), chlorophyll, RNase의 활성(活性), 단백질(蛋白質) 및 총(繼) RNA 함량(含量)의 소장(消長)을 처리구(處理區)의 그들과 비교(比較)하였고 이들 hormone 처리(處理) 20시간(時間) 배양후(培養後) 핵산(核酸)의 거동 및 polysome과 menosome의 상대적(相對的)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몇 가지 결론(結論)을 얻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 처리(處理)에 의(依)한 총(總)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은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으며 ${\alpha}-amylase$의 분비(分泌)는 배양(培養) 18시간(時間)부터 활발(活潑)하였다. 2) $0.1{\mu}M$ ABA 첨가는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부분적(部分的)으로 저해(沮害)시켰으나 $5{\mu}M$$10{\mu}M$ ABA 첨가는 다같이 첨가 4시간(時間) 후(後)에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으며, 배양과정중(培養過程中) $5{\mu}M$ ABA 첨가는 GA의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다. 3) ABA는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alpha}-amylase$의 분비(分泌)에 별(別)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4)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GA 단독(單獨) 처리구(處理區)와 GA-ABA 처리구간(處理區間)에 핵산(核酸)의 분획(分劃)에서 별(別) 이(異)가 없었다. 5) 초엽에서 GA의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킨 반면(反面) ABA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감소(減少)시킴과 동시(同時)에 s-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켰는권(權) 이는 이들 hormone이 RNase의 활성(活性)에 상이(相異)한 영향(影響)을 준 것으로 보였다. 6) 초엽에서 ABA 처리(處理)는 RNA-DNA 획분(劃分)의 성분비(成分比)를 감소(減少)시켰다. 7)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RNase의 활성(活性)을 감소(減少)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의 활성(活性)을 증대(增大)시켰다. 8)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총(總) RNA에 큰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를 현저히 감소(減少)시켰다. 9) 초엽에 있어서 GA 처리(處理)는 초엽의 생장(生長) 및 chlorophyll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0)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단백질(蛋白質) 및 polysome의 형성(形成)을 촉진(促進)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1) ABA 처리(處理)는 polysome의 형성(形成)이 저해(沮害)되는 까닭은 ABA가 r-RNA의 합성(合成)을 저해(沮害)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lowers of Angelica gigas Nakai)

  • 박유화;임상현;김희연;박민희;이광재;김경희;김영국;안영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079-10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부위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암세포 억제 효과,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을 위해 참당귀 꽃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을 측정한 결과 $IC_{50}$ 값이 각각 3,535, 105.0 ${\mu}g/mL$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로 쓰인 ascorbic acid는 12.7 ${\mu}g/mL$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48.43${\pm}$0.18 mg/g)이 물 추출물(39.03${\pm}$0.69 mg/g)보다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에탄올 추출물(67.02${\pm}$4.38 mg/g)이 물 추출물(50.32${\pm}$1.24 mg/g)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항당뇨 활성을 위해 ${\alpha}$-glucosidase와 ${\alpha}$-amyl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acarbose 대비 약 34.45%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alpha}$-amylase 활성 저해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23.62%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물 추출물은 16.76%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암 및 항염 활성 측정 결과 모두 활성이 없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 참당귀 꽃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파쇄(破碎)고구마의 밀봉저장중(密封貯藏中) 화학성분(化學成分)의 변화(變化) (Chemical Changes during the Storage of Sweet potatoes Crushed and Sealed up with Polyethylene Film)

  • 김승겸;김성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45-52
    • /
    • 1984
  • Changes of chemical componts and populations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examined during a month-long storage of sweet potatoes crushed and sealed up with polyethylene film at $7-8^{\circ}C$. 1. Changes of starch, total protein, volatile acid and ammonia-nitrogen contents were li 2. In a three days, pH down and increase of non-volatile acid content were notable, populations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maximum. 3. Vitamic C and soluble sugar contents tended to be reduced during the storage and the leftover were 75-85% and 41-45% respectively. 4. ${\beta}$-Amylase activity decreased gradually and vanished 15-30days. 5. Variations of chemical compontents of the samples inoculated lactic acid bacteria were larger than non- treated to some extent. 6. As above results, mainly homo lactic acid fermentation was done in this storage condition.

  • PDF

Analysis of the Taste Component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 Kim, Eun-Jung;Hong, Ju-Yeon;Shin, Seung-Ryeul;Moon, Yong-Sun;Yoon, Kyung-Y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53-59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aste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RGC), as compared to either general cheonggukjang (GC) or non-fermented boiled soybeans (BS). Amylase activity was the highest (576.7 unit/g) in RGC, whereas protease activity was the highest (326.0 unit/g) in GC. The total soluble sugar contents of BS, GC, and RGC were 2,027.5, 905.5, and 837.5 mg/100 g, respectively. RGC ha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amino acids (2,127.4 mg/100 g) and essential amino acid (50.9%) among the samples. The ratio of sweet to bitter components was higher in RGC than in GC. Although the extracts of RGC had highe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o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han BS or GC, regardless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the ethanol extract of RGC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bility (92.4%) at 2.0 mg/mL. The chloroform extracts from GC and RGC showed their greatest superoxide dimutase-like activities at 17.2 and 19.7% at a concentration of 2 mg/mL,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sample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RGC had highest ability among samples under the same extract concentrations.

품종별 발아현미의 기능성분 및 라디칼 소거 활성 (Functional Compon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rminated Brown Rice according to Variety)

  • 이경하;함현미;김현주;박혜영;심은영;오세관;김욱한;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5-1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현미 품종별 발아 전후의 일반성분 분석과 ${\alpha}$-amylase 활성분석, GABA 및 식이섬유 함량분석, 항산화 성분, 라디칼 소거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GABA 함량은 일반현미는 0.07~28.24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아현미는 11.13~49.72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어 대체적으로 발아현미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큰눈(KN)과 수원595호(S595)의 발아현미가 일반현미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lpha}$-amylase 활성은 발아현미에서 일반현미에 비해 1.77~70.2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에서 각각 10.52~36.38 및 11.38~26.33 mg/100 g으로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55~13.39 및 3.52~9.78 mg/100 g으로 나타났다.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57.64~251.34 및 50.49~213.35 mg TE/100 g의 범위로 나타났고,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일반현미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항산화 성분 분석 결과에서 발아 후 함량이 감소하는 것은 발아과정에서 살수에 의해 수용성 항산화 성분이 씻겨 내려가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일반성분과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검정을 하였으며, 이는 현미와 발아현미를 이용한 가공품 제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생적인 장기 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가 곽향(Teucrium veronicoides)의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for Hygienic Long-Term Storage on Biological Activity of Teucrium veronicoides)

  • 박혜진;박기태;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81-591
    • /
    • 2017
  • 약용식물의 장기 저장을 위한 위생처리법으로 감마선 조사처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국산 약용식물인 곽향에 감마선 조사처리 후 항산화 효능 및 생리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먼저 곽향의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조사 판별 마커 확인을 위해 광자극발광법(PSL), 열발광분석법(TL), 전자스핀공명법(ESR)을 이용하여 조사처리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5 kGy, 10 kGy에서 조사선량에 따라 명확하게 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어 음성 시료와 양성 시료로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약용식물인 곽향의 위생처리 및 장기 보존을 위한 감마선 조사처리 시 PSL, TL, ESR 시험 검지법을 적용하여 감마선 조사 여부 판별이 가능한 것을 입증하였다.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유용성분의 추출 수율 비교를 위해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비조사구 0 kGy와 조사구 10 kGy의 total phenolics 함량을 비교한 결과,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추출 수율이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tal phenolics 추출 수율이 가장 우수한 열수 추출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total phenolics 농도를 각각 $50{\sim}200{\mu}g/mL$로 조절하여 항산화 및 생리활성 변화를 비교 검증하였다. 수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DPPH 라디칼 저해 효과와 ABTS 라디칼 저해 효과를 비교한 결과, 열수와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감마선 조사처리에 의한 효능 변화 폭이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 활성 확인을 위한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효과에서도 감마선 조사처리가 효능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BARS 저해 효과에는 감마선 조사처리에 의해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유의적으로 곽향의 TBARS 저해 효과를 증대시키는 양상을 나타내었지만 그 변화 폭은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마선 조사처리가 곽향의 항산화 효능 변화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곽향이 지닌 고유의 항산화력을 일부 보전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xanthine oxidase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항산화력과 유사하게 효소 억제 활성에 유의적인 변화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른 ${\alpha}-amylase$ 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곽향 열수 추출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10 kGy 조사처리 시 63.57%의 저해율을 보여주었으며, 비조사구 0 kGy에 비해 저해율이 23.26%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처리에 따라 ${\alpha}-amylase$ 억제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곽향의 위생처리를 위한 10 kGy의 감마선 조사처리 시 곽향 열수 및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감마선 조사처리가 곽향이 지닌 고유한 기능성을 보전하거나 소폭 증대시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가 감마선 조사처리 기술의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