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soil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251초

하천복원현장에서 표토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opsoil Management at River Restoration Projects)

  • 조용현;이종문;김원태;윤용한;강희경;박봉주;윤택승;장광은;신경준;어양준;곽무영;송홍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4-4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표토보존을 위해 국내 개발분야 중 주요한 사례에 해당하는 하천개발분야에서 표토관리의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는 데 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하천개발과정에서 표토관리의 실태와 문제를 파악하였다. 이를 분명히 하기 위해 국내 하천개선사업 중 환경부의 감독을 받는 생태하천복원사업으로서 최근 완료된 하천을 중심으로 개발 전과 개발 후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식물생장을 위해 최선의 토양관리 및 개선방법으로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을 선호하였다. 둘째, 경제적 문제와 시공의 불편 때문에 실제 표토의 수거 및 재활용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셋째, 개발 후 식물생장에 필요한 유기물, 총질소 등 토양조건 요인들이 전반적으로 감소한다.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대한 환경생태적(環境生態的)으로 안정(安定)된 녹화공법(綠化工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를 이용한 종비토(種肥土)뿜어붙이기공법(工法)의 시공효과(施工效果) 분석(分析) - (Studies on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Stable Revegetation Measures on Rock Cut-Slopes - Effect of Hydroseeding Measures with Forest Topsoil -)

  • 우보명;김경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383-390
    • /
    • 1998
  • 암절취(岩切取) 손(毁損)비탈면에 환경생태적(環境生態的)으로 안정(安定)될 수 있도록 적용이 가능한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를 이용한 종비토(種肥土)뿜어붙이기공법(工法)용 속성연화자재(速成緣化資材)(녹화토양(綠化土壤))의 시공효과(施工効果)를 분석하기 위하여, 1997년 4월에 현장 시공을 실시하였다. 3가지 유형의 녹화토양에 따른 식생 및 토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완전임의배치법으로 실험(實驗)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림토양(山林土壤)과 마사토, 퇴비, 슬러지, 연소재 등의 자재를 이용하여 조재한 3가지 녹화토양(綠化土壤)의 입도(粒度)분포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산림토양을 첨가함에 따라서 토양가밀도(土壤假密度)는 높아졌고, 토양경도(土壤硬度)는 시공 후 초기단계에서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식생의 활착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시공 1개월 후 전체 식생의 출현개체수(出現個體數)는 3,000본/$m^2$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산림토양을 첨가함에 따라서 공시종과 자연적으로 발생한 식생과의 경쟁으로 인하여 출현개체수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산림토양을 첨가함에 따라서 초기에 파종한 공시종 외에 산딸기, 왕바랭이, 망초, 방울토마토 등 약 6종/$m^2$ 이상이 자연적으로 출현하였다. 비탈면 식생의 종다양성(種多樣性)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산림토양의 이용가능성은 높았으며, 산림토양을 녹화자재(녹화토양)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산림토양의 특성(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 토성(土性), 유기물(有機物) 특성)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배합비율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PDF

토양시드뱅크에 의한 식생복원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Soil Seed Bank to the Revegetation)

  • 고정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9-109
    • /
    • 2007
  • The main objectives of this comparative study were 1) to compare the floristic similarity of species composition between the extant vegetation and seedlings from soil seed bank and 2) to quantify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soil seed bank to revegetation of forest in a constructed area, which is called "ecological impact mitig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power plant extension. Forest topsoil of seven plots was collected from the surface soil after measurements were taken on the ground vegetation in each plot. A greenhouse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monitored to analyze the germination potential of soil seed bank. The forest topsoil was spread on plastic trays ($0.7m^2{\times}7$) filled with a 5cm layer of sterilized potting mix. The results of monitoring for 2 years in a greenhouse were as follows : 1) seedlings of soil seed bank per 4.9$m^2$ were 1,269 with 36 species (1st year) and 2,615 with 25 species (2nd year). 2) 38${\pm}$8% of the flora species were germinated from soil seed bank.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use of soil seed bank would be effective to promote establishment of diverse species and vegetation. However, it behooves to continue monitoring on succession of vegetation and pursue revegetation with other methods for ecological restoration. Finally, adequate topsoil deposit and gathering methods should be studied properly.

산림표층토를 활용한 비탈면 생태복원녹화에 관한 연구(I)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Slopes(I))

  • 남상준;여환주;최재용;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10-119
    • /
    • 200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velop spraying cultivation method using forest topsoils in order to restore the disturbed slopes. In November the researcher collected a depth of 5 cm of topsoils from a well developed forest, after the fallen leaves were cleared. The essential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using the forest topsoils, during the early stages of planting, time is necessary for the desired vegetation to reach a similar state to the vegetation being restored. The best possible effect is obtained through a method utilizing forest topsoil(30%)+loam silt soil(70%)+seeding with grasses and native plants including trees, shrubs, and herbs. Several plants such as Pinus densiftora, Potentilla fragarioides, Miscanthus sinensis, Erigeron canadensis seemed to be naturally emerged from the topsoils From this experiment, it was recommended that environment potential within topsoil should be comprehended. Also, topsoil deposit and gathering methods should be experimented properly.

원식생 복원을 위한 산림표토내의 매토종자 적정 활용방안 연구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il Seed Bank for the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 김남춘;김호연;최미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201-214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orest topsoil's usefulness from July 2013 to Oct 2014. Generally, there are abundant seeds in topsoils and it can be used at restoration works. Mt. GARIWANG is famous for biodiversity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out the suitable utilization methods of natural topsoils for restoration works at sky-slopes construction sites. Test beds was made to identify suitable collecting times and suitable topsoil thicknes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t. GARIWANG have diverse species and in topsoils we can find lots of burried seeds which can be used at restoration works. Second, according to indoor experiment, as the depth of topsoil used thicker, the number of plants and coverage rates were increased. Also, there we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coverage rates between 5cm and 8cm thick topsoil plots and it can be possible to use at least 3cm thick topsoils even thou lower coverage rates. Third, as the results of research about indoor and outdoor experimental plots, there were difference in plant emergency. If we use the stabilizer to protect soil erosion, then we can get more increased results at sloped outdoor experimental plots. Fourth,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re was 389 species in whole region of Mt. GARIWANG. Through this seed bank experiments, we can find 23 varieties, including 4 tree varieties and 19 herbaceous varieties. We can find lots of native herbaceous species from topsoils. Fifth, this research was done at the specific area of Mt. GARIWANG and used limited topsoils. But we monitoring more longer periods, then there will be more useful outcomes. Finally by researching topsoils of Mt. GARIWANG, we can find diverse native plants. Thus, we must reuse natural topsoils of Mt. Gariwang for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토양개량제 혼합비율이 Green Topsoil의 물리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urce and Mixing Ratio of Topsoil on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een)

  • 박찬무;한동식;황규석;이용범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9-68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xing ratio of soil amending materials such as peat perlite, active carbon and zeolite for improvement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opsoil, of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var. Penncros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Appropriate addition of soil improvement material was increased the soil porosity due to the decrease of bulk density. Over supplement of soil improvement material induced the decrease of infiltration of water into soil.2Content of organic matter was increased in treatment of peat and active carbon . Soil reaction was decreased in peat treatment, but increased in perlite, zeolite and active carbon. Exchangeable cation capacity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all kinds of soil improvement materials used in this experiment.

  • PDF

석탄바닥재 처리가 골프장 잔디식재 사질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Effects of Bottom Ash on the Turfgrass Growth Media of Sandy Topsoil in Golf Course)

  • 이주영;최희열;양재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9-204
    • /
    • 2010
  • 화력발전 후 발생되는 석탄회의 발생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석탄바닥재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재활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석 탄바닥재와 모래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상토로 lysimeter를 제작한 후에 잔디를 재배하고 용탈실험을 수행해 석탄바닥재가 골프장 사질토양의 토양개량재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석탄바닥재와 모래를 일정비율(석탄바닥재 0, 10, 20, 30, 50%)로 혼합하여 조성한 lysimeter에 일정량의 관수를 실시하고 용탈수를 채취한 결과 석탄바닥재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해 석탄바닥재 처리가 모래토양의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비 후 3일 간격으로 용탈수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석탄바닥재의 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pH는 증가하였으나, 관수량에 대한 용탈수량, $NO_3$-N, $NH_4$-N 및 K의 용탈량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용탈수의 EC는 석탄바닥재의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초기부터 끝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는 석탄바닥재가 사질토양의 보수 보비력 및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 한다. 그러나 석탄바닥재 pH가 9.03의 알칼리성이고,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투수성이 불량해지고 토양에서 $PO_4$-P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석탄바닥재를모래에 20% 이하의 적정 비율로 혼합하면 보수 보비력이 낮은 골프코스의 사질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개량재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불이 지질과 토심의 차이에 따른 산림토양 미생물 군집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Forest Fire on the Microbial Community Activity of Forest Soi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Geology and Soil Depth)

  • 김지슬;김준호;정형철;이은영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15-25
    • /
    • 2023
  • 화성암과 퇴적암으로 이루어진 국내 산림토양 중 표토와 심토에서 채취된 시료의 미생물군집 활성도에 미치는 산불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분석결과, 화성암보다 퇴적암의 미생물군집에서 높게 나타났다. 산불 발생 초기에 효소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활성이 회복되었다. 또한, 토양의 훼손여부와 상관없이 심토는 표토에 비해 활성이 33~46% 저해되었다. EcoPlate를 이용하여 산불이 미생물 기질이용성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았다. 정상토와 훼손토의 평균반응구발색도 값 백분율은 표토에서 각각 52.7~56.8% 및 62.3~83.6%로 나타났다. 산불 발생은 토양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함으로 심토미생물군집의 다양성 및 기질이용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여진다. 미생물군집의 종다양성지수인 샤논 인덱스(Shanon index, H)는 모든 시료의 표토에서 높게 나타났다. 샤논 풍부도는 퇴적암 토양미생물이 화성암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표토가 심토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태·자연도 1등급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및 비교 -화성암 지역을 중심으로- (Analysis and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rst-Grade Soils from Ecological and Nature Map -Focused on Igneous Rocks Area-)

  • 이소진;추창오;정교철;김종태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61-68
    • /
    • 2023
  • 본 연구는 화성암 지역의 생태·자연도 1등급 토양의 표토와 심토를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비교하는 것이 목적으로, 채취한 토양시료를 대상으로 함수율과 pH를 측정하고 X-선 형광분석 및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함수율은 표토가 심토보다 높게 측정되었고 pH는 표토가 심토보다 더 산성으로 측정되었다. X-선 형광분석 결과, I9 시료가 카올리나이트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도시되었고 I7 시료가 카올리나이트와 가장 먼 위치에 도시되었으며, 그 외 시료들은 모두 I7 시료와 I9 시료의 사이에 위치한다. X-선 회절분석 결과, 점토광물의 평균 함량은 표토가 심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표적으로 산출되는 점토광물로는 일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카올리나이트, 녹니석, 깁사이트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향후 심토의 표토화를 위한 표토 복원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표토침식에 따른 내륙습지 훼손 가능성 평가 (Potential damage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by topsoil erosion)

  • 김성원;정안철;이대업;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521-531
    • /
    • 2020
  • 본 연구는 강우로부터 나타나는 표토침식과 퇴적의 영향을 고려하여 습지 훼손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용담댐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천천유역은 16개의 습지가 존재하며, 습지훼손 가능성에 대한 평가는 호수형습지와 소택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2002년, 2003년에 발생한 태풍사상을 적용한 결과, 벽남제습지의 경우 상류유역에서 유입되는 토사량은 저수용량의 2.30%(22,548 ㎥)로 가장 높았다. 산지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소택지의 평균 유입토사량은 저수용량의 0.03%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넓은 유역을 가지는 호수형습지보다 훼손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넓은 면적이 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호수형습지는 모형의 결과에서 토사유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토양침식에 의한 습지훼손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