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p dressing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18초

Yield Analysis of Flavonoids in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 koreanum Grown using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 Lee, Jeong Min;Lee, Jaemin;Lee, Jung Jong;Lee, Sang Chul;Lee, Sa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25-29
    • /
    • 2016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flavonoid content (rutin, hyperin, afzelin, quercetin, and kaempferol) of Acanthopanax divaricatus and A. koreanum, in response to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pinching height, planting time, and top dressing).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ranged from 0.201 to 0.690 mg/g with different pinching heights, 0.143 to 1.001 mg/g for different planting times, and 0.156 to 1.074 mg/g depending on the rate of fertilizer application. In both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the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upper section of the plant was greater than that in the lower se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which cultivation methods maximize the flavonoid content of A. divaricatus and A. koreanum, and thus help to optimize flavonoid yields to improve production for nutraceutical, pharmaceutical, and cosmeceutical applications.

Effects of Aluminum Sulfate and Protein Levels on Broiler Performance

  • Park, I. H.;K. H. Nahm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3-105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broiler performance with the level of crude protein(23 CP%, 21 CP% and 19 CP%) can be changed and affected, adding Alum(Al$_{2}$(SO$_{4}$)$_{3}$ㆍ14H$_{2}$O) and no Alum in litter(two ALUM levels and 3 Protein levels with 2$\times$3 factorial design). Alum was added as a top dressing to the litter at a rate of 200g ALUM / kg of rice bran. With the exception of the protein levels for feed :gain(P〈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ed intake, weight gain and feed :gain of chicks. For ammonia gas emission, both the main effects of Alum and protein(P〈 0.01 and 0.05) at 3weeks and interaction between Alum and protein(P〈 0.05), the main effect of Alum(P〈 0.01) at 6weeks did affected them. In litter excluded the main effects of Alum(P〈 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 contents ranged from pH to the rate of C: Organic-N(P〈 0.01).

  • PDF

호남평야지에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 (Reasonable Split Application Method of Nitrogen Fertilizer for Early Dry Seeding Culture of Rice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최원영;백남현;최민규;박홍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60-464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시방법을 구명하고자 '97~'98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질소분시방법간 토양 중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보면 5엽기에는 관행(T1, 기비시용)보다 추비중점시비(T2, T3)에서 많았고 그 이후는 점차 줄어들어 출수기에는 질소 분시방법간에 차이가 적었다. 엽면적 및 지상부 건물중은 생육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최고분얼기 이후에는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 한 처리에서 가장 많았다. 질소 흡수량과 질소 이용율은 관행 분시방법보다 추비중점시비에서 높았는데, 2차 추비시기 간에는 5엽기보다 7엽기에 시비한 처리에서 높았다. 수량구성요소 중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질소 분시방법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m^2$당 수수는 T3 > T2 > T1 순으로 많아, 쌀 수량은 관행에 비하여 3엽기:5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3%, 3엽기:7엽기:수비=40:30:30%로 분시한 처리에서 6%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질소분시방법은 3엽기:7엽기:수비로 각각 40:30:30%로 분시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심층추비시용(深層追肥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Deep Layer Split Application of Nitrogen Fertilizer on the Growth of Rice Plant)

  • 맹도원;김원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147-155
    • /
    • 1977
  • 본도(本稻)에 심층추비(深層追肥)를 하여 초기무효분벽(初期無效分蘗)을 억제(抑制)하고 유효경비율(有效莖比率)을 높여 생육후기(生育後期)까지 지속적(持續的)인 질소공급(窒素供給)으로 수량증수(收量增收)를 위하여 품종(品種)은 동일(統一)과 진흥(振興), 토양(土壤)은 식양토(埴壤土)와 사양토(砂壤土), 배수조건(排水條件)은 무배수(無排水) 배수(排水)로 구분(區分)하여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를 표준시비(표층추비)標準施肥(表層追肥)와 대비(對比)하여 추비비율(追肥比率)을 50%액비(液肥), 50%단자비(團子肥) 80%단자비(團子肥)로 하여 출수(出穗) 35일전(日前) 12cm의 토양(土壤)깊이로 심층추비(深層追肥)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경수변화(莖數變化)를 보면 진흥(振興)은 표층추비(表層追肥)에서 경수(莖數)가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다가 감소경향(減少傾向)도 심(甚)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낮으며 심층추비(深層追肥)에서는 경수(莖數)의 증감(增減)이 완만(緩慢)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현저(顯著)하게 높았다 나) 통일(統一)에서는 진흥(振興)처럼 표층추비(表層追肥)와 심층추비간(深層追肥間)의 경수증감(莖數增減)의 폭(幅)이 크지않으나 80%단자심층추비(團子深層追肥)는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이 $83{\sim}93%$로 가장 높았다. 다) 진흥(振興)에서 80%단자심층추비(團子深層追肥)는 시비량(施肥量)이 많은 것 같다. 라)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은 통일(統一)보다 진흥(振興)이 높은 경향(傾向)이다. 2. 주당총립수(株當總粒數)는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입수(粒數)가 증가(增加)할수록 등숙비율(登熟比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다. 3. 진흥(振興)에서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지엽(止葉)의 길이가 길며 수량(收量)과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4. 심층추비(深層追認)는 수확기(收穫期) 고(藁)중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을 증가(增加) 시켰으며 수량(收量)과도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조고비율(粗藁比率)이 심층추비(深層追肥)로 증가(增加)하였으며 통일(統一)보다 진흥(振興)이 높았다. 6.정조(精粗收量)은 80%단자심추(團子深追)>50%단자심추(團子深追)>50%액심추(液深秋)>표층추비(表層追肥)의 순(順)으로 심층추비(深層追肥)의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증수요인(增收要因)으로는 표층추비(表層追肥)에 비(比)하여 유효경비율(有效經比率)의 증가(增加) 및 수수증가(穗數增加)와 진당총립수(振當總粒數)의 증가(增加)로 본다. 7. 토양별(土壤別) 심층추비효과(深層追肥效果)는 통일(統一)은 사양토(砂壤土)에서 진흥(振興)은 식양토(埴壤土)에서 증수(增收)하였다. 8. 통일(統一), 진흥(振與) 다같이 식양토(壇壞土)에서는 80%단자심층추비(鬪子深層追肥)를 제외(除外)하고는 무배수(無排水)에서 증수(增收)하였다. 9. 본(本) 실험실시중(試驗實施中) 출수기(出穗期) 등숙기(登熟期)에 저온(低溫)이 계속(繼續)되어 통일(統一)에서 등숙비율(等熟比率)이 낮았으나 표층추비(表層追肥)에 대(對)한 증수효과(增收效果)는 진흥(振興)보다 통일(統一)이 높았다.

  • PDF

규산 및 삼요소 시비수준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licate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er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ice Plants and on the Incidence of Blast Disease of Rice Caused by Pyricularia oryzae Cavara)

  • 백수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7-109
    • /
    • 1975
  • 수도 도열병의 종합적 방제체계 확립의 일환으로서 합리적인 비료 시용에 의한 효과적 방제 가능성을 알고다 규산, 질소, 인산 및 가리 등 여러 비료를 시용하여 이들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수도품종 및 균주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71년과 1973년에 수도묘에 도열병균을 인공접종 및 자연발병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규산을 시용하면 수도 엽신내 규산함량은 크게 증가하고 전당함량과 가리함량도 증가하나 전질소 및 인산함량은 감소되었다. 2) 규산의 시용으로 도체내 C/N 율과 $SiO_2/N$율 및 $K_2O/N$율은 향상되었으며 이들과 도열병 발병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규산시용으로 도열병 발병지수는 저하되었다. 4) 도체내 규산함량은 질소질비료를 과용하면 감소되고 전질소함량은 증가되며 전당함량은 감소하여 도열병 저항성을 크게 저하시켰다. 5) 규산함량은 인산질비료를 많이 시용하거나 도체내 인산함량이 증가하면 감소되어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을 저하시켰다. 6) 가리질비료를 다시용하면 규산함량은 증가되었고 전질소함량은 감소되었으며 $K_2O/N$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가리함량이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과 유의적인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7) 도열병 발병지수는 공시된 균주범위내에서 진흥이 적었고 풍옥이 가장 컸으며 풍광 팔달은 비슷한 정도였다. 도열병균의 병원성은 $P_1,\;P_2,\;and\;P_3$의 순으로 강하였으나 풍옥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엽위별로는 5-6엽기의 묘에서 상위 제2엽이 발병이 많았고 제1엽과 제3엽은 비슷한 정도였다.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음성학자가 있다면, 이 또한 안되는 일입니다. 문의 구성과 어휘 요소와 아무 관련이 없는 말소리의 차이가 무슨 소용이 있으며, 통사 구조를 표현하고 저달하는 말소리를 연구하지 않고 어떻게 통사론을 연구할 수 있겠습니까? 다시 간추리면, 언어는 본질적으로 소리말이고, 언어의 특성과 사용 및 습득도 모두 소리말 형태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영국의 대학은

  • PDF

수도(水稻)에 대(對)한 분얼비(分蘖肥)와 수비량(穗肥量) 결정(結定)에 관(關)한 연구 (Study on Determine the Amount of Nitrogen to be Applied at Tillering and Reproductive Stages of Rice)

  • 오왕근;박준규;김웅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5-159
    • /
    • 1971
  • 1. 수도품종(水稻品種), 진흥(振興)을 써서 1969년(年)에 한 농가(農家)포장에서 실시(實施)한 비료시험결과(肥料試驗結果)에 입각(立脚)하여 유효분얼기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시비(施肥)할 질소비료량(窒素肥料量)을 결정(決定)하는 한 방법(方法)이 연구(硏究)되었다. 본시험(本試驗)에서는 0.1 ha 당(當) 4kg 상당(相當)의 질소(窒素)가 기비(基肥)로 각처리구(各處理區)에 시비(施肥) 되었다. 2.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시비(施肥)한 질소(窒素)는 수량(收量)을 현저히 증가시켰고 또 분얼기(分蘖期)에 시비(施肥)해야 할 질소량(窒素量)을 절하(切下)하고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0.1 ha 당(當) 6.82kg의 질소(窒素)를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收量) 670kg/0.1ha은 분얼기(分蘖期)에 8kg 이상(以上)의 질소(窒素)를 시용(施用)했을 때의 수량(收量) 644kg/0.1ha 보다 높았다. 이러한 사실(事實)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주는 추비(追肥)가 얼마나 중요(重要)한 것인가를 시조(施調)해 주는 것이다. 3. 분얼기(分蘖期)과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주어야 할 질소량(窒素量)은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에 따라 다른 것이기 때문에 이 양생육기(兩生育期)에 주어야 하는 질소량(窒素量)과 토양분석치(土壤分析値)와의 상관연구(相關硏究)는 필요(必要)한 것으로 그 시행(施行)을 제안(提案)한다. 4. 합리적(合理的) 시비법(施肥法)의 수립을 위하여 각생육기(各生育期)에 시비(施肥) 해야 하는 비료량(肥料量)과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연구(硏究)는 필요(必要)한 것으로 간주된다.

  • PDF

Biological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on blood characteristics in Hanwoo heifers subjected to lipopolysaccharide (LPS) challenge

  • Park, Bo Hye;Kim, Ui Hyung;Jang, Sun Sik;Yang, Seung Hak;Lee, Eun Mi;Kang, Dong Hun;Kwon, Eung Gi;Chung, Ki Y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818-827
    • /
    • 2016
  •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dietary feed additive containing probiotics alter either immune-related serum substances or serum metabolites in Hanwoo heifers. A probiotic treatment was given at 0.5% top-dressing of concentrate diet for 6 months. The change of immunological indicators in the blood was analyzed under LPS (Lipopolysaccharide) challenge. One day before administration of LPS, all heifers were fitted with an indwelling jugular vein catheter for serial blood collections. Both a serum tube and an EDTA-coated tube were collected at 30-min intervals from - 2 to 8 hours relative to the LPS challenge at time 0 ($1{\mu}g/kg$ of BW). Serum was used for analyzing albumin (ALB), glucose (GLU), total protein (TP), triglycerides (TG), phosphorus (IP), and non-esterified fatty acids (NEFA). Plasma was used for analyzing white blood cell (WBC), red blood cell (RBC), platelet (PLT) and inflammation-related factors (NE, LY, MO, EO, BA, Hb, HCT, MCV, MCH, MCHC, RDW, MPV).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B, GLU, TG, IP, and NEFA concentration with the passage of hours post challenge (p < 0.05). The level of ALB, GLU, TG, and 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 < 0.05) between treatments. However, none of the data showed interaction between time and treatments (p > 0.05). The level of WBC, EO, LY, and MO were reduced after LPS challenge (p > 0.05). In conclusion, LPS challenge after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changed the levels of both serum metabolites and inflammation-related factors. The increase of GLU and TG indicated a probiotics-positive response under LPS challenge (p < 0.05).

Influence of Houttuynia Cordata Powder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Ducks and The Impact of AlCl3 Treatment on Ammonia flux in Duck Litter

  • Chung, Tae-Ho;Choi, In-Ha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309-1313
    • /
    • 2015
  • Th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powder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ducks were investigated. Ninety ducks were assigned in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for 6 weeks: feeds supplemented with 1% or 2% H. cordata and a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eed conversion among the three groups (p > 0.05), but addition of H. cordata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p < 0.05) on initial and final body weight, weight gain, and feed intake of the ducks. Furthermore, the effects of chemical treatment (comprising 50 g and 100 g aluminum chloride [$AlCl_3$] per kilogram litter) on the ammonia ($NH_3$) flux in duck litters were also investigated. Duck litter was treated with $AlCl_3$ at a depth of 8 cm by top-dressing; this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on $NH_3$ flux (p < 0.05)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ut not at 2 weeks). $NH_3$ flux at 6 weeks were reduced by 25.4% and 37.5% by treatment with 1% and 2% H. cordata,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In conclusion, enriching the diets of the ducks with 2% H. cordata and adding 100 g $AlCl_3$ to their litter has beneficial effects on increasing their growth performance and reducing $NH_3$ flux in their environment.

측조시비기용(側條施肥機用) 호상비료개발(糊狀肥料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수도(水稻)에 대한 비효시험 (Development of Paste Fertilizer for Rice -II. Effect of Paste Fertilizer on Rice)

  • 성기석;신제성;곽용호;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10
    • /
    • 1987
  • 기계시비(機械施肥)가 용역(容易)한 반액체상(半液體狀)인 수도기비용(水稻基肥用) 호상비료(糊狀肥料)를 개발(開發)하여 이앙기(移秧機)에 부착(附着)된 시비기(施肥機)를 통하여 측조국지시용(側條局地施用)으로 태백(太白)벼와 천마(天磨)벼를 공시(供試)하여 비효시험(肥效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량(收量)은 시제품(試製品) 처리구(處理區)에서 분벽비(分蘗肥) 20%(N)를 감(減)하여도 감소(減少)되지 않았으며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시제품구(試製品區)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초기생육(初期生育)은 양호(良好)하였으나 후기생육(後記生育)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태백(太白)벼, 천마(天磨)벼 공(共)히 같은 경향(傾向)이었다. 식물체중(植物體中) 질소성분함량(窒素成分含量)은 생육초기(生育初期)에는 시제품구(試製品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높았으나 후기(後期)에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 PDF

축분 첨가제를 한우분에 첨가시 pH와 유해성 병원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Manure Additives on pH and Pathogen Populations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Manure)

  • 김삼철;;김동현;이혁준;최정훈;이기동;최인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529-1533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pplying alum (aluminum sulfate) and aluminum chloride on pH and pathogen populations of Hanwoo manure. A total of 36 steers (8 months old and averaging 300 kg in weight) were used in this trial and allotted to 9 pens (3 replication pens per group with 4 steers per experimental unit, $5{\times}8$ m). Chemical additives were applied as a top dressing with garden rake to a depth of 1 cm of manure with wood shavings in each treatment. The chemical amendments were control (without chemical amendments), 50 g of alum and 50 g of aluminum chloride/kg of Hanwoo manur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4 weeks. Adding alum and aluminum chloride to Hanwoo manure reduced (P < 0.05) pH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s during the 4-wk period. Both levels of the alum and aluminum chloride treatments tested decreased (P < 0.05)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enterica populations in Hanwoo manure at 2 and 4 weeks. It appears that the reduction in pathogen populations was primarily associated with the lower manure pH. If more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are put into effect regarding pathogen populations from Hanwoo facilities, treating Hanwoo manure with alum and aluminum chloride may be a good management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