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brushing

검색결과 385건 처리시간 0.034초

Investigation of bacteremia after toothbrushing in orthodontic patients

  • Hussein, Emad Ahmad;Acar, Ahu;Dogan, Alev Aksoy;Kadir, Tanju;Caldemir, Seniz;Erverdi, Nejat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7-184
    • /
    • 2009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rate of bacteremia following toothbrushing with toothpastes composed of several antibacterial agent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e conventional oral hygiene maintaining methods in orthodontic patients. Methods: This clinical study included 100 adult orthodontic pati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Each group comprised of 25 patients, wearing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In the first group, bacteremia was assessed after toothbrushing without using any toothpaste. In the second group, a 0.2% chlorhexidine gluconate mouthrinse was used before brushing with no toothpaste. In the third group, subjects brushed with a commonly used toothpaste which did not include an additional antimicrobial agent. The fourth experimental group used toothpaste which included tea tree oil, clove oil, peppermint oil and bisabolol as antimicrobial elements. Pre- and post-brush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using a strict aseptic technique. All samples were microbiologically evaluated using blood culture bottles. Results: Toothbrushing in orthodontic patients yielded to an increase in the occurrence rate of bacteremia when using normal toothpaste or no toothpaste at all. Conclusions: The use of chlorhexidine mouthwash before toothbrushing, and brushing with antimicrobial toothpaste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bacteremia (p > 0.05).

페루 도시 빈민 지역 청소년들의 칫솔질 빈도와 건강위험행동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and Toothbrushing among School-Going Adolescents in Poor Urban Areas of Peru)

  • 김연주;남은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322
    • /
    • 2017
  • 본 연구는 2014년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학생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면연구이며, 연구대상은 페루 리마북부 및 까야오 지역 내 일반 국 공립 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11~19세의 청소년 959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은 페루 도시 빈곤 지역 학생들의 각 건강위험행동과 칫솔질 빈도 간에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청소년들의 12.1% (116명)는 하루 1회 이하로 칫솔질 하였으며, 87.9% (843명)는 하루 2회 이상 칫솔질을 하였다. 하루 칫솔질 빈도의 평균은 2.42회였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보정 한 후에 두 가지의 건강위험행동과 칫솔질 빈도 간에 관련성이 나타났으며, 해당 건강위험행동은 여가시간에 주로 비활동성 여가생활(TV, game, internet)을 하는 학생과 외출 후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씻지 않는 학생(never/rarely)이 하루 칫솔질을 1회 이하로 할 OR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페루 리마 및 까야오 지역 연구대상 청소년들의 하루 칫솔질 평균치는 WHO에서 권장하는 최소 수준인 2회 정도로 파악되었으며, 건강위험행동(비활동성 여가생활, 외출 후 손씻지 않기)을 하는 학생들은 하루 칫솔질 빈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페루 도시 빈곤 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ODA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 프로그램과 개인위생 프로그램에 구강보건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직장인들의 구강건강신념과 구강건강관리 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al-health belief and oral-health care of company employees)

  • 임미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5-21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n oral-health promotion program geared toward office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0 employees at the headquarters of S construction company.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2008, the answer sheets from 208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191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17 unanalyzabl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largest number of the participants that accounted for 37.2% found their mouth to be neither healthy nor unhealthy. The greatest number of them that represented 58.1% had never visited a dentist's office to receive preventive treatment. 2. Regarding relationship between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and toothbrushing frequency, the most common toothbrushing frequency was three times a day( 46.5%) among the company employees who had ever received that education. In the event of the office workers without that experience, the most prevalent frequency was three times(63.6%). The toothbrushing frequ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p<0.05). As to the relationship of toothbrushing education experience to tooth- brushing method, the largest number(48.2%) of those who had ever received that education brushed their upper and lower teeth along with the gums by rotating the toothbrush downward from the top and upward from the bottom respectively. In the event of the office workers without that experience, 49.4 percent brushed their teeth and gums by rotating the toothbrush up and down. Thus, whether they had ever received education about toothbrushing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toothbrushing method(p<0.05). 3.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ir oral health belief by utilizing a five-point scale, they got a mean of 2.95. In each area of oral health belief, they got the best marks in benefit(3.66), salience(3.42), barrier(2.84), susceptility(2.58) and seriousness(2.23).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 of the study, two sorts of oral health beliefs, which are benefit and salience, should be stressed i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hat cater to company employees. And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actual oral health care.

  • PDF

칫솔질 교육 시 칫솔질 행정횟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mber of Brushing Strokes in Toothbrushing Education)

  • 최용금;최진선;임근옥;박덕영;김윤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1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cus on the number of brushing strokes among the performance factors and identify if the 10 times stroke of the rolling method is rational. Moreover, we evaluated the changes in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 and behavior after our rolling method instruction. The 10-stroke method of toothbrushing has been regarded as an effective method of removal of dental plaque, although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is claim. We allocated 40 healthy subjects to two intervention groups. During five visits, we measured a score for dental plaque removal and instructed the subjects on a toothbrushing technique with 5 or 10 strokes per section. At the initial and final visits,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one design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about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s, and behaviors.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compare the dental plaque removal score between the groups, and the changes in scores within each group over time. We also compared changes in mean scores in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s and behaviors before and after toothbrushing instruction. We found that the score for dental plaque removal increased with each additional toothbrushing instruction in both groups (p<0.001). However, we found no differences in the dental plaque removal scores between the 5-stroke and 10-stroke groups (p=0.399). The levels of oral health knowledge, perceptions and behaviors increased after the toothbrushing instructions in both group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advantage in emphasizing the 10-stroke method of toothbrushing in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칫솔질 지도여부에 따른 아동과 교사의 구강보건행태 (The Oral Health Behaviors for Children and Teachers by Teacher-Supervised Toothbrushing in Community Child Center)

  • 신선정;장정유;김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72-582
    • /
    • 2012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개인의 행동 변화, 물리적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교사의 역할과 책임을 고찰하고자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양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센터와 그렇지 않는 센터와의 구강건강증진에 대한 견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상적으로 교사가 칫솔질을 지도하는 센터의 아동들이 급식 후 칫솔질 실천율이 높았고, 간식 후 칫솔질 칫솔질 또는 물양치를 실천하는 비율이 높았다(p<0.05). 또한 이를 교사가 지도하는 빈도는 일상적으로 칫솔질을 지도하는 센터의 경우 '항상 또는 자주 지도'하는 비율이 높았고, 더불어 치약의 사용량과 칫솔관리 및 보관 등 구체적인 구강건강관리 내용을 지도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일상적으로 칫솔질을 지도하지 않는 센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불량한 칫솔을 교체하지 못하는 아동의 비율이 40.0% 이상인 지역아동센터가 전체의 24.4% 수준이었고, 그 사유로는 대부분 부모의 관심부족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칫솔질 지도여부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건강관련 보건행동은 칫솔질 지도여부와는 상관없이 일 평균 간식은 1회 정도 제공하며, 간식의 종류는 우식성 식품과 비우식성 식품을 반반 정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의 착한 행동에 대한 보상으로 일상적 또는 때때로 단것을 제공하는 비율이 각각 47.0%, 52.3%로 나타났다(p>0.05). 4.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칫솔질을 지도여부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교사들의 구강보건지식 수순은 높았고, 본인들의 칫솔질 실천도 일 평균 3회 정도로 높았으며, 회전법으로 칫솔질을 실천하고 있었다(p>0.05). 5.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환경 개선에 대한 견해는 칫솔질 지도여부와 상관없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건강증진 주체를 아동복지교사로 생각하고 있었으며(73.4%), 칫솔질 및 손씻기 용의 세면대 개선(77.2%)을 요구하였고, 대부분의 보건 프로그램을 건강증진 프로그램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중 양치와 손씻기 등 개인위생에 관한 내용의 요구도(100.0%)가 높았다. 뿐만 아니라 치과검진과 치과치료 연계(100.0%) 등 직접적인 치과의료 서비스제공의 요구도도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올바른 구강건강관리 행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도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지역사회 내에서 교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뿐 아니라 사회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면세마 실습실 방문자의 구취에 대한 주관적 자각정도와 관심 (Perceived oral malodor and need for dental care among visitors receiving dental prophylaxis)

  • 정미경;장계원;강용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843-852
    • /
    • 2011
  • Objectives :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perceived oral malodor and self-reported need for oral and dental care among patients receiving oral prophylaxis services and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toothbrushing method and tongue cleaning) for oral hygiene and oral malodor prevention. Methods :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462 receiving voluntary oral prophylaxis service in a dental laboratory at the J School of Public Health in Korea. The subjects were asked a range of questions related to the degrees of perceived oral malodor and concern for oral health status, as well as their demographic information and need for oral and dental treatment. Univariate analyses using Chi-square and T-test with a P-value of .05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2.0 for Windows. Results : 1. Male participants reported "moderately concerned for bad breath and smell" and "I don't care bad breath and smell" 39.1% and 26.2% respectively, while more female participants were concerned for oral malodor. "moderately concerned for malodor" and" highly concerned for malodor" 41.1% and 28.5%(p<.05).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groups was found. 19% of young adults (less than or equal to 29 years of age) reported "highly concerned for bad breath and smell" while 36.4% of older adults (greater than or equal to 50 years of age) reported "highly concerned for bad breath and smell"(p<.05). 2. 12 non-smoking participants (3.7%) and 15 smoking participants (10.8%) reported that they have perceived bad breadth and smell (p<.05). 3. Smoking participants reported a higher degree of need for oral malodor treatment than that of non-smoking participants 88.5% and 82% respectively(p<.05). 4. The participants who did regular toothbrushing more than 3 times a day reported "no malodor", 77 % as compared to 66.7% of the participants who did regular toothbrushing 2 times a day. Toothbrushing 2 times a day reported either "moderate malodor" or "sever malodor"(p<.01). Participants with more frequent toothbrushing reported less oral and breath odor as compared participants with less frequent toothbrushing. Conclusions :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oral prophylaxis for prevention and toothbrushing and tongue cleaning method oral malodor care and oral health status.

일부 보육교사의 유아 칫솔질 지도에 관한 실태조사 (Survey on Children Toothbrushing Teaching Guidance with Child Care Center Teachers)

  • 최용금;김희경;김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9-324
    • /
    • 2011
  •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세치제 사용과 칫솔질 지도 시 간과하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육교사를 위한 구강보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보육교사의 칫솔질지도에 관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수혜 여부를 조사한 결과 59.6%가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대상자의 15.4%가 보육교사 연수를 통해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보육교사의 55.1%가 적정 치약 사용량에 대해 교육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8.8%가 적정 치약사용량이 칫솔모 길이의 반 만큼이라고 응답하였다. 3. 칫솔질 지도 행태로 어린이 혼자서 칫솔질 하게 한다가 31.4%로 나타났다. 4. 칫솔질 권장 시기 교육에서 91.7%가 식사 후에만 칫솔질을 하도록 권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보육교사들의 구강보건교육 수혜여부와 칫솔질 권장시기 교육, 칫솔질 지도 행태, 치약삼킴 예방지도 그리고 적정 치약사용량과 같은 칫솔질 지도내용과 인식과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p>0.05), 구강보건교육 수혜여부와 구강건강에 대한 태도와의 상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이상의 결과로 보육시설의 보육교사들이 올바른 칫솔질지도를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보육교사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전문가의 체계적이고, 정확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보건교육사의 구강보건교육 수혜가 개인의 구강건강에 대한 태도변화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유아를 대상으로 칫솔질 지도 시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이며,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지역 고등학생들의 매점이용에 따른 칫솔질행태와 구강건강상태인식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Awareness in Accordance the Shops in used by some Local High School Students)

  • 윤성욱;오나래;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37-645
    • /
    • 2017
  • 본 연구는 매점이용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대구, 경북 28개의 고등학생들 280명의 매점이용에 따른 칫솔질 행태와 구강건강상태인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결과를 얻었다. 식사 및 간식 후 칫솔질은 여학생, 3학년에서 높았다. 칫솔질 후 10번 이상 입헹굼은 여학생, 자가용,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하는 경우는 여학생, 3학년, 자가용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매점이용 빈도 전체 평균은 2.26이며 구강건강상태인식은 3.44이다. 매점이용 빈도는 2학년, 등교시간 오전 8시 이전, 용돈은 많을수록 높았다. 구강건강상태인식은 남학생, 통학버스, 용돈은 많을수록 높았다. 칫솔질행태에 따른 매점이용 빈도는 3분 이상 칫솔질 시간에서 2.45로 높았고, 구강건강상태인식은 구강보조용품을 사용할 경우 3.32로 높았다. 구강건강상태인식, 일반적인 특징, 칫솔질행태가 매점이용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Y(매점이용 빈도)= -952 + .393(구강건강상태인식) - 1.721(등교시간) + .991(용돈) + 1.124(칫솔질 시간)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올바른 구강보건관리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이를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교육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대전 시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반건강행위, 칫솔질행위의 관련성 (Relationship amo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eral Health Behaviors, and Toothbrushing in Daejeon, South Korea)

  • 오상환;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5-175
    • /
    • 2016
  • 이번 연구는 2008년도 대전시 건강증진사업단이 의뢰하여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서 각 구별 인구분포에 맞게 표본을 추출한 대전 시민 20세 이상 성인 1,013명의 건강실천행위 전화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대전 시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반건강행위 실천, 칫솔질 횟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흡연은 성별, 연령대, 직업, 비만도에 따른 차이가 있고, 음주는 성별, 연령대, 수입, 직업, 비만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신체활동은 성별, 직업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칫솔질 빈도는 성별, 연령대, 수입, 직업, 비만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1일 2회 이상 칫솔질할 교차비는 남자에 비해 여자가 1.88, 20대에 비해 65세 이상이 0.51, 월수입 200만 원 미만에 비해 200만 원대가 1.58,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 군을 기준으로 운동을 하는 군이 1.60이었다. 점심 후 칫솔질할 교차비는 남자에 비해 여자가 1.76, 20대에 비해 65세 이상이 0.38, 자영업자에 비해 화이트칼라가 3.12, 학생이 2.19, 무직이 1.88, 고강도 신체활동을 안하는 군을 기준으로 하는 군이 1.37, 규칙적인 운동을 안하는 군을 기준으로 하는 군이 1.45이었다. 그러므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구강보건행위와 관계가 있으며 흡연, 음주, 규칙적 운동을 제외한 신체활동 등의 일반건강행위는 구강보건행위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보건소 구강보건사업을 다른 보건사업과는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다른 사업과의 통합사업보다는 대상자 특성에 맞는 적절한 구강보건사업이 대전 시민의 구강건강증진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시판 잇솔의 특성 및 잇솔모의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of the Bristles)

  • 양정승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9-173
    • /
    • 2002
  • The 180 toothbrushes out of 18 models( ten brushes for each model) were used for this examination among the toothbrushes for adults which were sold in the domestic markets. After three-month brushings through a roll ing method and Bass method were practiced with Toothbrush Stroke Tester which reproduced brushing methods outside the mouth, I investigated the morphology bristle tips of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Soft bristle toothbrushes(of 8 models out of 9 models) were badly damaged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2. Medium bristle toothbrushes(of four models out of five models) were irregularly worn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3. Hard bristle toothbrushes(of three models out of four models) were chisel-shapedly worn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4. Taper-shaped toothbrushes were very irregularly bent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5. It was examined in the bristle stiffness that soft bristle toothbrushes were found in 9 models(50.00%), medium bristle toothbrushes in 5 models(27.78%), and hard-bristle toothbrushes in 4 models(22.2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