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resec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하치조 신경 절단이 치주인대공간에서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Osteoclast in Periodontal Ligament Space by Denerveation of Inferior Alveolar Nerve in Young and Adult Rats)

  • 박경덕;성재현;배용철;경희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06-513
    • /
    • 2004
  • 본 연구는 하치조신경의 수술적 절단이 치주인대공간에서의 파골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동물을 젊은 쥐 군 과 성 쥐 군으로 구분하여 좌측 하악골에는 하치조신경절단을 시행하여 실험측으로, 우측하악골은 가수술측으로 사용하였다. Bundle 골 표면에 위치한 파골세포의 수 그리고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를 조직 형태적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Substance P 면역반응 신경섬유의 분포 변화를 치주인대와 치 수조직에서 평가하였다. Substance P 면역반응 신경섬유는 양군 실험측에서 고갈됨으로서 하치조신경의 수술적 절단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측에서 파골세포의 수가 젊은 쥐 군 과 성 쥐 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과 p<0.05). 그러나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는 양군 모두에서 실험측과 가수술측 사이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성 쥐 군에서 파골세포의 수가 젊은 쥐 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p<0.01), 파골세포의 골 흡수 활성도에서는 변화가 없었다(p>0.05). 이들 결과를 통하여 감각신경인 하치조신경의 절단과 연령증가는 치주인대 공간에서 Bundle골 표면의 파골세포의 수를 감소시켰으며 골 흡수 활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근 절제술의 합병증으로 오인 가능한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 (Recurrent Herpetic Stomatitis Mimicking Post-Root Resection Complication)

  • 홍성옥;이재관;장훈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4호
    • /
    • pp.418-425
    • /
    • 2013
  • 본 증례에서는 치근 절제술의 합병증으로 오인할 수 있는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49세 남환이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의 수직파절로 근관치료 후 근심협측 치근절제술을 시행하였다. 19개월 후 환자는 뜨거운 고기를 씹은 후에 좌측 구개부가 헐고 불편하다는 주소로 재내원하였다. 구강 내 검사 시 상악 좌측 제1대구치의 구개측 치은에 농루로 의심되는 융기부위가 관찰되었다. 임상 검사에서 치아는 치주탐침 시 출혈을 보였고 5 mm 이하의 치주낭이 관찰되었으나 치아동요도는 없었다. 방사선 검사에서 구개측 치근에 치주인대강 비후의 소견을 보였다. 농루로 의심되는 부위에 gutta percha cone을 이용한 농루 추적을 시도하였으나 삽입되지 않았다. 시야를 넓혀 구개 전방부를 관찰하였을 때 작은 원형의 궤양이 다수 관찰되었고 환자는 동통을 호소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비치성 동통으로 판단하여 구강내과에 의뢰하였고 구강내과에서 재발성 구내 헤르페스로 진단하여 항바이러스제 처방 후 환자의 통증 및 구개측 치은의 궤양이 소실되었다.

재생술식을 이용한 치근단 병소를 동반한 백악질 열리의 치료 (Treatment of cemental tear associated with periapical lesion using regenerative surgery; A case report)

  • 강효진;정겨운;방은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5호
    • /
    • pp.365-373
    • /
    • 2016
  • Purpose: Cemental tear is a specific type of root surface fracture characterized by a complete separation of a cemental fragment along the cementodentinal junction or a partial split within the cementum along an incremental line. It is suggested to be a factor for periodontal or periapical tissue destru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diagnosis and treatment of cemental tear associated with periapical lesion with root canal treatment and regenerative periodontal surgery. Treatments: A 60-year-old male who had a history of sports trauma on the mandibular right central incisor about 10 years ago presented with apical cemental tear. Clinical examination showed a slightly dark yellowish discoloration and sinus tract that was located on the apical labial mucosa. The mobility and percussion were also assessed on the diseased tooth and recorded as $Miller^{\circ}{\phi}s$ Class II and tenderness to percussion. The probing depth was within the normal limit (<3 mm).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a radiolucent lesion at the apical area and extended to distal aspect of the tooth along the fragment of cemental tear. After root canal treatment, periapical surgery was performed. The bony defect was exposed and then the detached root fragment was removed. Apical root resection and retrograde filling with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were accomplished and the bony defect was filled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ineral (DBBM) and covered with biodegradable collagen membrane. Results: After 9-month follow-up, healing of the mandibular right central incisor was uneventful and no swelling, purulence or pain was revealed in the associated area. Probing pocket depth was favorably stable, and the tooth mobility was decreased to the Miller's Class I. Conclusions: Apical cemental tear associated periapical lesion could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removal of the detached cementum in combination with apical surgery and GTR procedure.

  • PDF

낭종성 법랑모세포종으로 인하여 매복된 하악 구치의 교정-외과 치료: 증례보고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Unicystic Ameloblastoma Related to an Impacted Molar Tooth in the Mandible: Case Report)

  • 문철현;김현민;박대송;김동우;이상칠;김성용;임호용;염학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435-439
    • /
    • 2011
  • Ameloblastoma is an aggressive benign odontogenic epithelial tumour that may arise from the enamel organ, remnants of dental lamina, or the lining of an odontogenic cyst. It is usually categorized into solid or multicystic, unicystic, and peripheral types. Treatment ofameloblastomas include conservative methods such as marsupialisation, enucleation, and curettage; and radical treatments such as marginal or segmental resection. Radical treatments have resulted in lower recurrence rates; however, may also encounter esthetic, functional, and reconstructive problems. Unicystic ameloblastoma has been considered less aggressive and a lower recurrence tendency. Thus, many authors have recommended conservative treatment in cases of unicystic ameloblastoma. An 11 year-old boy presented with displaced second and third molars by luminal unicystic ameloblastoma in the mandible. Cyst enucleation, curettage, and third molar extraction were done. No signs of recurrence or esthetic problems such as facial asymmetry were seen radiologically and clinically, up to 8 years 2 months postoperatively.

하악골에 발생한 점액성 유상피암종의 치험1례 (MUCOEPIDERMOID CARCINOMA IN THE MANDIBLE : REVIEW OF A CASE)

  • 배종고;김명래;강나라;김재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66-171
    • /
    • 2006
  • Mucoepidermoid carcinoma is a common salivary gland tumor. It comprised 8% of all salivary gland tumor and originated mainly in parotid gland.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 is rare. It comprised $2{\sim}3%$ of all mucoepidermoid carcinoma, but it occurs in the mandible two or three times more frequently than in the maxilla. Central Mucoepidermoid carcinoma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an odontogenic cyst, such as dentigerous cyst, in which mucous goblet cell would have neoplastic transformation. In May 2002, a 25 year-old male visits in our clinic, presented with a progressive facial swelling after surgical tooth extraction of left mandibular third molar at 1999 in the army. After incisional biopsy, the lesion was confirmed as mucoepidermoid carcinoma so we performed tumor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surgery of mandible.

Reconstruction of large oroantral defects using a pedicled buccal fat pad

  • Yang, Sunin;Jee, Yu-Jin;Ryu, Dong-mo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7.1-7.5
    • /
    • 2018
  • Background: Oroantral communicating defects, characterized by a connection between the maxillary sinus and the oral cavity, are often induced by tooth extraction, removal of cysts and benign tumors, and resection of malignant tumors. The surgical defect may develop into an oroantral fistula, with resultant patient discomfort and chronic maxillary sinusitis. Small defects may close spontaneously; however, large oroantral defects generally require reconstruction. These large defects can be reconstructed with skin grafts and vascularized free flaps with or without bone graft. However, such surgical techniques are complex and technically difficult. A buccal fat pad is an effective, reliable, and straightforward material for reconstruction. Case presentation: This report describes three cases of reconstruction of large oroantral defects, all of which were covered by a pedicled buccal fat pad. Follow-up photography and radiologic imaging showed successful closure of the oroantral defects. Furthermore, there were no operative site complications, and no patient reported postsurgical discomfort.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use of the pedicled buccal fat pad is a reliable, safe, and successful method for the reconstruction of large oroantral defects.

치근단절제 및 역충전와동 형성방법이 치근단누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APICOECTOMY AND RETROGRADE CAVITY PREPARATION METHODS ON THE APICAL LEAKAGE)

  • 양정옥;김성교;권태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2호
    • /
    • pp.537-549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치근단 수술법에서 사용되는 치근단 절제방법 및 역충전와동 술식을 종래의 치근단 수술법에서 사용해 온 술식 및 방법과 치근단 미세누출의 측면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함이다. 치근단 절제방법 및 역충전와동 형성 방법에 따른 치근단 누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최근에 발거된 상악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 71개를 절제 각도 및 와동 형성방법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으며, 근관협부 처리에 따른 치근단 누출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최근 발거된 상악 제 1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 44개를 근관협부의 처리 유무에 따라 2개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각 시편치아에서 근관을 형성하고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한 후 각 군에 따라 저속 다이아몬드 절단기를 이용하여 치근단 3 mm를 절제하였으며 저속 round bur와 초음파 스테인레스 스틸 기구를 이용하여 역충전와동을 형성하고 IRM으로 역충전하였다. 시편을 2% methylene blue 용액에 7일간 침잠시킨 후 35% 질산 용액에서 용해시킨 다음,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비색계를 이용하여 누출 색소의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치는 이원변량분석법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dot}$ 사면을 부여하지 않고 치아 장축에 대해 직각이 되게 치근단을 절제하고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경우, 초음파기구를 이용한 군과 저속 round bur를 이용한 군사이에는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cdot}$ 사면을 부여하면서 치근단을 절제하고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경우, 초음파기구를 이용한 군은 저속 round bur를 이용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치근단 누출을 보였다(p<0.0001). ${\cdot}$ 초음파기구를 이용하여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경우에는, 치근단 절제시 사면의 부여에 관계없이 치근단 누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저속 round bur를 이용한 경우에는, 사변을 형성하지 않은 군이 사면을 형성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미세누출을 나타내었다(p<0.0001). ${\cdot}$ 치근단 절제시 사변을 부여한 경우에는, 저속 round bur로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군은 치아 장축에 직각으로 역충전와동을 형성한 군에 비해 미세누출이 적게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cdot}$ 초음파 기구를 이용하여 근관협부를 따라 역충전 와동을 형성한 군은 저속 round bur를 이용하여 근관협부를 따라 역충전 와동을 형성하지 못한 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치근단 누출을 나타내었다(p<0.0001).

  • PDF

법랑모세포섬유종 환아에 관한 증례보고 (AMELOBLASTIC FIBROMA IN MIXED DENTITION : A REPORT OF 2 CASES)

  • 권정현;이제호;최형준;최병재;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9-314
    • /
    • 2007
  • 법랑모세포섬유종은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치성종양으로 조직학적으로 상피, 간엽조직이 증식하는 신생물이다. 방사선학적으로 경계가 명확한 단방성 혹은 다방성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주로 구치부에서 발견되며 서서히 팽창하여 피질골을 팽윤시키고 대구치나 소구치의 맹출을 지연시킬 수 있다. 치료법으로는 완전절제술(radical resection)과 보존적 적출술(conservative enucleation)이 있으며, 흔하지는 않지만 재발과 악성전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술 후 주기적 관찰이 필요하다. 이번 증례는 하악 우측 제 1대구치 의미 맹출을 주소로 내원한 만10세 여자 어린이와 구강 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만5세 여자 어린이에서 방사선 투과성 병소에 의한 구치의 맹출장애가 관찰된 경우로, 병소를 포함한 치아를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적출물을 조직검사 의뢰하여 법랑모세포섬유종으로 확진되었으며 그 후 양호한 치유과정을 보였다.

  • PDF

법랑모세포 섬유종에 의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지연 (DELAYED ERUPTION OF LOWER FIRST MOLAR ASSOCIATED WITH AMELOBLASTIC FIBROMA)

  • 정정화;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62-269
    • /
    • 2011
  • 법랑모세포 섬유종은 드문 진성의 혼합성 양성종양으로 20세 이하의 비교적 어린 연령층의 하악 후방부에 호발한다. 흔히 하악 구치부의 미맹출치와 관련하여 발생하며 치조골 표면에서 서서히 성장하여 이환치를 치근단 방향으로 변위시켜 정상적인 치아 맹출을 방해한다. 약간의 피질골 팽창 외에 다른 증상은 거의 없어서 정기적인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법랑모세포 섬유치아종 및 치아종과 비슷하나 조직학적으로 치아 경조직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이 다르다. 치료방법은 적출술과 주위 골의 소파술을 포함한 보존적 외과적 처치가 일반적이나 재발가능성이 있고 악성종양으로의 변이를 보인다는 일부 보고가 있어 절제술과 같은 보다 공격적인 치료방법이 추천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병소는 피막으로 잘 둘러싸여 있으며 주변의 골와에서 쉽게 분리되므로 재발률은 낮은 편이다. 본 증례는 하악 좌측 제1대구치의 맹출지연과 관련된 법랑모세포 섬유종을 주소로 본과에 내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보존적인 적출술 및 소파술을 시행한 것으로 정기적인 관찰 결과 비교적 양호한 제1대구치의 자연적 맹출양상을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치근단 감염 치아의 치근단 수술 후 예후에 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PERIAPICALLY INFECTED TEETH TREATED WITH PERIAPICAL SURGERY)

  • 김현민;박철휘;이상칠;김동우;박대송;정진환;이슬기;송민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36-24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to monitor the outcomes of periapical surgery in periapically infected tooth with or without retrograde filling materials (MTA or IRM). Patients and Methods: A total of 85 teeth in 6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etween November 2004 and August 2008. Randomly, MTA or IRM was used as a retrograde filling material or only apical resection without retrograde filling. Teeth with advanced periodontal bone loss or presence of root fracture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The patients were subjected to a minimum follow-up period of 12 months, with a mean of 17.1 months. Results: Successful healing was observed in 83.3% of the MTA-treated teeth, 80% of the IRM-treated teeth and 75% of the teeth which was not retrograde filling. Doubtful healing was seen 9.3% (MTA), 13.3% (IRM), 12.5% (no retro-filling). The success rate of upper incisors (92%) was higher than lower lincisor and molars (66.7% and 50%,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is study, periapical surgery including retrograde filling improves the prognosis.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retrograde filling materials (MTA or I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