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impacted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32초

자가 이식을 이용한 매복 견치의 치험례: 증례보고 (AUTOTANSPLANTATION OF IMPACTED MAXILLARY CANINES: CASE REPORTS)

  • 고윤식;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5-440
    • /
    • 2011
  • 상악 견치의 매복은 소아치과 의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맹출장애이며, 이를 방치하였을 경우 인접치의 치근 흡수, 낭종 형성 등의 임상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치료는 간단한 유치 발치에서부터 매복치아의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자가이식 등 다양한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중 자가 이식은 매복치아가 교정적 견인술을 시행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거나 재위치 시키는데 실패했을 경우에 매복치아의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으며, 그 예후는 치근의 완성도, 환자연령, 외과적 술식, 근관치료 시기, 치아고정 기간 등에 의해 결정된다. 본 두 증례들은 혼합치열기 말기에 상악 견치가 매복된 환자에서 그 매복 위치가 자발적인 맹출 유도나 교정적 견인 및 배열이 어렵다고 판단된 경우이며, 자가 이식 후 근관치료와 교정 치료를 시행하고 현재까지 성공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impacted maxillary third molars: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study of the position and depth of impaction

  • de Andrade, Priscila Ferreira;Silva, Jesca Neftali Nogueira;Sotto-Maior, Bruno Salles;Ribeiro, Cleide Gisele;Devito, Karina Lopes;Assis, Neuza Maria Souza Picorell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7권3호
    • /
    • pp.149-155
    • /
    • 2017
  • Purpose: The classification of impacted maxillary third molars(IMTMs) facilitates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and helps estimate the degree of surgical difficulty. Thu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3-dimensional classification of the position and depth of impaction of IMTMs and to estimate their prevalence with respect to gender and age.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images in sagittal and coron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ections of 300 maxillary third molars. The proposed classification was based on 3 criteria: buccolingual position (buccal, lingual, or central), mesial-distal position (mesioangular, vertical, or distoangular), and depth of impaction (low, medium, or high). CBCT images of IMTMs were classified, and the associations of the classifications with gender and age were examin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Scheffe post-hoc test. To determine the associations among the 3 classifications, the chi-square test was used (P<.05). Results: No significant association of the classifications with gender was observed. Age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th of impaction (P=.0001) and mesial-distal position (P=.005). The most common positions were buccal(n=222), vertical(n=184), and low (n=124). Significant associations among the 3 tested classifications were observed. Conclusion: CBCT enabled the evaluation of IMTMs in a 3-dimensional format, and we developed a proposal for a new classification of the position and depth of impaction of IMTMs.

상악 전치의 매복을 동반한 환자의 치험례 (Orthodontic Traction of Multiple Impacted upper Anterior Teeth: Case Report)

  • 탁명현;조진우;장나영;조진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4호
    • /
    • pp.407-421
    • /
    • 2012
  • 악악면 부위의 교정적 문제는 크게 골격적인 문제와 치성적 문제로 나룰 수 있다. 치성적 문제로 인해서 많은 교합의 부조화가 발생하는데 이중 치아의 결손 또는 치아의 맹출 실패는 기능적 문제뿐만이 아니라 심미적 문제도 같이 유발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심리적인 문제도 환자를 내원하게 만드는 중요한 이유이다. 상악골에 다수의 치아가 맹출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교합적, 심미적 문제 뿐만 아니라 치조골의 유지 또한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다수치의 맹출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보다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증례의 환자는 #13, 12, 11, 23, 43이 맹출하지 못하는 문제를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상악 치아들을 맹출하게 하기위한 외과적 노출술 및 단계별 교정적 정출을 통하여 완벽한 교합을 이룰 수 있었다. 또한 추가적인 치주 처치를 통하여 치아맹출시 발생한 치은 퇴축을 제거하였다. 우측 매복 하악 견치는 자연스러운 악궁 확장과 leeway space를 이용하여 특별한 외과적 처치 없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The Effect of the Impacted Position of Palatally Inverted Mesiodens on the Selection of Sedation Method

  • Soojin Choi;Jihyun Song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63-73
    • /
    • 2023
  • Purpose: Hyperdontia is a developmental disorder of the oral cavity. Mesiodens refers to the hyperdontia located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During the surgical procedure, the anesthetic method for pain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factors related to the surgery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impacted position of the mesiodens on the selection of sedation method and to suggest incisive foramen as a brief referenc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26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extraction of mesiodens.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patients with one palatally impacted inverted mesiodens accessible from the palatal gingival margin, and those with good cooperation potential in order to control for clinical information.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vertical, horizontal, and palatal positional factors were measured, and the anesthetic method was determined by two examiners.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group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cisive foramen.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All positional factors differed between the outpatient and inpatient anesthetic groups. The vertical minimum distance from the alveolar ridge to the mesiodens (Va) and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palatal surface to the crown tip of the mesiodens (Tc) were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anesthetic method. The distribution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al groups differed between the outpatient and inpatient anesthetic groups. Conclusion: The incisive foramen can be used as a brief reference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anesthetic method. Referral for inpatient anesthesia may be a priority if they are in the V2H2 group with Va ≥5 mm, and Tc ≥6 mm, and outpatient sedation may be considered if they are in the V1H1 group with Va ≤1.5 mm, and Tc ≤2.5 mm.

Characteristics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related lesions

  • Dong-Min Lee;Jihye Ryu;Hyeonjin Kim;Jae-Yeol L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50권3호
    • /
    • pp.153-160
    • /
    • 2024
  •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among lesions by retrospectively comparing panoramic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esions associated with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MT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in patients who simultaneously underwent IMT extraction surgery and related benign tumor resection or cyst enucleation at our institution from 2017 to 2021.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two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The first comparison considered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lesions associated with IMTs: dentigerous cysts, odontogenic keratocysts (OKCs), and ameloblastoma. The second comparison involved placing dentigerous cysts, which have a relatively low recurrence rate, into group A and placing OKC, ameloblastoma, and odontogenic myxoma, which have high recurrence rates, into group B.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lesion were found in the order of ameloblastoma, OKC, and dentigerous cyst (P<0.05). The buccolingual width of ameloblastoma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other group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between the OKCs and dentigerous cysts (P=0.083). Conclusion: Patient age and lesion size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lesion types associated with IMTs, with younger age and larger lesions for OKCs and odontogenic tumors. OKCs are likely to have a larger mesiodistal width than dentigerous cysts. The buccolingual width of ameloblastomas was larger than those of dentigerous cysts and OKCs.

상악 유측절치 부위의 유치 과잉치에 관한 증례 보고 (SUPERNUMERARY PRIMARY TOOTH IN THE PRIMARY LATERAL INCISOR REGION)

  • 한효정;이제호;김성오;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9-102
    • /
    • 2006
  • 과잉치란 치배 형성기 이상으로 유치열기와 영구치열기에 정상보다 많이 발생하게 된 치아를 말한다. 유치 과잉치의 빈도는 $0.03{\sim}1.9%$로 상악 유측절치 부위에 호발하고 대부분은 정상 치아 형태로 맹출하며 정상 시기에 탈락하므로 보호자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과잉치의 발생에 대해서는 현재 치판의 과활성으로 인해 제 3의 치배가 발생한다는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고 유치 과잉치가 발생할 경우 영구치열기에는 정상 또는 비정상적인 형태의 계승 과잉치가 존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유치 과잉치의 약 75%는 정상적으로 맹출하고 탈락하기 때문에 특별한 처치는 필요하지 않지만 계승 영구치 맹출에 영향을 주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구강 및 방사선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본 두 증례의 경우 정상 치아 형태의 유치 과잉치가 유전치부 발육 공간을 이용하여 상악 유측절치 부위에 맹출하였고 방사선 사진 검사 결과 유치 과잉치 하방에 매복된 계승 과잉치가 관찰되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NDIBULAR FIRST MOLAR)

  • 이두영;송제선;이제호;최병재;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6-232
    • /
    • 2010
  • 영구치의 매복은 다양한 빈도로 보고되며, 인구 집단의 약 5.6~18.8%에서 발생한다. 그 중에서 하악 제2대구치의 맹출장애 빈도는 약 0.06%, 하악 제1대구치는 약 0.01%로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영구 대구치는 기능적으로 저작을 위한 중요한 교합적 지지를 제공하며 안면의 조화로운 성장발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영구 대구치의 매복시 발생되는 문제점으로는 구치부의 개방교합과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의 치근흡수와 기울어짐, 낭종의 형성, 심할 경우 하안면고경의 감소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매복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외과적노출술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외과적노출술 후에 추가적인 인위적 아탈구로 자발적맹출을 기대해 볼 수도 있다. 자발적맹출이 관찰되지 않으면 교정적 강제 견인이나 외과적재위치술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에는 발치 후 보철치료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맹출장애를 보이는 치아의 조기진단과 치료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늦은 시기에 발견될 경우 자발적 맹출력이 감소되어 치료의 성공률도 감소하고, 치료기간도 증가하며 임상적으로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장애를 조기에 발견할 경우 우선적으로 맹출유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다음 두 증례는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에 대하여 외과적 노출술을 시행 후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였으나 상반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매복된 상악 견치에 의한 전치의 치근 흡수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Analysis of Incisor Root Resorption Associated with Impacted Maxillary Canines)

  • 정서현;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3-214
    • /
    • 2018
  • 상악 견치가 매복 시에 종종 인접 전치 치근의 치근흡수가 나타난다. 심각한 전치의 치근 흡수는 치아의 장기적인 예후를 불량하게 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상악 견치에 의한 전치의 치근 흡수를 관찰하고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상악 견치 매복을 가진 65명의 어린이로 총 88개의 치아에 대해 65개의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악 견치의 치근 발달 정도와 치근단공의 폐쇄 및 치관의 근원심적인 위치가 중절치의 치근흡수와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였다. 측절치의 치근 흡수 여부는 환아의 성별, 나이, 상악 견치의 협설 위치, 수직적 위치에 영향을 받았다. 상악 견치 치배의 확장은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근 흡수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없어, 치배의 확장이 치근 흡수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견치의 매복 시에 전치의 치근 흡수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

하악각 골절에서 제 3 대구치 발치 후 아테로-콜라겐 스펀지의 유용성 (Usefulness of Atelo-collgen sponge (Teruplug$^{(R)}$) for Treatment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with Third Molar Extraction)

  • 오화영;최환준;권준성;이형교;김용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55-160
    • /
    • 2011
  • Purpose: Fibrillar collagens like type I collagen, are the major constituent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structural protein of bone. Also, it can be a scaffold for osteoblast mi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 (Teruplug$^{(R)}$, Terumo biomaterials Co., Tokyo, Japan) insertion in tooth extraction sites on periodontal healing of the second molar, healing of the fractured mandibular bone and new bone formation of third molar socket after the extraction of the impacted third molar with mandibular angle fracture. Methods: In our study of six cases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ll of them underwent the extraction of the third molar tooth &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 insertion in tooth extraction site. Three of them had a intraoral infection & oral opening to fracture site, two of the six had dental caries, and only one had reduction problem due to third molar position. Six consecutive patients with noncomminuted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one noncompression miniplates and screws placed through a transoral incision. Results: All of the patients have showed good postoperative functions and have not experienced complications requiring second surgical intervention. There was well healing of the mandibular bone and the most new bone formation of third molar socket after the extraction of the impacted third molar with mandibular angle fractu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bsorbable atelo-collagen sponge is relatively favorable bone void filler with prevention of tissue collapse, food packing, and enhance periodontal healing. Thus, the use of atelo-collagen sponge and one noncompression miniplate seems to be relatively easy, safe, and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and third molar extraction.

Orthopantomogram을 이용한 하악공 및 하악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Foramen and Mandibular Canal using Orthopantomograms.)

  • 김희상
    • 치과방사선
    • /
    • 제13권1호
    • /
    • pp.117-126
    • /
    • 1983
  • The mandibular canal must be considered carefully during surgical treatment, especially surgical extraction of the impacted tooth and intraosseous implant because it contains the important inferior alveolar nerve and vessel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urvatUre of the mandibular canal, the positional frequency of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and gonial angle and the positional frequency of the mental foramen to the tooth site using orthopantomograms. The materials consisted of 295 orthopantomograms divided into seven groups ranging from the first decade to 6th. deca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osition of mandibular foramen was most frequently below occlusal plane in Group Ⅰ (78.6%) and Group Ⅱ (71.2%), above occlusal plane in Group Ⅲ (63.0%), Group IV (71.1%), Group V (57.6%), Group (76.7%) and Group VII (70.0%). 2. The curvature of mandibular canal was 142.8° in Group Ⅰ, 142.09° in Group Ⅱ, 139.34° in Group Ⅲ, 141.48° in Group Ⅳ, 138.45° in Group Ⅴ, 140.77° in Group Ⅵ and 143.89° in Group Ⅶ. 3. The gonial angie was 125.82° in Group Ⅰ, 123.18° in Group Ⅱ, 124.06° in Group Ⅲ, 120.45° in Group Ⅳ, 121.12° in Group Ⅴ, 121.63° in Group Ⅵ and 121.24° in Group Ⅶ. 4. The position of the menta] foramen was most frequently below the apex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in Group Ⅰ (57.2%), between the apex of mandibular first and second premolar in Group Ⅱ (59.6%) and Group Ⅲ (48.9%), and below the apex of mandibular second premolar in Group Ⅳ (39.2%), Group Ⅴ (48.5%) Group Ⅵ(46.6%) and Group Ⅶ(56.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