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mb mural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창녕 교동 39·63호분 동물순장 연구 (A study on animal SHUNJANG in tombs 39 and 63 in Gyo-dong, Changnyeong)

  • 권주영;김보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4호
    • /
    • pp.56-70
    • /
    • 2022
  • 창녕 교동 39호분과 63호분은 북쪽에 입구부를 둔 횡구식 묘제로 별도의 추가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창녕지역의 독특한 묘제이다. 본고는 해당 고분의 매장 프로세스와 함께 고분의 입구부에 별도로 조성된 석곽 2기의 성격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2기의 석곽은 39호분의 석곽 3호(39-3호)와 63호분의 석곽 3호(63-3호)로 대형분 내에 독립되어 조성된 소형 무덤이다. 2기 모두 매장주체부의 북벽 중위에 위치하며 한쪽 벽면을 매장주체부 벽석과 공유하고 있는데 축조상태로 보아 주피장자를 석곽 내부에 안치한 뒤 북벽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조성되었다. 석곽 내부에는 동물유체가 모두 확인되었는데 특히 63-3호 동물유체 동정결과 최소 3개체의 개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무엇보다 이들 동물유체는 주피장자를 등진 상태로 머리를 바깥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한정된 공간 내에 중첩되지 않고 나란히 안치되어 있어 주목된다. 창녕 교동 39-3호와 63-3호는 매장주체부를 축조하는 과정에서 조성된 것으로 동시성을 가지며 각각의 독립된 유구이지만한 고분 내에서 주피장자를 따라 축조되었다는 종속적 관계를 형성한다. 또한 동물을 살해한 뒤 해체되지 않은 상태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정연하게 안치하였다는 점에서 강제성을 띠고 있다. 이에 유구의 성격은 개(견(犬))를 순장한 순장곽(殉葬槨)으로 이해된다. 삼국시대 고분 출토 동물유체에 대한 연구는 그 위치에 따라 동물부장, 제수매납, 동물희생 등으로 해석되며 이는 일련의 동물희생의례, 즉 동물 부장과 희생(제생(祭牲) 혹은 공희(供犧))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식의 바탕에는 동물을 음식이나 제의 희생물과 같이 물적 대상화하는데 기반하고 있다. 그런데 창녕 교동 39-3호와 63-3호는 장송의례 과정에서 동물을 영적존재로 인식하고 주피장자의 계세사상과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유구의 위치와 방향성에 대한 다각도로의 분석도 요구되는데, 이 2기의 순장곽이 고분의 입구부에 해당하며, 위치가 입구부의 가장 개방된 공간이라는 점, 바깥을 향해 바라보는 개의 모습 등은 고분 수호와 벽사의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습은 고대 계세사상을 반영하는 고구려 벽화고분에 묘사된 개의 그림과 백제 무령왕릉 출토 석수와도 비교가 가능하며 고대 무덤을 지키는 진묘수의 의미와도 상통한다. 이는 차후 동물유체 매장유구에 대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바이다.

세계 동굴벽화와 칼라베라동굴의 벽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World Cave Painting and Kalabera Cave Painting)

  • 윤정모
    • 동굴
    • /
    • 제92호
    • /
    • pp.1-7
    • /
    • 2009
  • 세계동굴벽화로서 스페인의 알타미라 동굴벽화(Altamira Cave), 프랑스 라스코 동굴벽화 (Grotte de Lascaux), 프랑스 쇼베 동굴(The Chauvet Cave)에 대해서 논하고 한국의 고분벽화인 쌍영총과 청룡도에 대해서 논한다. 이 논문은 발견된 동굴 예술 중 Chamorro 문화와 조상 숭배에 우세하게 관계하는 것으로 북부 메리애나 군도의 동굴 예술의 개관을 제공하고, 몇 세기에 걸쳐 서양에서는 "선사 시대" 사람들인 메리애나 군도의 Chamorro 고대 주민으로 분류했다. 기록역사 없는 사람들인 북부 매리애나 군도의 동굴 예술 소개 제공 이외에, 이 논문은 고대 Chamorros 문화의 기록 역사가 있었고, 연대순 기록이 그들이 새긴 동굴 조각 및 상형문자에서 존재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統-新羅및 치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ongil-Shilla(統-新羅)'s Skirt(裳))

  • 권준희;조우현;남윤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539-547
    • /
    • 2002
  • Heungdukwang's(興德王) costume ordinance(834A.D.) is a very important written historical record because it reveals Tongil Shilla's(統-新羅) costume. And among the clothing pieces that appeared in Heungdukwang's(興德王) costume ordinance, from Pyosang(表裳), Naesang(內裳), we know they wore one skirt over another. But skirts appearing in visual records are wort in waist line or breast line, and when they wore skirts in breast line, there were shoulder belts or not. Also among the clothing pieces that appeared in Heungdukwang'a (興德王) costume ordinance, Yo( ) and Ban( ) seems to be connected with skirt. but it is not clear.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history of wearing skirt in breast line and one skirt over another, shoulder belts of skirt, and relation among yo( ), Ban( ) and ski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aring skirt in breast line is already appeared in Ancient Shilla's(新羅) clay figure, and wearing one skirt over another is also appeared in Sunhung tomb's mural painting. so it is not completely under the influence of Tang(唐). Second, the shoulder belts of skirt is for convenience of action, But, at that time, there is no shoulder belts of skirt in Tang(唐). Third, between Yo( ) and Ban( ), If Yo( ) is connected with skirt, it is a shoulder belts of skirt or waist of skirt. And Ban( ) is a ire of skirt.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1·2호분 내벽의 과학적 조사를 통한 벽화 존재 유무 연구 (A Study on the Presence of Murals by Scientific Investigation on the Inner Walls of West Ancient Tomb No.1 and 2 Neungsan-ri, Buyeo)

  • 이한형;김동원;이화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2권
    • /
    • pp.41-52
    • /
    • 2019
  •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1, 2호분의 석실내부 벽화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육안조사와 현장에서의 현미경 관찰, 형광X선분석을 수행하고, 일부 채취 시료에 대한 X선회절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호분은 석벽의 표면 마무리 상태가 거칠고, 현실 천정을 제외한 부위에서는 벽화의 어떠한 흔적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현실 천정에서는 석재와는 다른 색의 흑색 물질이 관찰되는데, 이 부분의 경우에도 표면부와 표면을 살짝 긁어내어 드러난 내부가 동일한 육안적 특징을 보이며, 이 부분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흑운모가 주된 광물로 동정되어 먹 등 인위적 물질을 칠한 것이 아니라 석벽의 구성광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호분의 경우 내부 동, 서, 북의 석벽 표면에서 백색물질이 관찰되며, 이 물질에 대한 분석 결과 석회(Calcite)로 확인되어 벽화의 존재가 의심되었다. 그러나 석회층이 동벽의 현실입구와 연도부분에 집중되어 있으며, 북벽과 서벽의 경우에는 단지 하부에서만 집중적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동벽의 현실입구와 연도부분의 석회물질은 그 분포 형태가 도굴 갱으로 유입된 흙이 쌓인 흔적과 상응하고 있어 2호분 내벽의 석회물질은 외부의 흙과 석회가 유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천장과 사면의 석판틈새에서 확인되는 메움 물질은 분석결과 니질의 토양으로 석벽 표면에 존재하는 석회와는 다른 물질로 확인되었다. 만약 벽화를 조성할 목적으로 석벽표면에 석회층을 인위적으로 형성한 것이라면 석판틈새 매움 물질도 석회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능산리 2호분의 현실과 연도의 내벽에도 벽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왕릉의 구조 및 능주(陵主) 검토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the owners of the Royal Tombs of the Goryeo Dynasty)

  • 이상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2호
    • /
    • pp.4-19
    • /
    • 2012
  • 개성과 강화에는 다수의 고려왕릉이 남아 있다. 이 왕릉들은 전대의 능제적 전통을 이어받아 고려만의 독창적인 능제를 완성, 조선왕릉에 전승시켰다. 고려왕릉의 일반적인 특징은 우선 능역을 3~4단으로 구획하고 능제에 맞추어 각 단에 석물과 정자각을 배치하였다. 석실은 입구를 남쪽에 두고 있으며, 벽석은 수직으로 쌓아올렸고, 천장은 평천장이다. 석실바닥에는 중앙에 관대를 놓고, 그 주변에 전돌을 깔았다. 벽면과 천장에는 회칠을 하고 그림을 그렸다. 그런데 석실내부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런 일반적인 특징 외에 몇 가지 세부적인 차이가 발견된다. 고려초기에는 1단 평행고임천장과 통돌관대, 유물부장대 그리고 식물소재의 벽화가 조합되어 나타나며, 이는 과도기적 형태를 거쳐 12세기후반을 기점으로 평천장, 장대석재벽석, 석주형석재조립관대로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몇몇 왕릉은 출토된 시책(諡冊) 편을 통해 능주를 명확히 규정할 수 있으며, 석실내부에서 출토된 청자는 해당 왕릉의 축조연대와 상당한 시기차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점은 도굴 등 왕릉의 파괴로 인한 후대 보수과정에서 당대 유물이 매납된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기록상 왕릉의 장지방향과 발굴결과를 비교검토하여 능주가 누구인지를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충목왕명릉 등 일부 왕릉은 능주의 비정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시 소재에 적합한 한국적 이미지의 의상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제1보) - 고구려 시대 복식의 미적 특징을 적용하여 - (Fashion Design Study on Korean Traditional Image Suitable for Ramie Fabric(I) - The Application of Aesthetic Property of Goguryeo Era Clothing -)

  • 이미연;이건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1호
    • /
    • pp.130-144
    • /
    • 2008
  • A recent concern about Goguryeo era reflects the efforts to find out our spiritual roots, which have descended from the ancient times; Goguryeo clothing study leads to analysis of our national spirit in terms of form. This study aims to analyze formal property and intrinsic meaning of Goguryeo clothing for Korean ramie clothing design and draw traditional images to derive design elements applicable to ramie clothing. On the basis of technical books, newspaper article, internet and precedent studies, theoretical study on Goguryeo clothing and ramie property was followed up with positive study to analyze the clothing on the Goguryeo ancient tomb mur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progressive spirit is to progress and develop anything actively; This spirit represents Goguryeo people's ambition and racial characteristic as horse-riding people; The rigidity of ramie fabric is suitable for expressing straight silhouettes and detail in Goguryeo dress. Second, a fluidity means flowing property in opposition to fixation; in the case of clothing, it has a tendency to change form according to body motions; The extensibility and crease-resistance of ramie fabric is suitable to express pleated skirts and holds high design value for modern people who tend to regard clothing as important individuality expression. Third, a universal property to introduce and receive; as Goguryeo was a prosperous country established by conquering an open plain, the period formed a society that recognized diversity by introducing foreign cultures freely; a universality suggests the direction of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ramie clothing and stimulates us to discovert new design through compromise between various cultures rather than to stick to traditional style. Considering the fact that precedent studies on traditional clothing are concentrated upon the Joseon period and also limited to formal analysis, this study aims to derive design elements for actual clothing making.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 as well as reference for designers who wish to design modern Korean clothing.

  • PDF

통일신라건축 목조결구기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Jointing Method of Wooden Members at Unified Silla Architecture)

  • 황세옥;허범팔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1호
    • /
    • pp.7-29
    • /
    • 2009
  • In understranding the essence of the Korea traditional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jointing methods of architectural members, architectural technologies, etc.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on the Jointing Method of Wooden Members in the period of Unified Silla Architecture. It's conclusion is summarized as follows. 1. A section of column has very close to do with the foundation stone. The structures of foundation stone and column are generally concluded by butt joint, arrow-head joint, housed joint by Grang-e method. Judu is structured by arrow-head joint And, in general, beam is structured by Sagaematchum Chumcha and sagaljudu of Don direction. At the head of Pyungju and the body of Goju, Changbang is structed by Jangbumachum with arrow-head joint or by jumukchang-machum. Also, it is surmised that Gyisoseum and Anssolim methods had been applied to columns from former ages. The example can be found at Bagjae Mireuksaji stone pagoda. Bagjae Mireuksaji stone pagoda taking wooden-pagoda form adopts Gyisoseum and Anssolim methods. We can also find such a sort of methods from other stone constructions like Budo, etc. 2. Injahwaban is structured by short Changbumachum with arrowed-head joint at upper members, and by Anjangmachum at the lower part. This sort of Gongpo style can be seen in the mural painting of tomb of Koguryo and in Buplyungsa, Buplyunsa, Bupkisa-located in Japan, which are influenced by Bakjae or Unified Silla. It is considered that at the end of the late United Silla, Injawhaban had been replaced with Chumcha and Soro on the Pyungbang under influence of Dapo style from China.

  • PDF

백제복식연구 -일본고대사에 미친 백제문화의 영향- (A Study on the Costume of Baikje Period -With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in the Ancient Japan-)

  • 조규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권1_2호
    • /
    • pp.49-56
    • /
    • 1980
  • Because of the scarcity of data, a study of costume during the Baikje period can be made imaginarily only with historical records as data. According to records, Baikje costume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Koguryo period. Consequently, we may well imagine Baikje costume by means of studying such materials as the mural paintings found in Koguryo tombs and the remains found in the royal tomb of Munyung. The basic form of costume of the Baikje period, therefore, might have been like this: Both male and female wore a kind of jacket(유: JEOGORI) and trousers(고: BAJI) with female-wearing skirt (상: CHIMA) thereon. Both men and women wore overcoat(포: DURUMAGI). They used to wear headdress(관모) and used leather shoes(화) Such a form of costume can be found in the costume of HANIWA(식륜) of Japan, which belonged to the costume of HOBOK (호복) of the northern area. Under the SHIMNEUK-PUM-KWAN-KE(십육품관계) system, that is, 16 grades of official ranks, officials of the Baikje dynasty wore clothes, coronets and belts, all of which differed from one another in colors, according to ranks. Such a system of Baikje might have influenced the KANI-JUNI-KAI (the 12-grade color discrimination of the coronet, 관위십이계) for the government officials of ancient Japan the Suiko period. For the study of such matters, I have tried to review the flow of the Korean culture into ancient Japan in the field of costume.

  • PDF

밀양(密陽) 고법리(古法里) 고분벽화(古墳壁畵)에 나타난 복식(服飾) 연구(硏究) (The Study of Costume in a Mill Yang Kobumri Mural Painting)

  • 조오순;유주리
    • 패션비즈니스
    • /
    • 제5권2호
    • /
    • pp.105-115
    • /
    • 2001
  • When restoring a tomb of Songeun, Park Ik that damaged by typhoon in Kobubri, Chungdomyon, Mill Yang, Kyoung Nam in October 2000, a flower designed stone and fresco was discovered. Soneun Park Ik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Kongmin dynasty and was consecutively occupied Sajaedogam(司宰少監; regarded as one of second highest official rank). The fresco realistically depicts custom of ordinary people in end of Koryo, beginning of Chosun dynasty that it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earch material in study of ostumes.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 to contribute to study of costumes in general public of Koryo that has insufficient study materials through study and analyze of costumes in the fresco with literature research. The number of figures in the fresco is presumed as 26-27 in all but clearly observed figures is only five women and four men and partly damaged figures are two men and two women. Women are worn relatively long yoo that can cover hip as an upper garment and Sang(裳) as trousers. The upper garments are all adjusted to right and has Jikryoung gik (straight collars) but there are strip attached collars or double collars among the Jikryoung gik. The length of Sang reaches to ankle and a waistband is trailed to below the knees. Most of hair are combed in the two sides and made a ring, moreover worn ceremonial coronet, which imply the ceremonial parade. Distinguished from the frescos of Koguryo, there are no women wearing Po(袍) also Yoo with Dae(帶) and without were coexisted. The mens costume is mainly appeared in two types. One(元) is Danryoungpo, Po with round collar and wearing a lozenge shaped crest with a brim, the other is Jikryoung Po, Po with straight collar, and wearing Ballib(拔笠), the latter is a costume of two man presumed as envoys. In the case of Danryoungpo, its length reached to ankle that shows decorum and in Jikryoungpo its length is below the knees that seem to offer practicality for envoys to guide a long journey. Both man and women are in decent cloth with a crest, which simple costume for ordinary people as a Chaksoopo that has comfortable length for movement and narrow sleeves. Songeun Park Ik actively worked under regency of One dynasty that influence of Mongol is seen in mans crest. There are some changes but including womens costume most of cloth are followed Korean traditional costume style.

  • PDF

비석(碑石)에 칠해진 주사(朱砂)안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 Painting of stone monuments)

  • 신은정;한민수;강대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359-385
    • /
    • 2005
  • 우리나라에서 고대에 사용하던 붉은 색 안료에는 주사, 석간주, 장단 등이 있다. 이중에서 주사는 고급스러운 상품(上品)으로써 벽사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단청, 벽화, 회화를 비롯해 비석, 지석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의 기록에서는 고려재상의 지석 음각에 붉은 칠을 메웠다고 기록되어 있어 비, 신도비, 지석 등에 주사와 같은 붉은 칠이 된 것은 고려시대 또는 그 이전부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문헌기록을 토대로 하여 비석에 남아있는 붉은 안료들의 몇 사례를 조사해 본 결과 대부분 주사, 장단, 석간주 등이 칠해졌음이 분석되었다. 또한 붉은 색의 발색을 더욱 선명히 하기 위해 붉은 칠 아래 바탕칠로써 호분칠이 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현존하는 붉은 안료가 칠해진 비석들은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의 사례들이므로 조선시대에는 비등에 붉은 안료로 주사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공사견문록(公私見聞錄)"에 남겨진 기록을 보아 고려시대에도 칠해졌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또한 삼국시대 이미 주사안료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어 우리나라에 고가의 상품으로 사용되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볼 때 비에 붉은 안료를 칠하던 것은 고려 이전부터 였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렇게 붉은 안료로 주사를 주로 사용했을 것은 주사가 지닌 벽사적 상징의미를 미루어 볼 때 상당히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주사가 매우 고가인 탓에 한때 사용이 금지되기도 하였기에 주사 대신 석간주나 장단과 같은 대체안료가 사용되기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