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nnitus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22초

다제 내성 폐결핵 환자의 임상상 및 치료에 대한 고찰 (Clinical Features and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 이재철;이승준;김계수;유철규;정희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1호
    • /
    • pp.14-21
    • /
    • 1996
  • 연구배경: 다제 내성 폐결핵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약제별 내성률,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이차 약제로 인한부작용, 치료내용 및 차료성적 등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대상: 약제 감수성 검사상 두가지 이상의 일차 약제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성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의 판정은 정기적으로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만을 대상으로 치료후 호전을 1개월 이상의 간격으로 시행한 가래 검사상 3회 이상 음성이고 방사선 소견이 호전되거나 6개월 이상 변화가 없는 경우로, 치료 실패를 6개월간의 치료에도 균 음전화가 되지 않거나 방사선 소견상 악화를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감수성 약제를 4제 이상 투여하여 치료받았다. 결과: 1) 총 71예와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5예(49%)에서 방사선상 공동을 관찰할 수 있었고 평균 4.1개의 약물에 내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90%가 INH, RFP 동시 내성을 보였다. 2) 치료 결과의 판정이 가능하였던 55예중 35예(67%)의 환자가 치료후 호전을 보였으며 치료 실패는 18예(33%)이었다. 일차 내성 환자가 5예이었는데 치료 결과 판정이 가능하였던 4예는 모두 치료에 성공하였다. 3) 약제 부작용은 14예(20%)에서 나타났는데 간기능 악화가 6예로 가장 많았고 어지러움증 5예, 고요산 혈증을 동반한 관절통이 3예, 이명 3예 등의 순이었다. 이들 부작용의 절반 이상이 투약후 3개월 이내에 발생 하였다. 4) 약제 감수성 검사를 반복했을 때 INH, RFP의 경우 100% 가까운 일치율을 보였고 EMB, PZA 80% 정도 나머지 약물은 50% 미만이었다. 5) 5예의 환자가 수출을 받았고 이 중 1예는 항결핵 화학 요법의 보조적 치료로 수술을 했는데 균 음전화에 성공하였다. 결론: 다제 내성 폐결핵 환자에서도 규칙적인 약물 복용과 적절한 처방으로 약 2/3 정도에서 호전이 관찰되어 적극적인 항결핵 화학 요법을 시행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치료와 예후 판정에 도움이 되는 인자를 찾지는 못하였다.

  • PDF

삼출성중이염과 중이내 통기관 유치술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Considerations of Serous Otitis Media and Ventilation Tube)

  • 김영명;박인용;장태영;심형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2-15
    • /
    • 1982
  • 삼출성 중이염은 이 질환중 가장 많은 도를 차지하는 질환의 하나로서 1869 년 Politzer가 최초로 기술하고 치료법을 소개한 이후로 현재까지 그 병인 및 다양한 치료법이 연구 개발되어 왔으며 이중 중이내 통기관 유치술은 1954년 Armstrong에 의해 성공적으로 시행된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변형 발전되어 최근에 이르러서는 삼출성 중이염의 치료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또한 그에 따른 합병증 때문에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연자 등은 삼출성중이염의 임상적 측면을 재검토하고 중이내 통기관유치술의 치료효과 및 합병증을 조사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 하고자 1981. 1. 1부터 1982. 2. 28 까지 1년 2 개월 동안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중이내 통기관유치술을 시행한 환자 97명 (157이)을 대상으로 하여 삼출성중이염의 증상, 연령분포, 동반질환, 고막의 이학적 소견, 청력손실의 정도와 술후의 청력증진, 합병증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사용한 통기관으로는 Sheehy의 collar button tube와, Per Lee tube였다. 1) 증상의 빈도는 29례중 청력소실 29례(100%) 이명 19례 (65.6%) 자성강청(Autophony), 12례 (44.4%) 이충만감 10례 (34.5%)의 순이었다. 2) 연령분포는 6∼10세가 42례 (43.3%)로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20세 이상의 성인도 23례(23.5%)나 있었다. 3) 소아에서는 주로 양측성으로, 성인에서는 일측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4) 동반질환으로는 편도 및 아데노이드비후가 49례 (50.5%). 부비동염 15례 (15.5%), 비알레르기 4례 (4.1%)등의 순이었다. 5) 술전 고막소견은 함몰 62귀 (42.7%), 팽윤 37귀 (23.6%), 변색(21.7%)등의 순이었으며 특별한 병적 소견이 없는 경우고 29귀 (18.5%)나되었다. 6) 삼출액의 특성은 15세이하의 소아에서는 점액성이 84.2%로 많았고 성인에서는 장액성이 62.5%로 많았다. 7) 술전 기골도차는 21∼30dB가 48귀 (30.6%)로 제일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25.3dB이었다. 8) 술후 청력증지은 10dB 이상 증가한 경우가 24귀 (72.7%)로서 평균 17.2dB였다. 9) 합병증으로는 감염이 37귀 (23.6%) 무기화 3귀(1.9%)과립조직의 증식 2귀 (1.3%) 영구천공 2귀 (1.3%)의 순이었다. 10) 술후 감염증이 있었던 37 귀중 수술직후부터 계속되었던 경우가 19 귀(51.4%), 도중에 발생한 경우가 18 귀(48.6%)였으며 이들중 26귀(70.3%)에서는 대증요법으로서 치유되었으며 11귀 (29.7%)에서는 통기관을 제거한 후에야 감염증이 치유되었다.

  • PDF

소아 두개 내 생식 세포종에서 위험군에 따른 화학요법의 치료 반응 및 독성 (Responses and Toxicities of Risk-adapted Chemotherapy in Pediatric Intracranial Germ Cell Tumors)

  • 유동길;이수현;유건희;성기웅;임도훈;신형진;구홍회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2호
    • /
    • pp.186-190
    • /
    • 2005
  • 목 적 : 두개 내 생식 세포종 환자를 진단 시 저위험군 및 고 위험군으로 분류하여 화학요법의 강도에 차이를 두어 치료 반응 및 독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두개 내 생식 세포종으로 진단되고 화학요법으로 먼저 치료한 소아 환자 14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배아 세포종이면서 AFP가 정상이고 beta-hCG가 50 mIU/mL 이하이면 저위험군, 그 외에는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화학요법은 저위험군의 경우(cisplatin $20mg/m^2/day$ on days 0-4, 42-46; VP-16 $100mg/m^2/day$ on days 0-4, 42-46; cyclophosphamide $1g/m^2/day$ on days 21-22, 63-64; vincristine $1.5mg/m^2/day$ on day 21, 28, 35, 63, 70, 77)에 비해 고위험군에서는 cisplatin과 cyclophosphamide의 용량을 두 배로 사용하였다. 화학요법 종결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진단 방법으로 생검 10례, 아전절제 2례, 부분절제 1례, 종양 호르몬의 상승으로만 진단한 경우가 1례였다. 진단 시 중앙연령은 11.6세(1.2-18.7세)였고 고위험군 9례, 저위험군 5례였다. 7례(50%)에서 요붕증이 동반되었다. 종양 호르몬의 상승을 보였던 10례 모두 화학요법 후 정상화되었으며, 저위험군 중4례(80%)와 고위험군 중 7례(77.8%)가 화학요법에 완전반응을 보였다. 화학요법 후 부분반응 상태였던 3례 중 2례는 방사선 치료 후 완전관해에 도달하였고 고위험군 1례는 방사선 치료 전이차 수술을 시행하여 원발 종양은 제거되었으나 척수에 재발하여 구제요법을 시행 중이다. 저위험군 4례(80%)와 고위험군 전예에서 감염증으로 인하여 2-4회의 입원이 필요하였다. 고위험군 9례 중 4례(44.4%)에서 이명과 청력장애 증상이 발생하였고 치료 종결 후에도 지속되었다. 이 중 3례에서는 감각신경성 난청으로 진행되었다. 청력장애를 보인 4례 중 3례는 요붕증이 동반된 환자였다. 1례를 제외한 13례가 정중 추적 기간 13.9개월(8.1-22.3개월)간 무사건 생존 중이다. 결 론 : 고용량의 cisplatin을 근간으로 한 치료 방법으로 고위험군에서도 고무적인 치료 반응을 유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치료 독성의 빈도가 높아 치료 방침의 수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老人) 저혈압(低血壓)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Literature Review of The Senile Hypotension)

  • 곽익훈;김종대;정지천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4권
    • /
    • pp.161-187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med to investigate causes of the senile hypotension, pathogenic mechanism, symptoms, and therapies through medical literatures, recent chinese medical literatures and chinese medical jour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enile hypotension has major symptoms of dizziness, weakness, syncope, palpitation, shortness of breath, and deficiency of Qi. Additionally, it has minor symtoms of letharhy, isomnia, tinnitus, amnesia etc... 2. The prodromal symptoms of Kwul and Kwul are relating to the symptoms of tachycardia, facial pallor, sweating, anxietas, ambiguous consciousness, and fainting. Weakness and dizziness due to deficiency make the symptoms of exhaustion, fatigue, vertigo, lethargy, and brachycardia. 3. The most principal cause of the senile hypotension is deficiency of Shen due to aging, congenital deficiency, and chronic illness. The rest of causes are defciency of Qi and blood, phlegm of retention, stagnation of Qi, blood stasis, blood prostration etc... In the view of the occidental meicine, the causes of the senile hypotension came from the reduction of cardiac output, the decretion of cardiovascular system's extention due to aging, hereditary factor, secondary factor due to exsanguination, diabetes mellitus, C.V.A etc..., and factor of neurogenic system's degeneration. 4. The principal pathogenic mechanisms are the insufficiency of Xing-Yang, the deficiency of Qi in middle jiao, and deficiency of Shen-Qi. The rest of mechanisms are the deficiency of both Qi and blood, stagnation of the Gan-Qi, and the deficiency of Gan and Shen. Zang-Pu Organs have something to do with Xing, Bi, and Shen. 5. As principal therapies, there are warming and recuperation the Xing-Yang, strengthing the middle-jiao and replenishing Qi, replenishing vital essence to tonify the Shen, and warming and recuperation the Shen-Yang. Additionally, the therapies of invigorating the Bi and relieving mental stress, strengthning the Bi and tonifing the Shen, invigorating Qi and nourishing Yin, soothing the Gan and regulating the circulation of Qi, and tonifing the Shen and nourishing the Gan help the cure of the senile hypotension. In prescriptions there are Baohe Yuan Tang, Buzhong Yigi Tang, Zuoguei Yin, Yougui Yin, Guipi Tang, Zhu Fu Tang, Shengmai San, Sini San, and Qi Ju Dihuang Wan. The medical herbs of Astragali Radix, Codonopsitis Pilosulae Radix, Ginseng Radix, Aconiti Tuber, Ephedrae Herba, Cinnamomi Ramulus, Cinnamomi Corfex Spissus, Zingiberis Rhizoma, Polygalae Radix, Liriopis Tuber, Polygonati Sibirici Rhifoma, Lycii Fructus, Schizandrae Fructus, and Glycyrrhizae Radix can be treated. 6. According to the clinical report, the principal causes are the deficiency of Qi, and insufficiency of Yang which symptoms are dizziness, vitality fatigue and acratia, amnesia, body cold and alger of extremity, spontaneous perspiration, and therady and weak pulse. It was improved by taking WenYang YiQi Tang, Zhu Fu Tang about 20-30 days. The improvement was shown on disappearance of subjective symptoms or the ascending of blood pressure to normal figure, and the rate of improvement was over 70%. 7. As regimens, taking warming and recuperating food(a sheep mutton, juglans regia, chiness date, longan aril etc...) and pungent food(chinese green onion, fress ginger, pipers fructns etc...), doing physical training, not being ill in bed at a long time, and preventing descent of blood pressure coming from sudden change of posture are needed. Additionally, the usage of diuretic, abirritant, and depressor needs to be extra cautious.

  • PDF

${\cdot}$右側 口眼와斜 患者에 對한 臨床的 考察 (Clinical Observation on The Left and Right Facial Palsy)

  • 임진기;임규상;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83-402
    • /
    • 1997
  • The author analyzed 155 cases of Facial Palsy, excluding lesions caused by cerebrovascular attacks, who were treated in the Kwang-ju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from March 1996 to September 1996. I've examined the 155 cases in the view of the etiologic distributions, the age, the relationship of the sex and paralytic side, attended symptoms and analyzed 95 cases who were treated over ten times in the view of the ratio of recovery according to the age, anatomic focus, the relations of sex and paralytic side.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The ratio of punghan(風寒) was $20.64\%$(32 cases), overwork was $18.70\%$(29 cases), stress was $6.44\%$(10 cases), excessive drinking was $3.23\%$(5 cases), teeth pain was $1.93\%$(3 cases), and idiopathy was $38.05\%$(59) and etc. 2. The ratio of stylomastoid pain was $15.48\%$(24 cases), auricular pain was $10.32\%$(16 cases), headache was $4.51\%$(7 cases), eyedried was $4.51\%$(7 cases), taste paralysis was $2.57\%$(4 cases), tinnitus was $2.57\%$(4 cases) and non-significant symptoms was $50.97\%$(79) and etc. 3. The ratio of 2th and 5th decade were $20.00\%$(31 cases), 4th decade was $18.71\%$(29 cases), 3th decade was $16.71\%$(26 cases), 6th decade was $11.61\%$(18 cases), teenagers in $5.81\%$(9 cases), over seventy and under teenagers were $3.23\%$(5 cases), and infant was $0.65\%$(1 case). 4. The ratio of the male-right was $28.39\%$(44 cases), female-right was $25.82\%$(40 cases), male-left was $23.23\%$(36 cases), female-left was $20.65\%$(32 cases) and male-both side was $1.94\%$(3 cases) in order. 5. Topographically, The ratio of the infrachordal lesion was $72.90\%$(113 cases), transgeniculate lesion was $16.13\%$(25 cases), suprageniculate lesion was $5.81\%$(9 cases), infrastapedial lesion was $3.87\%$(6 cases) and suprastapedial lesion was $1.29\%$(2 cases) in order. 6. When we examined the degree of recovery about the 95 patients who were treated over ten times after on attack, normal improvement was seen in $46.32\%$(44 cases), excellent in $7.37\%$(7 cases), good in $12.63\%$(12 cases), fair in $13.68\%$(13 cases), poor in $20.00\%$(19 cases). The total remedial value of the 95 patients who were treated over ten times was revealed $61.58\%$. 7. When we examined the 95 patients who were treated over ten times, the remedial value of the infant was $50.00\%$, under teenagers $43.75\%$, teenagers $37.50\%$, 2th decade $56.82\%$, 3th decade $64.06\%$, 4th decade $55.00\%$, 5th decade $73.53\%$, 6th decade $77.50\%$, over seventieth $68.75\%$. The remedial value of 3th decade, 5th decade, 6th decade, 7th decade and over seventieth were higher than the total remedial value($61.58\%$) 8. In the point of topographical lesion, when we examined the 95 patients who were treated over ten times, the remedial value of infrachordal lesion was $66.78\%$, infrastapedial lesion $58.33\%$, suprastapedial lesion $50.00\%$, transgeniculate lesion $48.44\%$, suprageniculate lesion $31.25\%$, in order. Only the remedial value of Infrachordal($66.78\%$) was higher than the total remedial value($61.58\%$). 9. In the point of the relationship of the sex and the paralytic side, when we examined the 95 patients who were treated over ten times, the remedial value of male-left was $57.29\%$, male-right $61.54\%$, male-both side $58.33\$%, female-left $57.81\%$ and female-right $68.27\%$. Only the remedial value of female-right($68.27\%$) was higher than the total remedial value($61.58\%$).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the point of prognostic view there was more concerned with the topographical lesion, body condition than the traditional rule of sex-paralytic relationship that man is awed left paralysis and woman right paralysis.

  • PDF

大韓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에 揭載된 硏究論文들의 傾向性 考察 (The Study on the Trends of Resec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phthalmology & Otolaryngology Society.)

  • 권강;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
    • /
    • 200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Oriental Medical Surgery?phthalmology & Otolaryngology Society(JOMSOOS). Methods: We studied the 308 research papers that had been published in JOMSOOS from 1988 Vol. 1. No. 1. to 2002 Vol. 15. No. 2. Our study was developed through the four stages in order to analyze the papers; 1) we analyzed all the papers overall to classify them into three categories; original article. review article and case report. 2) we classified the original articles in terms of methodology. 3) we also analyzed the case reports according to the sort of disease each paper dealt with. 4) we had another statistical approach to each paper to figure out the distribution of diagnoses in detail. Results: We have got the following outcomes from our analysis of the papers in terms of the four stages. 1. Overall Analysis. 1) Classification of 308 research papers between 1988 and 2002: 137 original articles(44.48$\%$), 111 review articles(36.04$\%$), 56 case reports(18.18$\%$). 2) Used language: Korean(99.03$\%$). English(0.97$\%$). 3) The Number of Authors: 2 persons(42.86$\%$). 3 persons(29.87$\%$), 1 person(14.61$\%$). 2. Original Article Analysis 1) Classification of 137 original articles in terms of methodology: 90 experimental studies(65.69$\%$)46 descriptive studies(33.58$\%$), 1 analytic study(0.73$\%$). 2) Classification of the original articles according to the use of statistical methods: No statistical methods(36.42$\%$), Descriptive methods only(1.99$\%$), Not defined(23.18$\%$), t-test(24.50$\%$), ANOVA(3.97$\%$), Multiple comparison(2.65$\%$), Non-parametric test(2.65$\%$), Other methods(1.32$\%$). 3) Classification of 46 descriptive articles in terms of diseases: otorhinolaryngology(43.48$\%$), dermatology(23.91$\%$), ophthalmology(13.04$\%$), facial palsy(13.04$\%$). 4) Classification of descriptive articles in terms of the number of patients: the highest was 'more than 26 but less than 50 persons'(19 articles - 41.30$\%$). 5) Classification of descriptive articles in terms of the period for patients observation: the highest was the time 'more than 9 but less than 12 months(34.78$\%$)' Out of the 34.78$\%$, the number of articles with the patients observed for more than 12 months was 13(28.26$\%$). 3. Case Report Analysis 1) Classification of 56 case reports in terms of the sort of disease: dermatology(44.64$\%$), ophthalmology(19.64$\%$), otorhinolaryngology(14.29$\%$), facial palsy(8.93$\%$). 2) Classifica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patients: 1 person(50$\%$), 3 persons(16.07$\%$), 2 persons(14.29$\%$). 4. Diagnosis Distribution of Each Disease. 1) Studies regarding ophthalmology : the percentage of 'strabismus' cases was the highest(33.33$\%$). 2) Studies regarding otorhinolaryngology : nasal inflammation(34.48$\%$), tinnitus(20.69$\%$). 3) Studies regarding dermatology: the percentage of 'allergic skin disease' was the highest(33.33$\%$). Conclusions: We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JOMSOOS in detail. We came to understand the trends of the research through this study. However, we acknowledge that we only adopted the quantitative method out of various possible analysis methods. For further studies, we strongly urge to adopt the qualitative methods as well.

  • PDF

대기오염과 이비인후과 (Air Pollution and Its Effects on E.N.T. Field)

  • 박인용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2년도 춘계종합 학술대회 초록집
    • /
    • pp.6-7
    • /
    • 1972
  •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경제의 급격한 발전으로 이에 부수적으로 일어나는 대기오염은 생활환경을 파괴하는 오염형태의 하나로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인체에 미치는 피해는 격심하여가고 있으며 이것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병리나 임상적으로는 많은 연구보고가 있으나 호흡기로의 기시부인 비강이나 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보고는 많지 않은 실정인 차제에 대기오염과 비, 인후질환자의 관계를 추구하여 그 대책을 논하는 것은 의의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연세의대 공해연구소의 대기오염도조사에서 가장 심한 곳으로 확인된 부산시 우암동 지역에 위치한 S 공업고등학교 학생 469명은 조사군으로 하고 대기오염도가 낮은 K고등학교 학생 345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내과, 안과, 비, 인후과적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성적과 그 외의 문제점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I. 위해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은 자극성가스와 질식성가스로 구분되며 이비인후과 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자극성 가스이며 여기에는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탄화수소와 그리고 광합성작용에 의하여 2차적으로 발생하는 강력한 자극성물질인 PAN(Peroxy acyl nitrate)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이들 가스는 산화성이 강하기 때문에 점막이 부착되어 괴양 및 2차감염을 일으켜 인체에 피해를 준다. 이리한 오염물질은 고체연료(특히 석탄)나 액체연료의 불완전 연소때와 각종 차량의 배기가스로서 배출된다. 대표적인 오염물질인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및 유황산화물의 조사지역과 대조지역의 오염도는 다음과 같다. II. 인체에 미치는 피해 1. 일반적인 피해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오염물질의 물리적 화학적 성상 및 오염물질의 농도, 양, 그리고 폭로기간 등에 따라 다르다. 각 오염물질별 건강피해를 보면 (1) $아황산가스(SO_2)$ 아황산가스는 오염물질 중 가장 대표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용해도가 높아서 기도에 용이하게 흡수되어 처음에는 자극증상이 오고 나중에는 기도 저항을 일으켜 폐부종, 호흡중추의 마비를 일으킨다. 만성 폭로 시에는 비염, 인루염, 후각 및 미각장해를 일으킨다. (2) 일산화탄소(CO) CO는 혈색소의 산소운반 능력을 박탈하기 때물에 중독증상을 일으킨다. 즉 CO 중독은 농도와 흡입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우선 두통, 현기, 오심, 구토, 이명이 오고 호흡곤란, 허탈상태, 근육이완, 졸도등을 수반하고 혼수상태에서 사망한다. (3) 질소산화물 여러 질소산화물중 배기가스에서는 $NO_2로$ 배출되며 또한 탄화수소와 태양광선이 대기중에서 작용하여 $NO_2를$ 생산하며 $NO_2는$ 변성 Hemoglobin 을 생성하여 호흡기 장해를 일으킨다. $NO_2의$ 급성 중독증상으로서는 눈, 코를 강하게 자극하고 폐충혈, 폐수종, 기관지염, 폐염 등을 일으킨다. 만성 중독시에는 만성폐섬유와 및 폐수종을 일으킨다. (4) $오존(O_3)$ Ozone은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NO_2$ gas 및 탄화수소와 작용하여, PAN이라는 자극성 물질을 생성시키는 광학적 Smog의 주요소로 알려져 있다. 자극적인 냄새가 있음으로 불쾌감을 주고 비, 인후점막의 전조감과 두통이 오며 폐기능을 저하시키며 더욱 진행되면 폐충혈, 폐수종 등을 일으킨다 (5) Smog에 의한 건강피해 대표적인 것이 1952.12.5~12.8까지 4일간 영국 Lon-don에서 계속된 Smog사건이며,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호흡기질환 사망율이 사건전보다 사건기간 중 혹은 사건후에 5~10배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때 Smog의 주원인은 연료의 불완전 연소에 의한 연기와 이때 발생하는 아황산가스가 주원인이며 dust가 2차적 원인이라고 생각하였다. 새로운 종류의 공해로서 광학적 Smog에 의한 피해가 1970. 7. 18 Tokyo의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바 운동장에서 운동 중이던 여학생 43명이 눈에 대한 자극증상, 인후동통, 기침을 호소하고 그중에는 호흡곤란으로 의식불명에 빠진 학생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대기중에 배출된 탄화수소와 oxidant가 대기중의 광 energy와 결합하여 발생한 것이라 하였다. 2) 비, 인후과 질환 대조군 345명과 조사군 469명중 호흡기계, 안과 및 비, 인두의 자각증상의 유소견자는 각각 39명(11.3%)와 106명(22.6%)로서 조사군이 대조군 보다 약 2배 많았다. 조사군의 유소견자중 호흡기증상 29명(29%), 안증상 22명(21%), 비폐쇠 및 비후 50명(47%), 인후통 5명(5%)으로서 비, 인두 자각증상의 유소견자가 55명(52%)으로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임상검사에 의한 타각증상의 유소견자는 대조군 99명 (28.8), 조사군 180(384%)으로서 조사군이 대조군 보다 10%정도 많았다. 조사군의 유소견자중 호흡기질환 1명(0.6%), 안질환 8명(4.4%), 비염 97명(54%), 인두편도염 74명(41%)으로서 비, 인두질환이 171명이었다. 이상의 성적에서 오염지구의 자, 타각증상의 유소견자중 비, 인두질환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대기오염과 이비인후과 질환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앞으로 그 대책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