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balanced quota sampl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전화조사를 위한 시간균형할당표본추출 (Time-Balanced Quota Sampling for Telephone Survey)

  • 허명회;황진모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7권2호
    • /
    • pp.39-52
    • /
    • 2006
  • 우리나라 대다수 조사전문기관은 지역 성 나이대 할당표본추출에 의한 전화조사를 하고 있다. 그러나 평일에는 인구사회적 속성에 따른 개인별 재택률의 차이가 심하므로 체계적 응답자선택편향(respondent selection bias)이 우려된다. 문제 해결을 위해 조사시간대를 할당변수로 추가한 '시간균형할당표본추출'(time-balanced quota sampling) 방법과 저녁시간대 할당을 부분적으로 완화한 '시간균형준할당표본추출'(time-balanced quasi-quota sampling)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통계청에서 2004년에 수집한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가상적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새로운 할당추출법과 기존할당추출법에 의해 얻는 몬테칼로 표본들을 비교할 것이다.

  • PDF

임의번호걸기와 시간균형할당표집에 의한 전화조사의 주요결과 (The Major Findings of the Telephone Survey by Random Digit Dialing and Time-Balanced Quota Sampling)

  • 허명회;한상태;김지연;성은하;강현철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77-88
    • /
    • 2011
  • 최근 우리나라의 전화조사가 전화번호부 기반에서 벗어나 임의번호걸기(RDD)로 이행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전화조사가 지역 성 나이대 할당표집으로 수행되므로 이로 인해 재택성향이 큰 사회적 계층에 편중되기 쉽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서 시간균형할당표집이 제안된 바 있었으나 실증적 조사는 이제까지 부재하였다(허명회 황진모 2006). 이 연구는 TV시청환경에 대한 조사를 RDD와 통상적인 할당 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와 RDD와 시간균형할당표집의 결합방식으로 수행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한다.

  • PDF

도시형 국립공원 둘레길 조성에 대한 시민 인식 -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에 대한 서울 시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 (Perceptions on the Nature Trail in the National Park in the City - Focused on the Seoulite's Perception on Dullegil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 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2-110
    • /
    • 2011
  • 본 연구는 대표적인 도시형 국립공원이라고 할 수 있는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환경과 이용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새로운 탐방문화로서 도입, 운영 중인 둘레길 조성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식을 파악하여 향후 보다 활발한 조성이 예상되는 도시형 국립공원 내 둘레길 조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20~69세 남녀를 조사대상으로 권역/성/연령대별로 모집단을 비례 할당 후 무작위 추출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였고, 전화면접조사를 통해 총 300명을 유효표본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서울시민의 65% 이상이 등산활동을 하고 있으며 주로 정상지향형 등반행태를 보였다.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에 대한 이용의사는 58%로 매우 높게 나타나 산정상부로 집중된 탐방행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둘레길에 대한 향후 이용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주 등산계층에서는 이용의사가 상대적으로 낮아 산정상부의 탐방집중을 분산하기 위한 둘레길 조성의 효과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관리방향에 대해서는 보전지향적 관리가 이용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대다수는 이용과 보전의 균형적 관리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레길의 조성원칙으로는 '자원보전노력'이, 조성방향으로는 '북한산의 생태환경 보존과 생태적 가치 향유'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로 들었으며, 안전시설이 가장 필요한 시설로 나타났다. 적정 탐방시간은 1~3시간, 적정길이는 11~20km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지가 북한산국립공원에 한정되고 서울시민만을 대상으로 잠재적 이용 수요 분석에 머문 한계를 지니고 있다. 도시형 국립공원의 둘레길 조성과 관리를 위한 보다 일반화 될 수 있는 결과의 도출을 위해서는 탐방세분시장별, 행태별, 수요별로 세분화된 후속연구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