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elapsed

검색결과 940건 처리시간 0.026초

연조직 결손을 일으킨 가토에서 진피 이식재에 따른 조직반응 비교 (TISSUE REACTION IN RESPONSE TO AUGMENTATION OF SOFT TISSUE DEFECTS ACCORDING TO THE DERMIS GRAFT MATERIALS IN RABBITS)

  • 하현;김선국;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2호
    • /
    • pp.114-120
    • /
    • 2007
  • The augmentation of soft tissue defects is one of the critical problems in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Various types of graft materials, both autologous and non-autologous, have been used for the augmentation of soft tissue in the facial reg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choose an ideal material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because each has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 ideal graft material should meet the following criteria : it should not leave a scar at the area from which it was taken; should have less likelihood of causing infection; should feel natural after implanted; and should be not absorbed. Among the materials meeting these criteria, human dermis and artificial dermis are commonly used for clinical purpose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resorption rate and the histological change following the use of the autologous dermis, the human homogenous dermis $Alloderm^{(R)}$, and the artificial dermis $Terudermis^{(R)}$ to reconstruct the soft tissue defect. Twenty mature rabbits of either sex, weighing about 2 ㎏, were used. Each rabbit was transplanted with the autologous dermis, $Alloderm^{(R)}$, and $Terudermis^{(R)}$ size $1{\times}1-cm$ at the space between the external abdominal oblique muscle and the external abdominal oblique fascia. They were then divided into 4 groups (n=5 each) according to the time elapsed after the surgery: 1, 2, 4, and 8 weeks. The resorption rate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volume change before and after the transplantation, and H-E stain was preformed to observe the histological changes. The resorption rate after 8 weeks was 21.5% for the autologous dermis, 16.0% $Alloderm^{(R)}$, and 36.4% $Terudermis^{(R)}$, suggesting that $Alloderm^{(R)}$ is the most stable while $Terudermis^{(R)}$ is the most unstable. In microscopic examinations, the autologous dermis graft was surrounded by inflammatory cells and showed foreign body reactions. The epidermal inclusion cyst was observed in the autologous dermis graft. $Terudermis^{(R)}$ and $Alloderm^{(R)}$ demonstrated neovascularization and the progressive growth of new fibroblast. The results suggest that $Terudermis^{(R)}$ and $Alloderm^{(R)}$ can be availably for substituting the autologous dermis.

이산화염소($CIO_2$) 처리해수에 노출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생존과 생리적 반응 (Surviv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osed to Seawater Chlorinated by Chlorine Dioxide ($CIO_2$))

  • 김흥윤;김진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1-158
    • /
    • 2003
  • 수온 2$0^{\circ}C$에서 넙치가 수용된 실험구에 ClO$_2$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10분간 노출시킨 다음 해수를 유수하면서 넙치의 생존과 생리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lO$_2$ 처리직후의 잔류농도 0.51 ppm에서는 90분이 지나면 모든 개체가 사망하였고, 0.43 ppm에서는 3시간 후의 생존율이 13.3%, 0.34 ppm에서는 24시간이 경과하는 동안 평균 92.0%가 생존하였으며, 0.43과 0.51 ppm에서 넙치의 반수치사시간(($LT_{50}$)은 각각 103분과 32분이었다. 0.34~0.51 ppm $CIO_2$에 노출된 넙치의 Ht, Hb 및 혈청 전해질과 삼투질 농도는 $CIO_2$ 농도가 높고 노출 후 시간이 지날수록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0.27 ppm의 경우 Ht, Hb및 혈청 전해질과 삼투질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는 없었으나 혈청 glucose 농도는 $CIO_2$ 노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지는 현상을 보여 주었다. 또한 SS 농도가 높은 해수는 SS가 낮은 해수에 비해 잔류 $CIO_2$가 빠르게 환원되었다.

플래시 메모리 기반 인덱스 구조에서 대리블록 이용한 가비지 컬렉션 기법 (Garbage Collection Method using Proxy Block considering Index Data Structure based on Flash Memory)

  • 김선환;곽종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11
    • /
    • 2015
  •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빠른 접근 시간과 저전력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저장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저사양의 임베디드 장치에서는 메모리 요구사항과 구현상의 복잡성으로 FTL을 적용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이유로 FTL을 구현하기 힘든 임베디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B+ 트리 연구들이 다수 제안되었다. 이런 연구들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에서 제자리 업데이트가 불가하다는 단점을 고려하여 삽입과 갱신의 성능을 최적화 하였다. 하지만 B+ 트리에 기존의 가비지 컬렉션 기법들을 적용하면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페이지 위치를 변경하게 되고 B+ 트리의 재구성을 발생시켜 전체적인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는 B+ 트리와 이와 유사한 인덱스 트리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가비지 컬렉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가비지 컬렉션 기법은 블록 정보 테이블과 대리 블록을 이용하여 B+ 트리의 재구성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평가를 위해,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된 실험 장치에 B+ 트리와 ${\mu}$-Tree를 구현하고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였다. 구현 결과 B+ 트리에서 제안된 기법이 GAGC(Greedy Algorithm Garbage Collection)보다 삽입된 키의 개수가 약 73% 많았으며, ${\mu}$-Tree에서 제안된 기법이 GAGC보다 시간 오버헤드가 약39% 적었다.

태권도 찍어차기의 무릎편 유형과 구부린 유형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Kinematic analysis of skill between flexed and extended type of knee during Jigeo-Cha-Gi in Taekwon-Do)

  • 김동규;류재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5-42
    • /
    • 2005
  •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kinematic difference between flexed and extended type of knee during Jigeo-Cha-Gi in Taekwon-Do. For this subjects participated were consisted of weights of fin (1), bantam (1) and welter class(1) of male 3 national representative level skilled in two type(flexed and extended type) of Jigeo-Cha-Gi. 3D cinematography analysis was performed for motion analysis and Kwon 3D ver. 3.1) was used for 3D coordinates & analysis variables calculation. In Temporal varia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all phases & total elapsed time between flexed and extended type, but flexed type was delayed more 0.016 sec than extended type. In displacement of CO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5 showing longer mean 6.13 cm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displacement of COG during all phase and to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1 showing longer mean 4.4 cm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displacement of COG in follow through phase. In velocity of CO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01 showing higher mean 15.53cm/s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velocity of COG(Y direction) during targeting phase and peak velocity(Y) was more fast 8.74 cm/s in extended type than flexed type. In velocity of leading leg in forward direction(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5 showing higher thigh mean value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but showing higher foot mean value in extended type at level of p<.001 than flexed type in velocity of COG(Y direction). In velocity of leading leg in vertical direction(Z)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cond & third phase in case of vertical velocity level, but momentum transferred efficiently form proximal to distal endpoint. In front-back & right-left orientation angle of trunk there was possibility of more stable Jigeo-Cha-Gi in extended than flexed type by decreasing in right-left orientation angle of trunk. In relative angle of lower leg(hip, knee, ank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p<.001 showing longer mean 32.74 deg. in case of flexed type than extended type in hip joint during the second phase but maintained insufficient extended knee of mean 168 deg. in targeting phase.

탁구 포핸드 카운터 드라이브 동작의 운동학적 변인 및 지면 반력 분석 (Kinematic and Ground Reaction Force Analyses of the Forehand Counter Drive in Table Tennis)

  • 이용식;이종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inematic quantitative factors required of a forehand counter drive in table tennis through 3-D analysis. Four national table tennis play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n of elapsed time for total drive motion was $1.009{\pm}0.23\;s$. At the phase of impact B1 was the fastest as 0.075 s. This may affect efficiency in the initial velocity and spin of the ball by making a powerful counter drive. The pattern of center of mass showed that it moved back and returned to where it was then moved forward. At the back swing, lower stance made wide base of support and a stronger and safer stance. It may help increasing the ball spin. Angle of the elbow was extended up to $110.75{\pm}1.25^{\circ}$ at the back swing and the angle decreased by $93.75{\pm}3.51^{\circ}$ at impact. Decreased rotation range of swinging arm increased linear velocity of racket-head and impulse on the ball. Eventually it led more spin to the ball and maximized the ball speed. Angle of knee joint decreased from ready position to back swing, then increased from the moment of the impact and decreased at the follow thorough. The velocity of racket-head was the fastest at impact of phase 2. Horizontal velocity was $7796.5{\pm}362\;mm/s$ and vertical velocity was $4589.4{\pm}298.4\;mm/s$ at the moment. It may help increase the speed and spin of the ball in a moment. The means of each ground reaction force result showed maximum at the back swing(E2) except A2.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means suggest that all males and females showed maximum vertical power(E2), The maximum power of means was $499.7{\pm}38.8\;N$ for male players and $519.5{\pm}136.7\;N$ for female players.

멸치육 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로부터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제의 분리 및 그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Peptic Hydrolyzates of Anchovy Muscle Protein)

  • 김선봉;이태기;박영범;염동민;김외경;도정룡;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
    • /
    • 1994
  • 수산식품중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물질의 계통적 해석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소화효소에 의한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I 전환효소(ACE) 저해물질을 추출, 분리하여 이들 각 획분들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수분해에 따른 ACE 저해효과는 pepsin에 의하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있어서는 peptide-nitrogen의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한 가수분해 20시간째에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Gel 여과에 의하여 분리된 멸치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획분별 ACE 저해작용을 검토한 결과, 획분 2와 4가 ACE 저해작용이 우수하여 이들을 rechromatography하여 분리한 단일획분인 2'와 4'획분의 $IC_{50}$은 각각 45, $76{\mu}g$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분리한 단일 획분인 2'와 4'획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2'획분은 glutamic acid, leucine 및 lysine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획분은 aspartic acid와 threonine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형 오징어 채낚기 어선의 낚시 깊이별 조획량과 수중 조도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TEENSTRUP, According to the Jigging Depth of Hooks and Underwater Illumination in Squid Jigging Boat)

  • 최석진;황천구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24-631
    • /
    • 2001
  • 오징어 채낚기 어선의 집어등을 점등한 상태에서의 오징어 군을 어군 탐지기에 의해 관찰하고, 어선 양현의 조획기에 설치된 낚시의 도달 심도를 달리하여 광원 출력 조건별로 조획 시험을 실시하여 어군의 분포 심도를 추정하는 한편 수심별 수중 조도를 측정함으로써 어군이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는 조획 심도에서의 광 환경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집어등 점등시 어군 탐지기에 나타난 어군은 낚시 어구 주위를 중심으로 수심 50m까지의 얕은 곳에서 높은 밀도의 반응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군 층은 침하하여 수심 $60\~80m$사이에서 안정되었다. 어선의 각 현별 낚시 최선단의 도달 심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조획량은 심도를 90m로 설정한 현측이 60m로 설정한 현보다 많았으나, 조획이 적어진 해뜰 무렵에 광원 출력을 할로겐등 24kW로 절환하여 조업한 후에는 60m 충에서 조획 증가 경향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어군 탐지기와 조획 시험에서 추정된 오징어의 중요한 조획층으로 사료되는 수심 $60\~80m$에서의 수중 조도는 각 광원 출력별 평균 $3.0\times10^{-2}\sim\;3.4\times10^{-2}lx$의 범위에서 분포하였다.

  • PDF

쇄석과 저회의 혼합다짐말뚝의 전단강도와 Clogging 현상 규명 (Characteristics on Shear Strength and Clogging Phenomenon of Bottom Ash and Rammed Aggregate Mixture Compaction Pile)

  • 이동엽;강형남;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3-4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모래에 비해 배수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지지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는 쇄석을 사용하여 연약점성토지반에서 쇄석다짐말뚝을 시공 후 쇄석간의 공극에 점토입자의 유입으로 인해 배수능을 상실하는 Clogging 현상에 대한 대체방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Clogging 현상의 억제방안으로 국내 화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인 석탄회 중 재활용 방안이 미비한 저회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 보고자 쇄석과 저회의 적정 혼합비의 다짐시험에 따라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여 최대전단강도와 내부마찰각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Clogging 현상의 특성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쇄석과 저회의 혼합비에 따른 지지력 및 강도특성을 파악하여 적정 혼합비를 찾고, 현장과 같은 Clogging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모형토조를 제작하였으며 적정 혼합비에 따른 배수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각 혼합비에 따른 대형직접전단시험에서 쇄석과 저회의 혼합비가 80:20일 때 전단강도와 내부마찰각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Clogging 시험에서도 쇄석 100%의 다짐말뚝보다 Clogging 억제 효과가 점진적으로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실트질 점토 채움 시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거동 및 시공 방법에 관한 연구 (Installation Technology and Behavior of Silty Clay Filled Geotextile Tube)

  • 신은철;오영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3-21
    • /
    • 2002
  • 지오텍스타일 튜브를 활용한 해안 및 항만구조물은 해안침식방지 및 토사퇴적을 유도하는 구조물로 준설토를 수리학적 또는 기계적으로 채움을 실시하여 이안제(Detached brekwater), 돌제(Groin), 도류제(Jetty)등의 구조물을 축조한다. 일반적으로, 모래질 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할 경우는 채움토사의 침강과 토목섬유의 배수특성을 효율적으로 만족하여 주입구의 간격이 가까우나, 점토질 토사 또는 오염된 슬러지를 채울 경우, 채움토사의 침강속도가 길며 토목섬유의 구멍막힘 현상으로 인하여 주입구의 간격을 넓게 하여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송도신도시 공유수면 매립공사 현장에서 점토질 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한 지오텍스타일 튜브에 대하여 실대형 현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채움작업은 준설선을 이용한 수리학적 채움을 실시하였으며, 현장계측은 채움단계 및 시간에 따른 유효높이 변화, 내부 채움토사의 위치에 따른 단위중량 변화, 비배수 전단강도 등을 측정하였다. 본 실대형 현장시험에 따른 계측결과, 점토질 토사의 채움 시 침강 및 배수를 위한 단계별 채움 작업이 필요하며, 배수에 따른 최종 유효높이는 채움 작업 시 최고높이의 50%까지 감소하였다.

  • PDF

해안준설매립토의 조기안정을 위한 수평배수공법에서 부압과 배수재 배치간격의 영향 (The Effects of Negative Pressure and Drain Spacing in the Horizontal Method for an Early Settlement of Dredged and Filled Grounds)

  • 김수삼;한상재;김병일;김정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수평배수공법에 있어서 부압과 배수재 배치간격에 대한 영향을 일련의 실내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중형토조실험를 이용한 적정 부압 산정에 관한 실험결과 초기에 낮은 부압을 가하고 단계적으로 높은 부압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높은 부압을 가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배수재의 위치 변화를 작게 하며, 배수재로부터 거리에 따라 함수비를 균등하게 감소시킴으로서 함수비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사전 등(1988씰 제안식을 이용하여 배수재의 평균 타설간격을 산정하여 Barron(1948)의 이론식을 이용한 계산 값과 신사전 제 침하량 측정으로부터 구한 시간 경과에 따른 압밀도를 비교한 결과 실측 압밀곡선은 신사전 등(19880의 평균타설간격(dm)을 적용한 실측 압밀곡선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현장에서 수평배수재를 설치한 준설지반 의 배수재 배치간격과 압밀속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신사전등과 Barron의 이론식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