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ber frame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GFRP 보강적층판 및 GFRP rod를 이용한 낙엽송 집성재 접합부의 모멘트저항 성능평가 (Moment Resistance Performance Evaluation of Larch Glulam Joints using GFRP-reinforced Laminated Plate and GFRP Rod)

  • 정홍주;송요진;이인환;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40-47
    • /
    • 2016
  • 구조용 집성재 라멘 접합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합철물을 대신하여 단판과 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를 복합시킨 GFRP 보강적층판과 삽입 접착형 GFRP rod를 접합물로 사용하였다. 이들을 적용시킨 접합부에 대한 모멘트저항 성능평가 결과, 접합철물을 이용한 실험체(Type-1)와 비교하여 GFRP 보강적층판과 GFRP rod 핀을 사용한 실험체의 항복모멘트는 4% 낮게 측정되었으나 회전강성은 29%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GFRP 보강적층판과 목재(Eucalyptus marginata)핀을 사용한 실험체는 Type-1 실험체와 비교하여 항복모멘트 11%, 회전강성 56% 높게 측정되며 가장 양호한 성능을 나타냈었다. 파괴형상과 완전탄소성 분석을 통해서도 핀에 의한 전단내력으로부터의 취성파괴가 아닌 연성거동을 나타내며, 접합내력이 상승하고 부재의 일체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GFRP rod를 삽입 접착한 실험체는 접착 불량으로 측정이 불가하거나 접합성능이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미국 콜로니알 주택과 실내 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Style of American Colonial Housing)

  • 김정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261-268
    • /
    • 2004
  • 지금까지 미국의 주택은 주로 현대 양식에 대해서 알려져 있고 전통적 주택과 실내 양식에 대해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미국의 전통적 주택인 콜로니알 시대 주택의 표현 특징과 실내의 요소별 특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콜로니알 양식을 규명하고자 할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디자인과 제작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콜로니알 주택은 영국의 죠지안 주택 양식을 그대로 모방하기보다 미국적 기후와 지역 특성에 조화하는 방식으로 정립되었으며 주택과 실내의 많은 요소가 유사한 표현 특징을 나타내었으나 그 바탕에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디자인이 배경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주택의 발전은 오랜 시간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상자형의 2층 목조의 측면 박공 지붕 형태에 비늘판벽 마감을 하였으며 전면의 가장 중요한 장식 요소로는 현관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은 일실에서 2실과 4실 구조로 발전하였고 실내는 초기에는 바닥, 벽, 천장이 모두 나무를 주재료로 하는 방식에서 점차 죠지안의 영향으로 패널, 벽지를 사용하였고 벽난로가 있는 면을 제외하고 플라스터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가구는 영국 영향의 치펜데일, 퀸 앤의 의자가 대표적이었으나 지방 특색이나 종교적 영향에 의해 등장한 소박한 형태의 가구가 배치되었으며 영국 영향의 가구에도 융통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디자인이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gradation Phenomena of Wooden Pillars in the Main Hall of the Fengguo Monastery, Yixian, Liaoning, China - Scientific Investigation with XRD, IC, and FTIR Analysis -

  • Zhou, Yishan;Matsui, Toshiya;Liu, Cheng;Wang, Fei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5-27
    • /
    • 2020
  • The Main Hall of the Fengguo monastery in Yixian county, Liaoning province, China, is the best preserved and largest wooden Buddhist structure, typical of the Liao dynasty style, in China. However, some degradation to the timber frame of the Main Hall has been noted, and this is causing concern in terms of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the structure. In this study, wooden pillars showing the degradation phenomena of whitening, for areas in contact with the stone floor, and extensive surface damage at higher locations(mostly above 1 m) have been examined. Samples taken from wooden pillar surfaces were analyzed using X-ray powder diffraction,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ion chromatography, and pH measurements. With respect to the whitening phenomenon, we found inorganic calcium precipitates and oxalate ions, along with higher pH values. These symptoms indicated that chemical changes were taking place in response to alkaline conditions, suggesting that alkaline mixtures with calcium content in the foundations may be responsible. Regarding the upper surface-damaged areas, no valid evidence for chemical degradation was found using FTIR analysis, while damaged areas exhibited the presence of more bat guano-related materials than which were apparent in undamaged areas. The occurrence of this surface-damaged phenomenon has therefore been attributed to physical damage caused by bat activity over long periods of time.

전통건축 지붕곡 구조분석을 통한 지붕가구부 설계도구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an Roof Structure Generating Tool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Roof Curvature in Traditional Buildings)

  • 이현민;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93-404
    • /
    • 2014
  • 본 연구는 전통건축 방식의 지붕곡을 전산학적으로 재해석하고 지붕가구부를 구성하는 부재들간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를 3D 데이터로 설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지붕곡을 형성하는 여러 개의 구성 요소, 즉 지붕가구부 부재들간의 상관관계를 전통건축 축조 방식에 근거하여 함수식으로 정의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지붕면을 구성하기 위한 각 부재들의 3차원 데이터 자동 생성 기법을 구현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지붕곡의 속성이 변경되면 지붕곡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개의 부재들이 자동으로 재설계되는 방식으로써 전통건축 설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한옥의 다양한 지붕곡 설계를 보장하면서도 체계적인 설계와 규격화된 생산 및 가공을 가능하게 하여 한옥의 보급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full-scale steel framed building subject to a natural fire

  • Wald, Frantisek;Chladna, Magdalena;Moore, David;Santiago, Aldina;Lennon, Tom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6권2호
    • /
    • pp.159-182
    • /
    • 2006
  • Current fire design codes for determin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structural elements that form part of a complete building are based on isolated member tests subjected to the standard fire. However, the standard time-temperature response bears little relation to real fires and doesn't include the effects of differing ventilation conditions or the influence of the thermal properties of compartment linings. The degree to which temperature uniformity is present in real compartments is not addressed and direct flame impingement may also have an influence, which is not considered. It is clear that the complex thermal environmental that occurs within a real building subject to a natural fire can only be addressed using realistic full-scale tests. To study global structural and thermal behaviour, a research project was conducted on the eight storey steel frame building at the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s Cardington laboratory. The fire compartment was 11 m long by 7 m wide. A fire load of $40kg/m^2$ was applied together with 100% of the permanent actions and variable permanent actions and 56% of live actions. This paper summarises the experimental programme and presents the time-temperature development in the fire compartment and in the main supporting structural elements. Comparisons are also made between the test results and the temperatures predicted by the structural fire Eurocodes.

흰개미 테리토리행동 연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A Simulation Model for the Study of the Territorial Behavior of Subterranean Termites)

  • 전원주;이상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9
    • /
    • 2012
  • 흰개미는 땅 아래 서식하면서 네트워크형태의 터널 구조물을 만들어 먹이자원을 획득한다. 종에 따라서는 지하 150m 깊이까지 터널을 형성하기도 하고, 목재의 섬유질을 찾기 위해 종종 지표면까지 이동하기도 하는데, 이로 인해 목재로 지어진 건축물 특히 가옥에 엄청난 피해를 끼친다. 지구 온난화에 의한 온도상승으로 흰개미가 활동하기에 적합한 고온 지역이 넓어지며 이와 같은 피해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 피해규모는 흰개미 테리토리영역의 크기 및 그 분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흰개미 본 연구에서는 흰개미 두 종(Coptotermes formosanus (Shiraki) 와 Reticulitermesflavipes (Kollar))에 대한 테리토리행동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실험치 기반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델은 콜로니별로 형성하는 터널네트워크의 성장부분과, 서로 다른 콜로니 사이의 터널교차를 고려한 영역성 부분, 이렇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모델을 이용하여 터널 성장확률에 따라 테리토리간 경쟁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간단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목재 조립보 헤더의 휨 성능 분석 (Analysis of Bending Performance of Built-up Beam Headers)

  • 장상식;김윤희;박영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18-125
    • /
    • 2007
  • 경골목조건축공법에서 개구부의 헤더로 많이 사용되는 조립보에 대한 설계자료를 구하기 위하여 $2{\times}6$ ($38{\times}140 mm$), $2{\times}8$ ($38{\times}184 mm$), $2{\times}10$ ($38{\times}235 mm$) 및 $2{\times}12$ ($38{\times}286 mm$) 부재를 3개 겹쳐서 휨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이들에 대한 휨 시험을 통하여 조립보에 대한 허용응력을 구하고 허용응력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하중 조건에 대한 경간표를 작성하였다. 조립보에 대한 휨 시험 결과로부터 10 mm의 처짐이 발생할 때의 휨응력을 조립보 헤더의 휨강도로 산정하였다. 조립보에 대한 경간표는 외벽에서 헤더가 사용되는 위치에 따른 5가지 하중조건과 내벽에서 헤더가 사용되는 위치에 따른 2가지 하중조건을 고려하여 작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총 7가지 하중 조건에 있어서 외벽에 사용되는 헤더에 대한 5가지 하중조건에서는 고정하중, 활화중 및 적설하중이 포함되었으며 내벽에 사용되는 헤더에 대한 2가지 하중조건에서는 고정하중과 활하중이 포함되었다.

북한산 조계동 송계별업(松溪別業) 정원 복원을 위한 경관해석 (A Study on the Landscape Interpretation of Songge Byeoleop(Korean Villa) Garden at Jogyedong, Mt. Bukhansan near Seoul for the Restoration)

  • 노재현;송석호;조장빈;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7
    • /
    • 2018
  •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17C 중반 북한산 조계동(曹溪洞)에 조영된 송계별업의 장소성과 별업의 정원상 및 경관상을 추적하여 송계별업 원림의 복원을 전제로 한 경관해석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송계별업은 인조의 3남이자 효종의 아우인 인평대군 이요가 인조 24년에 조성한 왕가별업이다. 본제는 직선거리로 약 7km 떨어진 건덕방 타락산 아래의 궁집 석양루로서, 대군이라는 조영주체의 신분적 특수성 때문에 송계별업 또한 단청 및 건물의 제도가 매우 화려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의 장소정체성이자 핵심경관은 구천은폭으로 중국 여산폭포에 비견되는 다층의 폭포를 갖는 관폭과 청음의 공간이었으며, 별업 멸실 이후에는 왕릉 부석장으로 역할과 부석금표처의 장소이미지가 더해졌다. 조계동천을 중심으로 한 송계별업 내원은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한담과 창벽 등의 자연경관과 비홍교, 보허각, 영휴당 그리고 계당 등의 인공요소가 절묘하게 조화되었다. 또 현존하는 '송계별업'과 '구천은폭' 바위글씨는 별업원림의 조영자와 영역성을 상징하는 경관언어이자 장소 표식으로, 보허각을 중심으로 비홍교, 창벽, 한담 등의 경물명을 바위에 세기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특히 시각적 종점의 역할을 하는 구천은폭은 캐스캐이드형의 다단폭포로서 그 하부는 말구유 형상의 절리상 포트홀의 지형경관적 특성을 보인다. 한편 외원은 별업 정문과 행랑채 성격을 갖는 공간과 내 외원 양자를 연결시켜주는 계당과 돌다리 그리고 기거를 목적으로 한 영휴당 등으로 구분된다. 영휴당에서는 보허각만 관망되는 반면 보허각에서는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영휴당 등 사방의 조망이 가능하도록 한 이원적 조망 틀짜임이 읽혀진다. 또한 비홍교에서 구천은폭과 창벽 그리고 한담을 상호 부감 앙시하게 되며, 비홍교를 건너 보허각에 올라 구천은폭과 조계동천을 바라보는 단계적 행위를 체험케함으로써 속세에서 선계로 이행되는 시각구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