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ted warping movemen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한반도 남부 해안의 융기율 비교 (Comparison of Uplift Rate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이광률;박충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5-67
    • /
    • 2019
  • This study tries to reveal and compare uplift ra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absolute ages from coastal terrace on the coast. The uplift rate in the East Coast from previous study ranges from 0.258 to 0.357 m/ka with a median rate of 0.262 m/ka and shows an increase trend from north to south. Median uplift rate of 0.082 m/ka with minimum and maximum rates of 0.053 m/ka and 0.127 m/ka, respectively, is calculated in the South Coast from previous and this studies. The uplift rate in the West Coast from 3 absolute ages in this study is 0.082~0.112 m/ka with a median rate of 0.090 m/ka. Based on these uplift rates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t can be concluded that since MIS 5, the East Coast has experienced 3 to 4 times faster uplift rate than the West and South Coasts.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discussion on whether these uplift rates are long-term tectonic movement associated with tilted warping movement since the Tertiary or short-term tectonic movement associated with isostatic rebound due to sea level change since the Last Interglacial is needed.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 시기, 기작에 관한 비판적 고찰: 판구조운동 기원의 새로운 가설 (A Critical Review on Setting up the Concept, Timing and Mechanism of Tertiary Tilted Flexural Mode of the Korean Peninsula: A new hypothesis derived from plate tectonics)

  • 신재열;황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00-220
    • /
    • 2014
  • 본 연구는 불분명하게 이해되는 경동성 요곡운동의 개념적 정의를 재검토하고, 현재까지 학계에서 통용되는 일반적 수준의 진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경동성 요곡운동의 재정의, 시간설정, 운동의 속성 그리고 발생요인과 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델 제시가 주요 내용이다. '신생대 제3기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흔히 일컬어지는 한반도 신기지반운동은 최소한 신제3기(23 Ma) 이후 진행된 동해안 지역의 융기-서해안 지역의 침강 패턴의 조륙운동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융기-침강의 지역적 경계는 한반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중국 동북부 지역과 러시아 남부 지역에 걸쳐 광역적으로 분포한다. 이러한 융기-침강운동의 발생동력은 가설적으로 서태평양 섭입대의 활동과 관련한 맨틀 대류의 결과물로 설명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며, 판 경계 응력에 대응한 단층활동은 제4기 이후 한반도의 지역적 융기를 가속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한반도 서해안의 현생 융기운동과 같이 여전히 남아있는 논쟁적인 부분들에 대한 보다 정교한 논의들은 현장에서부터 그 실체를 확인하는 작업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