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ller number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37초

Perennial ryegrass의 그루터기 면적중과 재생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Stubie Weight and Regrowth of Perennial Ryegrass)

  • 이주삼;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0-96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the recovery days of root and stubble to the days after cutting, and contribution of specific stubble weight on the regrowth was examined u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ry weight of shoot and yield components, and regrowth parameters by the days after cutting. The varieties examined were Maprima, Manhattan, Tove, Peramo, Caliente, Tempo and P-2 grown under individual plant basis. The results ar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Dry weight of root and stubble were recovered up to 13.5 and 11 days after cutting, respectively. 2. Dry weight of shoot(regrowth parts+stubble)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varieties, stages of regrowth and variety x stage of regrowth. 3. The variety with tiller weight type showed higher average productivity of shoot than those of the variety with tiller number type. 4. Absolute growth rate(AGR) of shoo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regrowth parts, stubble, root and weight of a tiller at the early stage of regrowth(up to 12 days after cutting), and correlated with regrowth parts, stubble, weight of tiller and stubble area at the late stage of regrowth(up to 20 days after cutting). 5. Contribution of specific stubble weight to absolute growth rate of shoot was different between the stages of regrowth. Thus, regrowth parts per specific stubble weight(RP1SSbW) and weight of tiller per specific stubble weight(WT1SSbW) contributed to absolute growth rate of shoot at the early stage of regrowth, and efficiency of specific stubble weight(ESSbW), regrowth parts per specific stubble weight (RPISSbW) and weight of a tiller per specific stubble weight(WT1SSbW) contributed to absolute growth rate of shoot at the late stage of regrowth. 6. Regrowth utilization rate(RUR) was one of the useful regrowth parameter to indicate the regrowth potential of grasses.

  • PDF

재식밀도와 얼자제거가 단 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Tiller Removal Growth and Yield of Sweet Corn Hybrids)

  • 박근용;강영길;박승의;문현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2-197
    • /
    • 1989
  • 재식밀도를 달리할 때 얼자제거가 단옥수수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단옥 1호와 Golden Cross Bantam 70(GCB 70)을 10a 당 4167, 5557,6667,8333, 11111 개체 재식하여 얼자의 초장이 15cm 이내일 때 얼자를 제거하는 구와 제거하지 않은 구의 생육 수량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교잡종 모두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개체당 얼자수는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2. 간장, 수장, 수경, 개체당 및 10a 당 이삭수는 교잡종간에 차이가 없었다. 단옥 1호는 10a 당 8333본 이하 재식구에서 약 20% 근도복이 되었으나 GCB 70은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도복이 전혀 되지 않았다. 엽년적지수 및 간엽수량은 단옥 1호가 GCB 70보다 컸었다. 3. 근도복과 엽면적지수를 제외하고는 교잡종과 재식밀도간 교호작용이 없었다. 4. 재식밀도가 증가할수록 간장, 엽면적지수 및 간엽수량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엽면적지수의 증가는 GCB 70보다 단옥 1호에서 컸었다. 5. 재식밀도와 10a 당 이삭수 및 이삭수량과는 이차곡선적인 증가 관계가 있었으며 이상수량, 10a 당 이삭수, 이삭크기 등을 고려한 적정재식밀도는 10a 당 6500 본 정도로 판단되었다. 6. 착수고와 엽면적지수를 제거하고는 교잡종과 얼자제거, 재식밀도와 얼자제거간에 유의한 교호작용이 없었으며 교잡종, 재식밀도, 얼자제거간에는 어떠한 형질에도 유의한 교호작용이 없었다. 7. 얼자제거에 의하여 간장, 이삭수량 및 간엽수량이 각각 3, 10, 16% 감소되었으나 출사기, 근도복, 수장, 수중, 본당 및 10a당 이삭수 등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8. 따라서 얼자제거를 하거나 제거를 하지 않거나 간에 적정재식밀도는 10a 당 6500 본 정도로 생각되며 교잡종,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얼자를 제거하지 않은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Effect of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tiller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 Han, Tae Kyu;Yoon, Seong Tak;Jeong, In Ho;Kim, Young Jung;Yu, Je Bin;Yangjing, Yangjing;Ye, Min 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48-348
    • /
    • 2017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iller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sorghum according to planting density and sowing date.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supply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uneconomical and cumbersome for mechanical harvesting. Also another subject was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ensity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area. Total number of tillers was more in 80cm ridge than 60cm ridge and it was increased as the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cm to 30cm on the each ridge.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higher in 60cm ridge than 80cm ridge and it was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wider from 15cm to 30cm. The lower the planting density,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whereas effective tillers were de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high. Average of total number of tillers of three varieties was higher in sowing date of 2 May (1st sowing date), whereas ratio of effective tillers was the highest in sowing date of 23 May (2nd sowing date). Hwanggeumchal showed the highest total number of tillers (1.2 tillers), while Moktaksusu had the lowest total number of tillers (0.8 tillers) among three varie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lanting density and days to heading and ripening date from seeding. Culm length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high, but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er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yield of sorghum per 10a was obtained from $60{\times}20cm$ planting density among 6 planting densities.

  • PDF

Shading Effect on Rice Growth Characters

  • Woon-Ha Hwang;Hoe-Jeung Jeung;Myeong-Gue Cho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5-135
    • /
    • 2022
  • For abnormal weather disaster and building constructions, the shading stress could occur in crops more often. Those shading stress can effect on rice growth character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shading effect on rice growth characters. Shading treatments were treated using shading screen as 35, 55, 75 and 100%. To check the shading effect on rooting after transplanting, shading stress treated after transplanting for 20 days as 35, 55 and 75%, And 35, 55, 75 and 100% of shading were treated 60 days after transplanting to check the growth characters. After transplanting, the shading stress effected on leaf and root growth. At 19 days after transplanting, leaf number reduced by shading stress. In 35, 55 and 75% shading stress, the leaf number reduced as 0.38, 0.45 and 0.9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 And root length was also reduced as 0.39, 0.6 and 1.93 cm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 The plant height was slightly increased in 35 and 55% and reduced in 100%. Leaf growth speed per day was reduced as 0.0167 according to shading stress. And root growth speed also reduced as 0.0426 according to shading stress. The shading stress during vegetative stage effected on plant height and tiller number. In 35, 55 and 75% of shading stress, the plant height was slightly increased but it was reduced in 100%. Tiller number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shading stress. According to 10% of shading stress, about 7% of the tiller number was reduced. However, leaf color did not change by the shading stress. The leaf area in 2nd to 4nd leaf from new leaf reduced as 297 and 1044 in 75 and 100% of shading stress and increased as 70 and 99 in 35 and 55%. These leaf area change was affected by both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eaf.

  • PDF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이용실태(利用實態) 조사분석(調査分析)(II) -고장(故障) 및 수리(修理)에 관(關)하여- (A Survey on the Break-down and Repair of the Power Tillers in Korea)

  • 홍종호;이채식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28-38
    • /
    • 1981
  •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의 효율적(效率的)인 이용(利用)과 고장(故障)으로 인(因)한 문제점(問題點)과 그에 따른 대책(對策)을 강구(講究)하기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시(提示)코저 전국(全國) 8개도 278농가(農家)를 대상(對象)으로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의 각종(各種) 고장(故障) 및 수리실태(修理實態)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고장빈도(故障頻度)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의 대당(臺當) 년간(年間) 고장발생(故障發生) 빈도(頻度)는 9.05회(回)이었으며 평균(平均) 39.1시간(時間) 작업(作業)에 1회(回)의 고장(故障)이 발생(發生)되었다. 고장빈도(故障頻度)가 가장 높았던 곳은 점화연료공급계통(點火燃料供給系統)으로서 2.02회(回)로 전체고장(全體故障)의 22.3%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부속작업기(附屬作業機) 시린더계통(系統), 주행장치등(走行裝置等)의 순서(順序)로 나타났다. (2)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사용년수별(使用年水別) 고장(故障) 발생빈도(發生頻度)는 구입후(購入後) 6년(年) 이하(以下) 경과(經過)된 기계(機械)에서 37.7시간(時間) 사용(使用)에 1회(回)의 고장(故障)이 발생(發生)된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구입후(購入後) 2년(年) 미만(未滿)된 기계(機械)로서 38.6시간(時間) 작업(作業)에 1회(回)이 고장(故障)이 발생(發生)되었다. (3)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기종별(機種別) 고장(故障) 발생빈도(發生頻度)는 석유(石油)엔진이 36.3시간(時間) 작업(作業)에 1회(回)의 고장(故障)이 발생(發生)되어 디젤엔진의 42.8시간(時間)보다 높았고 마력별(馬力別)로는 석유(石油)엔진의 경우(境遇) 8마력(馬力)이 10마력(馬力)보다 고장(故障) 발생빈도(發生頻度)가 높게 나타났다. (4)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월별(月別) 고장(故障) 발생빈도(發生頻度)는 10월(月)에 가장 낮아 51.5시간(時間) 작업(作業)에 1회(回)의 고장(故障)이 발생(發生)되었고 그 다음이 6월로 49.7시간(時間) 작업(作業)에 1회(回)의 고장(故障)이 발생(發生)된 것으로 나타나 작업시간(作業時間)이 많았을 때 고장(故障) 발생빈도(發生頻度)는 상대적(相對的)으로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나. 수리장소(修理場所) (1)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고장시(故障時)의 수리장소(修理場所)는 자가수리(自家修理)가 평균(平均) 45.3%이었고 공장수리(工場修理)가 54.7%로 나타나 공장수리(工場修理)가 자가수리(自家修理)보다 많았다. (2)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사용년수별(使用年數別) 수리장소(修理場所)는 구입후(購入後) 경과년수(經過年數)가 길어질수록 공장수리(工場修理)보다 자가수리(自家修理)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자가수리율(自家修理率)은 디젤엔진이 석유(石油)엔진보다 높았으며 석유(石油)엔진에서는 10마력(魔力)이 디젤엔진에서는 8마력(魔力)이 높았다. (4) 고장부위별(故障部位別) 자가수리(自家修理) 비율(比率)은 조향장치(操向裝置)가 가장 높아 66.7%였으며 그 다음이 점화연료계통(點火燃料系統)인 것으로 나타났고 자가수리비율(自家修理比率)이 가장 낮는 곳은 부속작업기(附屬作業機)로서 26.5%에 불과(不過)하였다. 다. 고장원인(故障原因) (1)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고장원인(故障原因)은 기계(機械)의 노후(老朽)에 의(依)한 고장(故障)이 년간(年間) 대당(臺當) 5.18회(回)로 전체(全體)의 57.2%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정비불량(整備不良)과 과부하(過負荷)로 인(因)한 고장(故障)이 전체(傳遞)의 37.7%이었다. (2)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구입후(購入後) 2년(年) 미만(未滿)의 기종(機種)에서는 정비불량(整備不良)으로 인(因)한 고장(故障)이 많았던 반면(反面) 노후(老朽)로 인(因)한 고장(故障)이 적었다. (3)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고장원인(故障原因)은 기종별(機種別) 마력별(馬力別) 공(共)히 노후(老朽)로 인(因)한 고장(故障)과 과부하(過負荷)로 인(因)한 고장(故障)이 대부분(大部分)이었으며 특히 석유(石油) 5마력(馬力)엔진에서는 과부하(過負荷)로 인(因)한 고장(故障)이 월등히 높았다. (4)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부위별(部位別) 고장원인(故障原因)은 시린더 계통(系統)과 주행장소(走行場所)의 고장(故障)에서는 주(主)로 노후(老朽)에 의(衣)한 원인(原因)이 많았던 반면(反面) 점화연료계통(點火燃料系統)의 고장(故障)에서는 정비불량(整備不良)으로 인한 고장(故障)이 많았다. 라. 수리비율(修理(比率) (1)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년간(年間) 대당(臺當) 수리비(修理費)는 34,509원이었고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1시간(時間) 수업당(修業當) 평균(平均) 수리비(修理費)는 97원이었다. (2)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기종별(機種別) 수리비(修理費)는 석유(石油)엔진이 40,697원으로 디젤엔진의 28,322원보다 훨씬 많았다. (3)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기종별(機種別) 1시간(時間) 수업당(修業當) 평균(平均) 수리비(修理費)는 석유(石油)엔진이 108원으로 디젤엔진의 86원보다 많았으며 마력별(馬力別)로는 차이(差異)가 없었다. (4)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고장부위별(故障部位別) 년간(年間) 수리비(修理費)는 시린더 계통(系統)이 13,036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조향장치(操向裝置)가 362원으로 가장 적었다. (5)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1회(回) 수리시(修理時)의 평균(平均) 수리비(修理費)는 3,713원이었으며 시린더계통(系統)이 10,598원으로 가장 많았고 조향장치(操向裝置)가 1,006원으로 가장 적었다. 마. 자가수리소요시간(自家修理所要時間) 및 고장(故障)으로 인(因)한 불가동시간(不稼動時間) (1)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년간(年間) 대당(臺當) 자가수리(自家修理) 소요시간(所要時間)은 8.36시간(時間)이었고 고장(故障)때문에 작업(作業)하지 못한 시간(時間)은 년간(年間) 대당(臺當) 93.5시간(時間)이었다. (2)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사용년수별(使用年水別) 자가수리시(自家修理時)의 1회수리당(回修理當) 소요시간(所要時間)은 6년이상(年以上) 경과(經過)된 기계(機械)에서 21.3시간(時間)으로 가장 높았고 고장(故障) 때문에 사용(使用)하지 못한 시간(時間)은 2년(年) 미만(未滿)된 기계(機械)에서 년간(年間) 대당(臺當) 127.13시간(時間)으로 나타나 가장 높았다. (3)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기종별(機種別) 자가수리시(自家修理時)의 1회(回) 수리당(修理當) 소요시간(所要時間)은 디젤엔진이 10.66시간(時間)으로 석유(石油)엔진의 6.48시간(時間)보다 많았고 고장(故障)으로 인(因)하여 가동(稼動)하지 못한 시간(時間)은 석유(石油)엔진이 년간(年間) 대당(臺當) 99.4시간(時間)으로 디젤엔진의 88.67시간(時間)보다 많았다. (4)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마력별(馬力別) 자가수리시(自家修理時)의 1회수리당(回修理當)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석유(石油)엔진 디젤엔진 공(共)히 8마력(馬力)이 가장 적어 석유(石油)엔진 3.78시간(時間)이었고 디젤엔진은 8.25시간(時間)이었다. (5)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 고장부위별(故障部位別) 자가수리시(自家修理時)의 1회수리당(回修理當)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시린더 계통(系統)이 가장 많은 32.02시간(時間)이었고 고장(故障)으로 인(因)하여 가동(稼動)하지 못한 시간(時間)은 시린더 계통(系統)이 가장 많아 년간(年間) 대당(臺當) 37.30시간(時間)이었다.

  • PDF

Growth and Yield Responses of Two Rice Cultivars to Ozone Treatment under Different Nutrient Supply

  • Lee, Sang-Chul;Hwan, Cho-Jeong;Park, Shin-Young;Son, Tae-K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8-83
    • /
    • 2001
  • Two rice cultivars of the japonica type, ozone-resistant Ilpumbyeo (IL) and ozone-susceptible Keu-mobyeo#l (KM) were exposed to ozone ($O_3$) at 0.15 ppm for 30 days. The available nutrient regimes were varied by doubling the supply of nitrogen (N), phosphorus (P) and potassium (K) within a basic fertilizer status (N, P, K; 15, 12, 12 kg l0$a^{-1}$).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n plant height between ozone-treated and nontreated plants. The most significant ozone stress on tiller number was shown on the 30th day of ozone exposure. Slight recovery from ozone stress was noted on the 60th day. On the 30th day, tiller number was greatly decreased by 40.8% in IL and 64.6% in KM, whereas at a high nitrogen supply regime (2N), it was decreased by 21.4% in IL and 42.7% in KM as compared to the control not treated with ozone at basic fertilizer status. The inhibition of tiller production caused by ozone exposure was alleviated on the 60th day. In both cultivars, number of spikelets per plant and weight of 100 grains were affected little by the ozone treatment irrespective of nutrient regime. However, the number of panicles per plant and yield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both cultivars, yield of ozone-treated plants with 2N status was 12.4-16.1 % higher than that of the ozone-treated plants with basic nutrient status. A significant yield decrease of 47.8% and 33.4% was observed for IL and KM, respectively, in ozone-treated plants with higher potassium (2K) status.

  • PDF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Yield and Quality of Korean Soft Wheat Cultivar 'Goso'

  • Han-yong Jeong;Yulim Kim;Chuloh Cho;Jinhee Park;Chon-Sik Kang;Jong-Min Ko;Jiyoung Sh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22
  • Wheat flour can be categorized into bread, all-purpose, cake flour according to its protein content. Since optimal wheat flour protein content is different for each end us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nitrogen fertilizer methods depending on the end use and cultivar. Optimal wheat flour protein content of soft wheat (for cake flour) is lowest (<=10%) among all end u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itrogen fertilizer methods for high yield and low protein content. In order to analyze the yield and quality changes of soft wheat as nitrogen fertilizer amount and splitting timing, soft wheat cultivar 'goso' was sown on paddy soil in jeunju, Republic of Korea ('21.10).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was divided into 4 levels by adjusting 2kg/10a increments from 5.1 to ll.lkg/lOa, and in the N 7.1 and 9.1 kg/1 Oa(standard) treatment, N amount divided into sowing date:regrowing stage=3:7,4:6(standard), 5:5. In regrowing stage, Tiller number and N fertilizer amount at sowing date showed a correlation; y=-121.14x2+792.66x-525.41 (R2=0.77*, y: Tiller number/m2, x: N amount at sowing date(kg/10a)). Tiller number in regrowing stage was the highest when the nitrogen fertilizer amount at sowing date was 3.23kg/10a. spike number per m2 was the highest when N fertilizer was divided into sowing date:regrowing stage=3:7(N amount: 9.1kg/10a). If N fertilizer amount was fixed, grain yield was also the highest when N fertilizer was divided into sowing date :regrowing stage=3:7. Also, N amount at sowing date and grain yield showed no correlation, but N amount at regrowing stage and grain yiel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s N amount increased, protein content also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 PDF

벼 담수표면산파 시 입모밀도에 따른 시비 조절이 분얼발생,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pplication Level According to Seedling Density on Tiller Development, Yield and Quality in Direct-Seeded Rice on Flooded Paddy Surface)

  • 정남진;김정일;박정화;김제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52-57
    • /
    • 2006
  • 벼 담수직파재배에서 입모수가 적정입모수(120개/$m^2$)보다 적은 과소구를 60개/$m^2$, 적정입모수보다 많은 과다구를 200개/$m^2$로 설정하여, 과소구의 경우 3엽기에 4 kg/10a의 질소를 추가 시비하여 분얼발생을 촉진시키고 과다구에서는 5엽기에 시용하는 분얼비 3.3 kg/10a의 질소시비를 생략하여 분얼을 억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개체별 최고분얼수는 적정구가 9.8개인데 비하여 과소구는 15.2개, 과다구는 8.6개이었으며, 개체별 유효분얼수는 적정구가 3.7개, 과소구가 6.5개, 그리고 과다구가 2.4개로 입모가 과다할수록 개체당 분얼수가 줄어들고 유효경비율이 낮아졌다. 2. 분얼발생 양상은 입모밀도에 관계없이 주간 3절위에서 첫 번째 1차 분얼이 발생하였으며, 유효분얼은 과소구, 적정구, 과다구에서 각각 6.5개/plant, 3.7개/plant, 2.4개/plant 발생하였다. 3. 입모과소구의 벼 개체내에서 분얼의 발생 순서와 간장, 수장, 무효분얼수, 수당립수, 임실율은 부의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적정 입모밀도에서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입모과다구에서는 분얼발생순서와 수장, 무효분얼, 완전미율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현미외관 특성은 입모 과소구가 적정구나 과다구 보다 청미발생이 적어서 완전미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과다구와 적정구의 경우에는 1차 분얼에서 청미발생이 과소구보다 15-20%정도 높게 나타났다. 5. 쌀 수량은 적정구가 494 kg/10a인데 비하여 과소구는 적정구의 99%, 과다구는 적정구의 97%의 수량이 확보되었다.

벼 분얼경의 해부 형태학적 특성과 등숙성 비교 (Morpho-anatomical Characteristics on Spikelet Filling of Different Tiller Orders in Rcie)

  • 김재덕;비 에스 벨가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21-531
    • /
    • 1991
  • 분얼력이 서로 다른 일본형, 인도형, 통일형, Java형, Hybrid등 8개 품종 분얼경의 해부생태학적 특성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비교검토하기 위해 국제미작연구소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1. 1차 분얼의 시작은 일본형 벼는 이앙후 12-14일, 인도형 벼는 9-ll일, 기타품종은 8-l0일 경에 시작되었으며 2차 분얼은 1차 분얼후 7일 (Hybrid)-14일 (SR14453)로 품종간 특성은 1차 분얼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또한 분얼경수는 1차 분얼경은 4(SR14453)-8개(IR30), 2 차는 3 (SR14453) -20개 (IR30) 이었다. 2. 분얼기간은 21일 (IR14453)-65B (IR30)이 소요되었고 출수는 단기간(6-32일)내에 끝나 생육기간이 다양하였으며 주간의 출수는 밀양 83 호와 운봉벼에서만 가장 먼저 출수하였다. 3. 이삭목의 대유관속수는 품종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IR30, 밀양 8003, Rewa, Hybrid 벼는 대유관속수가 소유관속수보다 많았으나 IR47705, Silewah, 운봉벼, SR14453은 반대 의 경향이었다. 4. 이삭목의 대유관속수의 감소율은 주간과 1차 분얼경간에 0(SR14453)-3.0개(Hybrid)로 품종간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출현이 빠른 분얼경은 늦은 것보다 유관속수가 많았으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도 있었다. 5. 분얼경간 수량특성은 임실율이나 천립중은 분얼순서와 큰 차가 없었으나 수당입수의 차가 크기 때문에 수량은 주간에 가장 많았고 1차 분얼경, 2차 분얼경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주간과 1차 분얼경은 2차 분얼경에 비해 초장, 수장, 엽면적이 크고 유관속의 수가 많았다 . 6. 이삭목의 유관속수는 수당입수 및 수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임실률과 천립중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수당입수는 분얼시기에 따라 부의 상관이 있었으나 출수시기와는 품종간 차이가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