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flats

검색결과 326건 처리시간 0.023초

서식지 적합지수를 이용한 근소만 갯벌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의 어장적지평가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eunso Bay Tidal Flats)

  • 최용현;홍석진;전승렬;조윤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511-518
    • /
    • 2019
  • Evaluating the habitat suitability of potential aquaculture sites for cultured species is critical to the sustainable use of tidal flats. This study evaluated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of 12 sites in a tidal flat aquaculture farm at Geunso Bay, Taean, in June 2016. The parameters used to model the suitability index were Growth (water temperature, chlorophyll ${\alpha}$, hydrodynamics), Survival (sediment-sand, mean size, air exposure), and Environment (DO, salinity). The HSI was calculated using weighted and No weighted geometric means. The results showed high habitat suitability at the bay's entrance (HIS; No weighted, 0.60-0.70; weighted, 0.60). Hydrodynamics, air exposure, sediment-sand and mean size are though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abitat selection by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This study explored the optimum habitat for Manila clams by calculating the HSI, providing basic data for tidal flat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Benthic Chlorophyll a and Sediment Properties in the Tidal Flats of Kwangyang Bay, Korea

  • Sin, Yong-Sik;Ryu, Sang-Ock;Song, Eun-Sook
    • ALGAE
    • /
    • 제24권3호
    • /
    • pp.149-161
    • /
    • 2009
  • Characteristics of benthic microalgae and sediment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intertidal flats of Kwangyang Bay, Korea. Sampling stations were selected every 100 m in the intertidal flats from land-side to open ocean at two different sampling sites. Samples were collected in June 2004, July, September, November, February and May 2005. Sediments properties were measured including temperature, water contents, sediment bulk density, nutrient concentrations in porewater.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 (0.5 cm) were measured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lorophyll a and various sediment propert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major mechanisms regulating biomass of benthic microalgae in the intertidal flats using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ediment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maximum during winter and minimum during warm seasons ranging from 4.4 mg $m^{-2}\;to\;81.2\;mg\;m^{-2}$. No clear spatial variations were observed for the sediment chlorophyll a in the study sites.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benthic microalgae biomass was affected by sediment temperature and nutrients especially ammonium and silicate. Grazing effect was estimated using chlorophyll: pheopigments ratio, indirect indicator of grazing activity,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of the ratio and chlorophyll a implied that microalgae biomass is affected by grazing of zoobenthos although direct measurement of grazing activity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op-down controls in the benthic microalgae dynamics.

하구방조제의 홍수조절 해석 (Flood control analysis of the sea dike at estuary.)

  • 서승덕
    • 물과 미래
    • /
    • 제10권2호
    • /
    • pp.113-124
    • /
    • 1977
  • Alone the southwesten coast of Korean peninsula, the extensive available arable acreages suited for forming are found in the development of tidal flats in the geographically curved bays with a motable tidal emplitude.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s of these tidal flats cover an estimated area more than 276,000ha. In this paper, a flood control system by Pul's Storage Indication Method and Pul's Graphical Method at Return Periods-50 yrs, design rainfall-267mm per 48hrs and design flood-926c.m.s. and at 0.2meter control height above the High Water Ordinary Spring Tide Level (+11.0m) was studied. At the result, the flood demage in the reservoir at Return Periods-50 yrs and the tidal level at H.W.O.S.T.L. were satisfied to the below E.L. 11.20m (Flood Level in the reservoir). Well skilled flood control technique and management and control of draining sluice gate should be required for the disaster prevention from the flood and tide damage.

  • PDF

The Monitoring of Biogeo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Sediment and Water: a Mesocosm Study

  • Yang, Jae-Sam;Kim, Yeong-Tae;Choi, K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9권1호
    • /
    • pp.107-118
    • /
    • 2004
  • A series of mesocosm experiments has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diment on the qualities of superficial water over the tidal flats. The experiments involved two different kinds of sediments (Silt and Fine Sand) to mimic the natural habitats.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mesocosm were kept as natural as possible. The mesocosm coincided with the annual patterns of the natural water qualities and was identical with the composition of benthic organisms of three reference sites of natural tidal flats. DIP has been leached out from sediment from June to October, but not for ammonium and DIN. The mesocosm was successfully able to simulate the environmental situations of natural tidal flat and will be a useful tool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s by human activities.

전남 하의도 갯벌에 서식하는 칠게, Macrophthalmus japonic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from Tidal Flat of Bani Island, Jeollanamdo, Korea)

  • 권대현;최옥인;고병설;송재희;조영조;박주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1-266
    • /
    • 2008
  • The ocypodid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commonly occurs in tidal flats in areas around Korea. We examined the age and growth of M. japonicus collected from the tidal flats of Haui Island in Jeollanamdo,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6. According to variation in the monthly fatness index, the population spawned from June to August. To estimate parameters of growth, frequencies of monthly carapace lengths were analyzed using FiSAT II. The allometry of females differed from that of males. VBGE(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 and seasonal VBGE were determined using monthly average carapace lengths for males and females, and an equation for estimating seasonal growth was calculated using regression coefficients.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화도 남단갯벌의 DEM 추출 (Extraction of DEM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using Satellite Image)

  • 박성우;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13-22
    • /
    • 2003
  • 위성영상 이미지를 이용한 갯벌의 지형 고찰은 주기적인 자료 획득 등의 측면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되어 왔다. 특히, 광학 위성영상의 근적외선 영역은 해역과 육역을 구분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5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갯벌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조위 자료를 고도값으로 사용하여 갯벌의 수치표고모델을 작성하였다. 수치표고모델은 갯벌의 입체적인 지형을 고찰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며 더 나아가 갯벌 지형의 변화 탐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강화도 남단 갯벌에 대해 90년대에 촬영된 8장의 영상을 1994년 기준으로 두 시기로 나누었고, 각각에 대해 수치표고모델을 작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영상 촬영 시기에 해당하는 갯벌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었고, 1994년 이후 조위의 변화에 따라 갯벌의 면적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시기 위성자료에 의한 조간대 수치지형모델의 작성 (The Generation of a Digital Elevatio Model in Tidal Flat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Data)

  • 安忠鉉;梶原康司;建石降太郞;劉洪龍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1-145
    • /
    • 1992
  • A low cost personal computer and image processing S/W were empolyed to derive Digtal Elevation Model(DEM) of tidal flat from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s, and to create three-dimensional(3D) perspective views of the tidel flat on Komso bay in west coasts of Korea. The method for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DEM) in tidal flat was considered by overlapping techniques of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s and interpolations. The boundary maps of tidal flat extracted from multitemporal images with different water high were digitally combined in x, y, z space with tide in formation and used as an inputcontour data to obtain an elevation model by interpolation using spline function. Elevation errors of less than $\pm$0.1m were achived using overlapping techniques and a spline interpolation approach, respectively. The derived DEM allows for the generation of a perspective grid and drape on the satellite image values to create a realistic terrain visualization model so that the tidal flat may be viewed from and desired direct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obtained elevation model of tidal flats which contribute to characterize of topography and monitoring of morphological evolution of tidal flats. Moreover, the modal generated here can be used for simulation of innudation according to tide and support other studies as a supplementary data set.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한 조류로의 프랙털 분석 (Fractal Analysis of Tidal Channel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 엄진아;이윤경;유주형;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67-573
    • /
    • 2007
  • 조간대의 조류로 발달은 조간대 퇴적물 종류, 입도, 조성 및 조류의 세기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조류로의 발달 특성, 밀도, 형태 등은 조간대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조류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조류로에 대한 프랙털 차원 결과와 조류로 발달에 영향을 주는 지형(DEM : Digital Elevation Model)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프랙털 분석 중에서 하천 해안 등 선형의 특징에 많은 적용을 하는 box count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지역은 조차가 심한 강화도 남단의 조간대이다. 연구 방법은 IKONOS 영상으로부터 조류로를 추출한 뒤 프랙털 차원을 구하였다. 그 결과 프랙털 차원은 약 $1.0{\sim}1.35$ 정도의 결과 값을 얻었다. 지형이 낮으며 채널의 발달이 미비한 지역(강화도 남단 여차리 부근)에서는 프랙털 차원이 약 $1.0{\sim}1.2$ 정도의 낮은 값을 가지는 반면에 지형이 높고 채널 발달이 수지상으로 잘 발달된 지역(영종도 북단)의 프랙털 차원은 약 $1.20{\sim}1.35$ 정도의 높은 값을 가진다. 이 분석으로부터 프랙털 분석으로 인하여 조류로의 정량적 분류가 가능하며 지역의 지형에 따라서 조류로의 발달 형태가 달라 프랙털 차원 값이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에머지 방법론을 이용한 갯벌생태계의 가치 평가: I. 에머지 유입 특성 (Emergy Valuation of Tidal Flat Ecosystems in Korea: I.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mergy Inputs)

  • 남정호;강대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1권4호
    • /
    • pp.134-143
    • /
    • 2016
  • 전국 및 지역별 갯벌을 대상으로 갯벌생태계의 생태적 과정을 유지하고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본 토대인 자연환경에너지(태양, 바람, 파도, 강수, 조석 등)를 통한 에머지 유입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갯벌생태계로 유입하는 자연환경에너지가 공급한 에머지 총량은 $4.98{\times}10^{21}sej/yr$이었는데, 이는 갯벌생태계의 유지에 필요한 기본적인 환경 조건이 제공하는 에머지량에 해당한다. 갯벌생태계로 유입하는 에머지량을 화폐 단위로 환산하면 1조1,412억 원/yr으로, 이것은 갯벌생태계가 제공하는 생태계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토대가 되는 환경적 조건의 가치에 해당한다. 지역별 갯벌의 면적 차이를 고려하여 단위면적당으로 나타낼 경우 우리나라 연안의 일반적인 조차 분포를 따라 인천-경기 지역에서 부산 지역으로 갈수록 단위면적당 에머지 유입량이 감소하였다. 지역별 갯벌의 단위면적당 에머지 유입량과 단위면적당 수산물 생산의 에머지량을 이용하여 갯벌생태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자연환경에너지의 에머지 유입 특성과 생태계서비스 사이의 관계를 개괄적으로 살펴본 결과 지역별 갯벌로 유입한 에머지량과 수산물 생산의 에머지량 사이에는 아주 명확한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단위면적당 에머지 유입량이 더 많은 서해안 갯벌에서 생산한 수산물의 에머지량이 남해안 갯벌에서 생산한 수산물의 에머지량보다 더 많아 개별 갯벌생태계의 생태계서비스 잠재력을 나타내는데 자연환경에너지를 통한 에머지 유입량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다중시기 위성자료 기반 낙동강 하구 지역 갯벌 면적 분석을 통한 블루카본 저장량 변화 평가 (Evaluating Changes in Blue Carbon Storage by Analyzing Tidal Flat Areas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Data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South Korea)

  • 김민주;박정우;현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1-202
    • /
    • 2024
  • 지구 온난화는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 증가에 기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를 유발하고 생태계와 인류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각국은 다양한 방법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시도하고 있으며, 해안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인 블루카본(blue carbon)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블루카본은 그린카본(green carbon) 대비 탄소흡수 속도가 최대 50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후 변화 대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대한민국의 갯벌은 생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고 뛰어난 탄소흡수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블루카본 관련 기존 연구에서는 갯벌의 탄소 저장량 및 연간 탄소 흡수량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직접 갯벌의 면적 변화를 탐지하고 이를 탄소 저장량과 연계한 사례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시기 고해상도 위성자료인 PlanetScope 및 RapidEye 자료에 Direct Difference Water Index를 적용하여 연구지역인 낙동강 하구 갯벌의 면적 및 변화를 2013년부터 2023년 사이의 6개 시기에 대해 장기적으로 분석하고 시기별 탄소 저장량을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 내 갯벌 면적은 조위 기준이 상이한 2013년 시기를 제외하였을 때 최소 약 9.38 km2 (2022년), 최대 약 9.89 km2 (2021년)로 연간 최대 약 5.4%가 변화하였으며 탄소 저장량은 최소 약 30,230.0 Mg C, 최대 31,893.7 Mg C로 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