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c disorder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초

틱장애 아동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과 한약치료 효과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and Clinical,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r Tic Disorder children)

  • 위영만;이고은;정세인;박보영;박보라;유영수;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9-94
    • /
    • 2012
  • Objectives : The goal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assess children with tic disorders,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herbal treatments of tic disorders. Methods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6 to April 2011, with 200 out-patient children between the age of 6 to 12 diagnosed with tic disorder (after excluding 10 children who could not be clearly diagnosed) at the "H'herbal medicine clinic located in Seoul. Of these 200 children, we have evaluated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manifest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s. Results : 1. Among the children diagnosed with tic disorder, TTD was most prevalent (43.3%) and males were more likely than females to express tics (5.45:1). Children with TD sought help significantly later (average age of 9.03 years) than the other types. 2. The analysis result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s are as follows. Compared to the pre-treatment assessment, children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more than three months (n=52) showed a marked decrease in symptoms of motor tics (the number of motor tics, frequency, severity, complexity) and vocal tics (the number of vocal tics, frequency, severity), in the impairment level of combined tics (motor and vocal tics together) and in the overall score.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apprehende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ic disorder patients who visited a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linic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assessment results. Furthermore, we identified the effectiveness of herb formula in tic disorder.

뚜렛씨병과 만성틱장애의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 소견에 관한 연구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IN TOURETTE'S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 조수철;이명철;김자성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68-78
    • /
    • 1993
  •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는 7세 전후한 연령에서 가장 흔히 시작되는 소아 또는 청소년기의 행동장애로서 서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유전적인 경향이 아주 강한 질환들로 알려져 있다. 원인으로서도 여러가지 가설이 있으나 뇌의 기능 또는 기질적인 장애로 인하여 발병될 가능성도 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 질환들의 생물학적인 원인들 중 일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일광자방출 전산화단층촬영술을 시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1.0%(13/42)에서 대뇌피질의 혈류감소 소견을 보였으며, 전두엽이 가장 흔한 혈류 이상 소견을 보인 부위였다.2) 4.8%(2/42)애서 대뇌기저핵의 혈류에 감소를 나타내었다. 3) 4.8%(2/42)에서 시상부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4) 16.7%(7/42)에서 소뇌의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5)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간에 혈류장애의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6)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에 있어서, 혈류장애가 동반된 빈도에 있어서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걸과로 미루어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의 생물학적인 원인중의 하나로 뇌혈류장애와 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뇌혈류의 정도를 정량화시키거나, 또는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높여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복합틱장애 증상이 있는 딸을 둔 부부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Family Therapy for Parents with a Daughter Suffering from Multiple Tic Disorder)

  • 박태영;유진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47-63
    • /
    • 2013
  • This study deals with a counseling case in which a mother requested counseling due to the problems of her daughter, who suffers from multiple tic disord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five family members (grandmother, father, mother and two female children) and a total of 23 sessions were held from September 2006 to December 2007. Additional counseling ($24^{th}$ counseling session) was conducted on April 1st, 2009. The data was based on recorded transcripts and notes from 24 family therapy sessions. The study used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which uses matrix and network display as an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Miles&Huberman(1994).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of origin and the indifference of the husband had caused the wife stress. The couple had frequent conflicts due to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s, a clash of values, sexual dissatisfaction, and a lack of communication. This marital conflict became the primary factor of the daughter's multiple tic disorder. Intervention of the family therapist resulted in the setting of treatment goals based on MRI's communication theory and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aughter's multiple tic disorder. Also, the therapist's intervention techniques included exploring experiences with the family of origin, shedding light on the multi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exploring dysfunctional attempts at solutions, the therapist's self-disclosure, providing similar cases, dealing with resistance, and suggesting a new communication method. To solve the problem, the therapist helped the family separate the daughter spatially from her parents. Therefore, the therapist's intervention helped reduce the daughter's tics and improve relationships among the family.

만성 틱 장애 뚜렛씨 장애의 임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 신성웅;임명호;현태영;성양숙;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03-114
    • /
    • 2001
  • 뚜렛씨 장애는 근육틱과 음성틱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이다. 만성 틱장애는 근육틱 혹은 음성틱중 하나만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 4월 1일부터 1999년 4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만성 틱 장애 아동과 뚜렛씨 장애 아동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두 질환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학습장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틱장애(n=13)와 뚜렛씨 장애 환자(n=29)의 평균 발병연령은 각각 $7.3{\pm}2.5$, $7.2{\pm}2.2$세, 입원시 연령은 평균 $11.7{\pm}2.7$, $11.5{\pm}2.6$세, 입원기간은 $5.7{\pm}5.4$, $11.0{\pm}8.7$주였고 두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학습장애의 경우 발병연령($4.2{\pm}1.9$세)이 두 장애보다 빠르고 의료기관을 찾는 시기($9.8{\pm}3.2$세)도 빨랐다. 출생 계절은 틱장애 환자들에서 6월에서 9월 사이가 가장 적었지만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남녀의 성비율은 각각 10:3, 26:3, 11:5였고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가 출생할 때의 아버지와 어머니 연령은 세 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신과적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각각 24.1%, 46.2%, 56.3%였다. 발병전 유발 요인이 확인된 경우는 만성틱장애와 뚜렛씨 장애에서 11.1%와 35.7%로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학습장애(56.3%)에 비해서는 적었다. 셋째,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그리고 학습장애 환자의 지능지수는 각각 언어성 지능 $92.3{\pm}10.7$, $94.7{\pm}14.9$, $94.3{\pm}13.8$이었고, 동작성 지능은 $93.0{\pm}20.5$, $97.5{\pm}13.0$, $95.0{\pm}16.9$이었으며, 전체 지능은 $91.9{\pm}20.1$, $95.8{\pm}14.5$, $93.9{\pm}15.1$로서 세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기질적 뇌장애 소견은 CT/MRI 등에서 0%, 27.3%, 6.3%, 뇌파 이상은 8.3%, 17.2%, 12.5%에서 나타났고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넷째, 항도파민 약물에 대한 반응은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환자에서 각각 84.6%, 77.0%가 부분관해를 보였고 완전 관해된 경우는 한 명도 없었으며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공동 유병현황을 조사한 결과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학습장애에서 의미 있게 많은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 결과 입원한 환자의 경우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학습장애를 가진 환자와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구분해야 하는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 PDF

뚜렛씨병과 만성틱장애의 혈장 Dopamine-Beta-Hydroxylase이 활성도에 관한 연구 (PLASMA DOPAMINE-BETA-HYDROXYLASE ACTIVITY IN TOURETTE'S DISORDER AND CHRONIC MOTOR TIC DISORDER)

  • 조수철;서유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47-55
    • /
    • 1995
  • Tourette씨병 또는 만성틱장애에서 Dopamine계의 적용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고자 혈장내 DBH 활성도를 측정하고, 연령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장내의 DBH 활성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2.50umol/min/1), Tourette씨병이 가장 낮았다(105umol/min/1). 만성틱장애는 1.75umol/min/1이었다. 분산분석 결과 세군간에 있는 차이가 관찰되었는데, 사후검증 결과, Tourette씨병과 대조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 또는 만성틱장애와 대조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Tourette씨병과 만성틱장애를 한군으로 묶어 대조군과 비교해 본 결과,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다.(S=16.56, Sa=1.76, p<0.05). 2) 혈장 DBH활성도의 개체발생적인 과정에 있어서는 Tourette씨병, 만성틱장애 또는 대조군에서 모두 연령이 증가되면서 DBH활성도가 의미있게 증가되었다. 즉 틱장애와 대조군간에 DBH개체 발생적인 과정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Tourette씨병의 생물학적인 원인중의 하나로서, DBH 활성도의 이상이 관여할 가능성이 있으며, DA계와 NE계의 균형의 장애가 한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다. DBH활성도의 차이에 대한 기전에 대하여는 향후의 연구과제가 된다.

  • PDF

소아기 붕괴성 장애의 양상을 보이는 PANDAS 1례 (A CASE OF PANDAS WITH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 조수철;성덕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2권1호
    • /
    • pp.149-156
    • /
    • 2001
  • 베타 용혈성 A군 연구균(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us)에 의한 류마치스성 열 이후에 Sydenham 무도병이 발현되는 환자 군에서 강박 증상 또는 틱 증상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은 후, A군 연구균 감염과 강박 장애 또는 틱 장애 사이의 관계가 주목받게 되었다. A군 연구균 감염 후에 강박 증상 또는 틱 증상이 유발되는 환자들은 갑작스런 발병과 극적인 증상 악화를 보이고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며 무도병 모양의 운동 및 독특한 양상의 운동 과잉 등의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고 또 그 경과가 악화 및 완화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런 임상적 특징을 보이는 소아 환자 군을 PANDAS(pediatric autoimmune neuropsychiatric disorders associated with streptococcal infections)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현재까지 강박 장애와 틱 장애뿐 아니라 주의력 결핍/과잉운동 장애, 신경성 식욕부전증, 신체이형장애 환자들이 PANDAS 범주에 속한다는 보고들이 있어 왔다. 본 증례는 7세까지 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다가 A군 연구균 감염 수개월 후부터, 인지 기능, 사회성, 언어 및 의사소통에 장애를 보이고 틱 증상과 함께 얼굴과 손발에 이상 운동을 보이는 환자를 기술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본 증례가 소아기 붕괴성 장애의 양상을 보이는 PANDAS 증례라고 생각되어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함으로써, PANDAS가 틱 장애, 강박 장애, 주의력 결핍/과잉운동 장애, 신경성 식욕부전증, 그리고 신체이형장애 등의 양상을 보일 뿐 아니라 소아기 붕괴성 장애의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사실을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연속수행검사에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감별 진단 시 임상 T-점수의 유용성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 틱장애를 중심으로 - (Usefulness of Clinical T-Score of Continuous Performance Test for Differential Diagnosis : among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Tic Disorder)

  • 윤수연;구훈정;김붕년;조수철;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2호
    • /
    • pp.112-119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qualitative differences in attention problem among children with various psychiatric disorders, including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tic disorder using clinical ADHD diagnostic system (ADS) T-scor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794 outpatient children aged from 5 to 15 years, including 540 children with ADHD, 95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 86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and 73 children with tic disorder. Clinical T-scores on the ADS were calculated us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of four ADS variables for the ADHD group. Results : All four groups had T-scores on the ADS in the abnormal range. However, when comparing the clinical T-scores, the children with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performed better than the children with ADHD. We also found that although the four groups seemed to be similar in terms of clinical T-scores for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T-scores for reaction tim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ponse time (RT) between the ADHD and other groups. Conclusions : We concluded that inattention and impulsivity might not be specific only to ADHD and that the clinical T-scores of RT and standard deviation of RT on the ADS could be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ADHD and other clinical groups.

  • PDF

Tourette씨병의 Serotonin계와 정신병리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OTONIN SYSTEM AND PSYCHOPATHOLOGY IN TOURETTE'S DISORDER)

  • 조수철;신윤오;서유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77-91
    • /
    • 1996
  • 틱장애 아동들의 생화학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동반 질환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87명의 틱장애 아동과 30명이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87명 중 45명은 Tourette씨병(TS)이었고, 22명은 만성틱장애(chronic motor tic disorder, CMT), 20명은 일과성틱장애(transient tic disorder, TTD)이었다. 공존질병에 따른 분류로는 순수한 틱군(PT)은 43명, 틱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ADHD)가 동반된 군이 28명, 틱과 강박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T+OCD)가 동반된 군이 16명이었다. 이들 대상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혈장 5- HT(5-hydroxytryptamine)와 5-HIAA(5-hydroxyindoleacetic acid)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장내 5-HT함량과 5-HTAA함량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었다(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0.77, p<0.05). 2) 대상군에서 연령과 5-HT또는 연령과 5-HIAA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3) 대조군에서 연령과 5-HT또는 연령과 5-HIAA함량과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4) 혈장 내의 5-HT함량은 TS, CMT, TTD그리고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F=34.48, df=3.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TS군, 대조군과 CMT군, 대조군과TTD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TS군과 CMT군 TS군과 TTD군, 그리고 TTD군과CMT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5) 혈장 내의 5-HIAA함량은 TS군, CMT군, TTD군 그리고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F=26.48, df=3,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TS군, 대조군과 CMT군, 대조군과 TTD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TS군과 CMT군 TS군과 TTD군, 그리고 TTD군과 CMT군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6) 공존질병의 생화학적 소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혈장 내의 5-HT와 5-HIAA함량은 PT군, T+ADHD군, T+OCD군 그리고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5-HT, F=37.59, df=3, 113, p<0.01, 5-HIAA, F=27.37, df=3, 113, p<0.01),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과 PT군. 대조군과 T+ADHD군, 대조군과 T+OCD군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PT군과 T+ADHD군, PT군과 T+ADHD군, PT군과 T+OCD군, 그리고 T+ADHD군과 T+OCD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serotonin계의 개체발생적인 과정은 대상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으나, serotonin계의 기능저하가 틱장애의 발병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공존질병이 생화학적인 소견에 미치는 영향은 극미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의 연구에 있어서는 틱장애에 대하여 serotonin계의 기능항진을 일으키는 약물 투여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며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그 기전을 규명하여야 한다.

  • PDF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공존질환에 따른 OROS-Methylphenidate의 효과와 안전성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Osmotic Release Oral System-Methylphenidate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cording to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 윤형준;육기환;전덕인;석정호;홍나래;조성식;홍현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9권3호
    • /
    • pp.147-155
    • /
    • 200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osmotic release oral system-methylphenidate (OROS-MPH)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This was an 8-week open label study of OROS-MPH monotherapy. The subjects were 113 children with ADHD aged 6-12 years. Outcome measures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 ADHD Rating Scale (K-ARS), Korean version of the Conners Parent Rating Scale (K-CPRS),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and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 Side effects were monitored using Barkley's Side Effect Rating Scale. We compared the change-over-time in the mean scores of the outcome measure according to the comorbidity of disruptive behavior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tic disorder. Results: The mean K-ARS and K-CPR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regardless of the comorbidity. The mean doses of OROS-MPH and dropout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comorbidity. The OROS-MPH was well tolerated, regardless of the comorbidity. However, children with tic disorder reported a higher frequency of tics or nervous movements between the $2^{nd}\;and\;8^{th}$ week than those without tic disorder. Conclusion: The OROS-MPH is effective for decreasing the symptoms of ADHD, and it is well tolerated, even by patients with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 PDF

틱 장애 환자의 추적 조사 (FOLLOWF-UP STUDY OF THE TIC DISORDERS)

  • 신종헌;정철호;김희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68-76
    • /
    • 1996
  • 이 연구에는 틱장애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을 파악하고 경과 및 예후를 평가하기 위하여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YGTSS)을 이용하여 1984년 1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동산의료원 정신과를 방문한 IS세 이하 틱장애 환자들 중 추적 조사가 가능한 30명을 대상으로 $3.1{\sim}18.1$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발병 연령은 $7.5{\pm}2.4$세였으며, 병원을 방문하기까지 틱장애의 지속 기간은 $2.3{\pm}2.2$년이었다. 처음 병원 방문시 증상 부위별 빈도는 눈(66.7%), 음성 틱(43.3%), 입(40%), 머리 (40%), 어깨(20%), 얼굴(20%), 코(20%), 팔(16.7%), 배(13.3%), 다리(13.3%)의 순서였으며, 추적조사시에는 음성틱(40%)과 눈과 머리(각각 20%)에서 많이 나타났다. 처음 발병시 9명 (30%)에서는 유발인자가 있었다. 틱장애와 동반된 다른 질환으로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9명, 수면장애 3명, 상동적운동장애(손톱 물어뜯기), 발달성언어장애, 과잉불안장애, 야뇨증, 정신지체가 각각 2명, 말더듬기 및 강박성장애 1명이 관찰되었다. 대상 환자 30명중 11명 (36.7%)에서 완전호전, 11명(36.7%)이 부분호전되었으며, 나머지 8명(26.7%)은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었다. 틱 증상 혹은 이차적인 불안이나 우울로 인해서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경우는 4명 (13.3%)이었다. 증상의 호전과 발병 나이, 처음 방문시의 진단, 추적조사 기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나이의 증가에 따라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