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ochromic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19초

여대생의 의복착용동기와 패션경향 (The Motive of Clothing-Wearing and Fashion Tren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 Ji-Hun Yu;Myung-Sook Han
    • 복식문화연구
    • /
    • 제8권1호
    • /
    • pp.65-76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assify of clothing-wearing motives, to analyze tendency of fashion in campus, and to propose fashion merchandising plans and marketing strategies of companies for female college students. Research had been done during 1 week each on April and October in 1998 and 1999. Sixty-two students in spring semester and 54 student in fall semester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ir grades and majors were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Fashion Diary had been written by students and then their statements were analyzed by the means of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Clothing-wearing motives were classified with 'group depending on daily work', 'group depending on image', 'group depending on body supplement', 'group depending on weather', 'group of fashion following', 'group depending on courtesy', 'group depending on mood', and 'group of unconcerning'. 2. The fashion tendency of the students were layered look and they preferred casual styles, such as round t-shirts, jean pants, and cardigans. The color of white, black, and gray were prevalent for top wear, and the color of blue, black, beige for bottom wear in both seasons. For shoes, color of black, brown, white were popular. For bags, black, blue, and khaki color were prevailed. 3. The proposal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Production of clothing enforced functional and practical base is wanted for 'group depending on daily work'. 2) Designs considering body parts such as hip, arm hole, shoulder, and thigh are needed. 3) Utilization of new materials such as waterproof with ventilation, opaque (means 'not see-through'), antipollution finishing process are required. 4) Simple designs of clothing which could be performed by herself with various accessories. Thermochromic materials are wanted for 'group of fashion following'. 5) Diversity of semi-suit is required for 'group depending on courtesy'.

  • PDF

온도 변색 도료의 지붕 적용 및 냉방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Cooling Effect of Applying Temperature Discoloration Paint to a Roof Surface)

  • 백상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5-123
    • /
    • 2022
  • 본 연구는 지붕 표면에 온도 변색 도료(Thermochromic paint) 적용에 따른 지붕 표면 온도 저감 및 실내 냉방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도료는 특정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되는 특징을 갖는다. 만약 본 도료를 적용함으로서 지붕 표면이 여름철에는 흰색으로, 겨울철에는 검정색으로 계절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면, 여름철에는 일사를 반사하여 실내 냉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일사를 흡수하여 난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본 도료에 의해 여름철에 지붕의 표면 온도와 실내 온도가 어느 정도 감소되는지에 대해 실증 실험 및 기존 도료와의 비교를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온도 변색 도료가 적용된 지붕의 표면온도는 기존 도료의 경우보다 대략 5~10℃ 정도 낮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실내 기온 또한 기존보다 대략 3℃ 이상 낮게 분석되었다. 따라서 온도 변색 도료는 여름철 높은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지붕에 적용 될 시, 표면 온도를 크게 감소시켜 실내 냉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역 감온 변색 겔형 염화 코발트/polyvinyl butyral을 이용한 온도 감지 광섬유 센서 연구 (Studies on Optical-fiber Sensor to Monitor Temperature using Reversible Thermochromic Gel Type Cobalt (II) Chloride/Polyvinyl Butyral)

  • 황기섭;박재희;하기룡;이준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436-442
    • /
    • 2014
  • 염화코발트 용액을 사용하여 전자기파와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원거리 실시간 광섬유 온도 감지 센서를 개발하였다. 염화코발트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은 부피 비율로 10%와 90%로 고정하고, 용해되는 염화코발트의 양을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제조된 염화코발트 용액은 자외-가시선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655 nm 파장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30.8 mM 염화코발트 수화물 용액에 polyvinyl butyral을 용해시켜 겔화한 후, 온도 변화에 따른 655 nm 파장의 투과도 측정 및 센서 적용 후 광 파워 분석을 실시하였다. 투과도와 광 파워 측정 결과, $25^{\circ}C$에서 66.8%와 149.5 nW, $70^{\circ}C$에서는 7.1%와 48 nW로 각각 나타나,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도와 광 파워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제조된 겔화 염화코발트/polyvinyl butyral은 온도 변화에 따라 655 nm 파장에 대한 광 투과도와 광 파워가 변하는 점을 이용하여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광섬유 센서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La, Sr)MnO3을 이용한 가변 방사율 소재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Variable Emittance Material Based on (La, Sr)MnO3)

  • 한선우;최봉수;송태호;김성진;이봉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6호
    • /
    • pp.583-590
    • /
    • 2013
  •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는 우주환경에서 작동하는 장비의 온도가 낮을 때는 방사율이 낮아져 시스템의 외부로의 열 손실을 줄이고, 반대로 온도가 높은 때는 방사율이 높아져 장비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어 효율적인 열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가변 방사율 소재로 보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 중 하나인 감온변색 장치(thermochromics device)는 추가적인 장비 필요 없이 열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유로 감온변색 장치의 소재 중 하나인 LSMO($La_{1-x}Sr_xMnO_3$)채택하여 졸-겔(sol-gel)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제작된 샘플의 가변방사 성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진공환경과 극저온 환경에 반복 노출시켜 시편이 극심한 환경 변화 이후에도 방사율 값이 일정함을 확인하여 우주적합성을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