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variation patterns over a period of 10 day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의 하계 강수량의 순변화 유형과 강수지역 (The Variation Patterns over a Period of 10 Days and Precipitation Regions of Summer Precipitation in Korea)

  • 박현욱;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17-428
    • /
    • 2005
  • 아시아의 동안에 위치한 한반도는 수리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 지역에 따라 강수현상 및 탁월 일기의 다소와 그 계절변화가 크다. 이러한 탁월한 날씨의 특징은 한국의 하계의 강수출현율과 그 순변화에 잘 반영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의 78개 관측지점의 하계강수량$(1991\~2003)$의 순별 평균값에 대해 주성분분석법을 응용하여 하계강수량의 순변화형을 추출하고, 그의 공간스케일과 강수량의 다소에 따라 강수지역구분을 한 것이다. 주성분 분석에 의해 추출된 주성분 벡터와 진폭계수(Rs)에 따라 하계 강수량 순변화의 전형적인 특징은 두 개의 순변화형으로 표현되며 그 누적기여율은 $64.3\%$이다. 또한 한국의 하계 강수량의 순변화형은 $A\~K$형까지 9개가 추출되었고, 강수지역은 17개형으로 분류되었다.

하계강수량과 그 순변화형에 의한 호남지방의 지역 구분 (Regional Divisions of Honam Region by Summer Precipitation and Variation Patterns over a Period of 10 days)

  • 박현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1-113
    • /
    • 2005
  • 한반도의 남서부에 위치한 호남지방은 수리적, 지리적 요인에 의해 지역에 따라 하계의 강수현상 및 탁월일기의 다소와 그 계절변화가 크다. 본 논문은 AWS 63개 지점을 포함한 호남의 79개 기상관측지점의 하계강수량(1994$\sim$2003)과 그 순변화형(강수특성 표현의 중요한 한 요소임)에 대해 순별 강수량의 다소와 순장수량의 주성분벡터와 진폭계수(Rs)를 이용하여, 호남 각 지역에서의 하계강수량 순변화형을 수량적으로 추출하고, 그 공간스케일의 변동을 규명해, 그에 따른 호남지방의 강수지역 구분을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 호남지방의 하계강수량 순변화의 전형적 특징은 상위 4개의 순변화형으로 표현되며 그 누적기여율은 78.0%이다. 또한 호남지방의 하계강수량의 순변화형은 A-K형까지 11개가 추출되었고, 강수지역은 18개형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 PDF

Peri-estrus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and its application to estrus detection in Hanwoo (Korea Native Cattle)

  • Si Nae Cheon;Geun-Woo Park;Kyu-Hyun Park;Jung Hwan Je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748-758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during the peri-estrus period and its application to estrus detection. A total of 20 Hanwoo cows were fitted with a neck-collar accelerometer device, which measured the location and acceleration of cow movements and recorded the number of instances of mounting behavior by the altitude data. The data were analyzed in three periods (24-, 6-, and 2-h period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5 days after the prostaglandin F2α (PGF2α) injection, and the concentrations of estradiol, progestero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and luteinizing hormone were determi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recorded over 2-h periods significantly increased as estrus approached and were more efficient at detecting estrus than over 24- and 6-h periods (p < 0.05). Endocrine patterns did not differ with the variation of individual cows during the peri-estrus period (p > 0.05). Activity was selected as the best predictor through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However, activity alone is not enough to detect estrus. We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activity and mounting behavior may improve estrus detection efficiency in Hanwoo.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findings on a larger sample size.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호 추동지점에서의 남조류 발생 패턴 분석 (Effect of Climate Change for Cyanobacteria Growth Pattern in Chudong Station of Lake Daechung)

  • 노성유;박혜경;최희락;이재안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7-385
    • /
    • 2014
  • To study the fluctuations and relationship in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factors and cyanobacteria communities, we investigated Chudong station of the Daechung reservoir.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showed the maximum value ($13.9^{\circ}C$) from 1994, showed a gradually increasing pattern from 1969 to 2010 in the Daechung reservoir. The number of days with temperatures over $20^{\circ}C$, minimum temperature of the year and average temperature of the winter season patterns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The long-time changed in the annual precipitation were not showed a significant variation. The water temperature record comparatively high value in summer, declined in winter. At all period, the phytoplankton were highest biomass in July 2000, and then, showed comparative higher biomass in the summer months. Cyanobacteria taxa were also showed more than 50%. Emergence of cyanobacteria also appeared in November 2007, were prolonged emergence. The dominant genera of taxa were the dominant sphere (Microcystis spp.) until early 2000. After that, the dominant species were the dominant linear (Aphanizomenon spp., Anabaena spp.). Cyanobacteria were the most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r = 0.341, p<0.01) and phosphate concentration (r = 0.355, p<0.01).

기후요소의 엔트로피에 의한 핵심 기후지역의 구분 -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Classification of the Core Climatic Region Established by the Entropy of Climate Elements - Focused on the Middle Part Region -)

  • 박현욱;정성석;박근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9-176
    • /
    • 2006
  •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각종 기후인자의 영향을 명확히 반영하여 중부지방의 날씨 및 기후 특성을 잘 나타내는, 탁월일기 및 강수현상의 하계 순별 출현 다소(강수 없음, 0.1-10.0mm/일, 10.1-30.0mm/일, 30.1mm 이상/일)와 그 변화에 대해, 정보이론을 이용하여 일기엔트로피와 정보비를 추출하고 응용하여, 그 공간 스케일의 시간적 변동을 살핀다. 그리고 본 연구는 하계 순의 중부 지방의 25개 관측 지점별 일기 및 기후 대표성의 특성을 규명하고 공간적 질서를 밝혀 일기예보 및 핵심 기후지역(기후대표성) 설정을 시도한 것이다. 그 결과 최대 일기엔트로피(제1위: 춘천, 1.870bits, 7월 하순)는 대부분 8월 초순에 나타나고, 최소 일기엔트로피(제1위: 강화, 0.960 bits, 9월 중순)는 6월 초순과 9월 하순에 나타난다.15개 기준지점(속초, 철원, 대관령, 춘천, 강릉, 서울, 인천, 원주, 수원, 충주, 서산, 청주, 대전, 보령 및 부여)의 정보비 분포와 일기대표성의 특성은 주로 9월 중순(제1위 충주 기준 시 청주 0.75, 6월 초순)에 가장 크며, 7월 하순(제1위 보령 기준 시 대관령 0.06, 7월 하순)에 가장 작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중부지방의 일기예보 및 기후대표성(기후지역)을 나타내는 핵심지역은 부여-인천-강릉지역을 잇는 삼각형내의 중부 내륙지방이 해당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