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nearest neighbor unit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8초

실내에서 Wi-Fi를 이용한 위치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Wireless Fidelity in Indoors)

  • 권오병;김경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243-24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할 수 있는 실외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할 수 없는 실내에서 Wi-Fi(Wireless Fidelity)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위치 정보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보행자의 위치를 실내에서 추정하기 위해서는, 보행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절대위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고,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대위치를 연속적으로 추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행자의 초기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Wi-Fi fingerprinting을 사용하였다. 기존의 Wi-Fi fingerprinting에서 가장 위치 오차가 작은 WKNN(Weighted K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한 EWKNN(Enhanced Weighted K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사용해 위치의 정확도를 높였다. 그리고 보행자의 상대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IMU(Inertial Measurement Unit)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지 않았다.

PCA와 개선된 k-Nearest Neighbor를 이용한 모델 기반형 물체 인식 (Model-Based Object Recognition using PCA & Improved k-Nearest Neighbor)

  • 정병수;김병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1호
    • /
    • pp.53-62
    • /
    • 2006
  • 주성분 분석법을 사용한 물체 인식 기술은 영상의 조명 변화가 있을 때 인식률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영상이 학습영상에 대해 조명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 베이스안의 물체인지 가려내는 새로운 PCA 분석방법을 사용한 물체 인식 기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개선된 k-nearest neighbor를 이용하여 물체 인식률을 향상 시켰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물체 인식 알고리즘은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과 미디언 필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전처리하고 그것을 학습시켜서 물체 공간을 생성한다. 이때 히스토그램 이퀄라이제이션를 사용하여 히스토그램을 펼침으로써 조명 변화에 영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았고, 이것은 기본적인 주성분 분석방법과 휘도치 정규화를 한 방법 등과 비교해 본 결과 조명 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좋은 인식률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모델 영상내의 각각의 물체의 대표 값을 만든다. 그런 후 테스트영상을 물체 공간에 투영 시켜서 나온 성분과 대표 값의 거리를 비교하여 인식하게 된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거리 계산오차가 많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k-Nearest Neighbpr 이용하여 몇 개의 연속적인 입력영상에 대해 각 각의 모델 영상들을 인식의 단위로 이용하였다.

Molecular Dynamic Study of a Polymeric Solution (I). Chain-Length Effect

  • Lee Young Seek;Ree Taikyu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권2호
    • /
    • pp.44-49
    • /
    • 1982
  • Dynamic and equilibrium structures of a polymer chain immersed in solvent molecules have been investigated by a molecular dynamic method. The calculation employs the Lennard-Jones potential function to represent the interactions between two solvent molecules (SS) and between a constituent particle (monomer unit) of the polymer chain and a solvent molecule (CS) as well as between two non-nearest neighbor constituent particles of the polymer chain (CC), while the chemical bond for nearest neighbor constituent particles was chosen to follow a harmonic oscillator potential law. The correlation function for the SS, CS and CC pairs, the end-to-end distance square and the radius of gyration square were calculated by varying the chain length (= 5, 10, 15, 20). The computed end-to-end distance square and the radius of gyration square were found to be in a fairly good agreement with the corresponding results from the random-flight model. Unlike earlier works, the present simulation rsesult shows that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f radius of gyration square decays slower than that of the end-to-end distance square.

사각형 특징 기반 분류기와 AdaBoost 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검출 및 인식 (Real-time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ing Classifier Based on Rectangular Feature and AdaBoost)

  • 김종민;이웅기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33-139
    • /
    • 2008
  • Face recognition technologies using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cognize faces by deciding representative features of faces in the model image, extracting feature vectors from faces in a image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and face representation. Given frequent recognition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oint-to-point distance approach, this study adopted the K-nearest neighbor technique(class-to-class) in which a group of face models of the same class is used as recognition unit for the images inputted on a continual input image. This paper proposes a new PCA recognition in which database of faces.

  • PDF

Vehicle trajectory prediction based on Hidden Markov Model

  • Ye, Ning;Zhang, Yingya;Wang, Ruchuan;Malekian, Rez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7호
    • /
    • pp.3150-3170
    • /
    • 2016
  •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logistics distribution and mobile e-commerce, the real-time, accurate and reliable vehicle trajectory prediction has significant application value. Vehicle trajectory prediction can not only provide accurate location-based services, but also can monitor and predict traffic situation in advance, and then further recommend the optimal route for users. In this paper, firstly, we mine the double layers of hidden states of vehicle historical trajectories, and then determine the parameters of HMM (hidden Markov model) by historical data. Secondly, we adopt Viterbi algorithm to seek the double layers hidden states sequences corresponding to the just driven trajectory. Finally, we propose a new algorithm (DHMTP) for vehicle trajectory prediction based on the hidden Markov model of double layers hidden states, and predict the nearest neighbor unit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next k st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increased by 18.3% compared with TPMO algorithm and increased by 23.1% compared with Naive algorithm in aspect of predicting the next k phases' trajectories, especially when traffic flow is greater, such as this time from weekday morning to evening. Moreover, the time performance of DHMTP algorithm is also clearly improved compared with TPMO algorithm.

병렬 Shifted Sort 알고리즘의 Warp 단위 CUDA 구현 최적화 (Optimization of Warp-wide CUDA Implementation for Parallel Shifted Sort Algorithm)

  • 박태정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39-74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GPU 병렬 처리 하드웨어 아키텍처 내 최소 물리적 스레드 실행 단위(warp) 내에서 shifted sort 기반 k개 최근접 이웃 검색 기법을 구현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일반적으로 동일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GPU 기반 kd-tree 및 CPU 기반 ANN 라이브러리와 비교한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 k가 비교적 작은 값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고려해서 k가 warp 내부에서 직접 처리 가능한 2, 4, 8, 16개일 때 최적화에 집중한다. 구현 세부에서는 사용한 CUB 공개 라이브러리의 루프 내 메모리 관리 방법, GPU 하드웨어 직접 명령 적용 방법 등의 최적화 방법을 논의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의 GPU 기반 유사 방법에 비해 데이터 지점과 질의 지점의 개수가 각각 $2^{23}$개 일 때 16배 이상의 빠른 처리 속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처리해야 할 데이터의 크기가 커지면 더욱 더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peA 와 KNN를 이용한 3차원 물체인식 (Three Dimensional Object Recognition using PCA and KNN)

  • 이기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57-63
    • /
    • 2009
  • 기존의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물체 인식 기술은 모델 영상내의 각각의 물체의 대표 값을 만든 후에 실험 영상을 물체 공간에 투영 시켜서 나온 성분과 대표 값의 거리를 비교하여 인식하게 된다. 그러나 단순히 기존의 방법인 point to point 방식인 단순 거리 계산은 오차가 많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Class to Class 방식인 k-Nearest Neighbor을 이용하여 몇 개의 연속적인 입력영상에 대해 각 각의 모델영상들을 인식의 단위로 이용하였다. 또한, 물체 인식을 하는데 있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주성분 분석법은 물체 영상 자체를 계산하여 인식하는 게 아니라 물체 영상 공간이라는 고유 공간을 구성한 후에 단지 기여도가 큰 5개의 벡터로만 인식을 수행하기 때문에 자원 축소의 효과까지 얻을 수 있었다.

A Study of Environmental Effects on Galaxy Spin Using MaNGA Data

  • Lee, Jong Chul;Hwang, Ho Seong;Chung, Haeun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47.2-47.2
    • /
    • 2017
  • We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ffects on galaxy spin using the sample of ~1100 galaxies from the first public data of MaNGA integral field unit survey. We determine the spin parameter ${\lambda}_{Re}$ of galaxies by analyzing the two-dimensional stellar kinematic measurements within the effective radius, and study its dependence on the large-scale (background mass density determined with 20 nearby galaxies) and small-scale (distance to and morphology of the nearest neighbor galaxy) environments. We first examine the mass dependence of galaxy spin, and find that the spin parameter decreases with stellar mass at log ($M_{\ast}/M_{\odot}$) > 10,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We then divide the galaxies into three subsamples using their stellar masses to minimize the mass effects on galaxy spin. The spin parameter of galaxies in each subsample does not change with the background density, but do change with the distance to and morphology of the nearest neighbor. The spin parameter increases when late-type neighbors are within the virial radius, and decreases when early-type neighbors are within the virial radi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arge-scale environments hardly affect the galaxy spin, but the effects of small-scale environments such as hydrodynamic galaxy-galaxy interactions are substantial.

  • PDF

고차 국소 자동 상관 특징 정보를 이용한 외관 기반 객체 인식 (Appearance-based Object Recognition Using Higher Order Local Auto Correlation Feature Information)

  • 강명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439-144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고차 상관 특정 정보와 주성분 분석을 결합하여 차원을 낮추면서도 객체 인식을 유지하고, 고유 공간 구성 시간을 현저하게 줄이는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거나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실시간 시스템 구축에 매우 적합하다는 것이 실험을 통하여 증명되었다. 또한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순히 기존의 방법인 point to point 방식인 단순 거리 계산은 오차가 많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Class to Class방식인 K-Nearest Neighbor을 이용하여 몇 개의 연속적인 입력영상을 인식의 단위로 이용하여 인식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Band Selection Using Forwar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for Citrus Huanglongbing Disease Detection

  • Katti, Anurag R.;Lee, W.S.;Ehsani, R.;Yang, C.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0권4호
    • /
    • pp.417-42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t band selection methods to classify spectrally similar data - obtained from aerial images of healthy citrus canopies and citrus greening disease (Huanglongbing or HLB) infected canopies - using small differences without unmixing endmember components and therefore without the need for an endmember library. However, large number of hyperspectral bands has high redundancy which had to be reduced through band selection. The objective, therefore, was to first select the best set of bands and then detect citrus Huanglongbing infected canopies using these bands in aerial hyperspectral images. Methods: The forwar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FFSA) was chosen for band selection. The selected bands were used for identifying HLB infected pixels using various classifiers such as K nearest neighbor (KNN), support vector machine (SVM), naïve Bayesian classifier (NBC), and generalized local discriminant bases (LDB). All bands were also utilized to compare results.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a few well-chosen bands yielded much better results than when all bands were chosen, and brought the classification results on par with standard hyperspectral classification techniques such as spectral angle mapper (SAM) and mixture tuned matched filtering (MTMF). Median detection accuracies ranged from 66-80%, which showed great potential toward rapid detection of the disease. Conclusions: Among the methods investigated, a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combined with the forward feature selection algorithm yielded the best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