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lecture activitie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8초

일제강점기 울산지역 극장의 공연활동과 사회적 역할 (Performance Activities and Social Role of the Theater in Ul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김정호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07-146
    • /
    • 2021
  • 이 글은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에서 이루어진 공연활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당시 공연문화의 특징과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였다. 일제강점기의 문화공간은 크게 극장공간과 준 극장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울산지역의 극장공간에는 대정관, 상반관, 울산극장 등이 있으며, 준 극장공간은 울산청년회관, 울산청년동맹회관, 병영청년회관, 언양청년회관, 언양청년동맹회관, 언양기독교회관, 언양 협성여관, 언양공립보통학교, 학성공립보통학교, 서생학교, 울산공보교대강당, 언양여자야학관 등이다. 이들 공간은 특정 목적의 행사나 공연이 개최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역담론을 생산하는 공적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극장은 영화 상연과 함께 공연이 이루어지는 공간, 예술가와 관객이 만나는 복합적인 문화 공간이었다. 나아가 극장은 단순히 무대 공간의 의미를 넘어 식민지 근대화와 근대의 도시 형성, 새로운 대중문화의 출현 등 다양한 이슈들을 생산, 소비하는 특수한 경험을 제공하였다. 울산의 극장들도 지역극장의 건립 목적에 맞게 외래문화 수용과 여가활동, 문화콘텐츠의 상연과 관람, 지역예술가들의 예술적 기량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였다. 그리고 정치 집회나 모임, 강연 활동, 각종 대회 등을 개최함으로써 지역담론 생산과 향유 활동의 거점 공간이었다. 정치 집회는 연주회와 겸하였고, 계몽 활동은 영화 상영과 겸하였으며, 음악 연주는 무용 공연, 자선모임과 결부되기도 했다. 특히 울산최초의 극장이라고 볼 수 있는 '상반관'과 공회당의 역할을 겸한 '울산극장'은 영화 상영과 함께 음악극, 동요대회, 동화구연대회, 소인극 공연, 가극 및 무도회 등의 공연과 함께 대중계몽을 위한 강연회, 토론회, 웅변대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대규모의 집회장소로 널리 활용되었고, 외부 극단 방문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등 공회당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준 극장공간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울산지역의 극장과 준 극장공간은 지역의 문화적 수준을 향상시켜 지역민들의 심미적 욕구 충족과 동시에 여론과 의제를 선도하는 공론장으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그리고 근대사회의 대안적 공공영역으로 위치하면서도 공공기관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지역 생활문화활동의 사회적 효과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al Effects of Local Living Culture Activities in Daejeon)

  • 임재현;한상헌
    • 지역과문화
    • /
    • 제6권3호
    • /
    • pp.55-77
    • /
    • 2019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민을 대상으로 생활문화활동에 참여하면서 나타난 사회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효과는 개인적 차원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차원의 사회참여와 교류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효과에 대해 생활문화활동의 참여방식에 따른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요인분석, 변량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강좌 및 강의 프로그램의 참여는 사회적 차원의 사회참여와 교류의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호회 활동의 참여는 창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동호회 활동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문화예술행사 관람의 참여는 자아존중감이 증가하고, 문화예술행사의 작품공연 및 전시 참여는 창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서 첫째, 지역주민의 특성과 마을문화의 공동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문화 프로그램 개발, 둘째, 다양한 공동체적 동호회 활동의 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활성화, 셋째, 지역 문화예술 활동가와 지역주민들의 교류와 협력을 통한 마을문화 공동체 형성 지원, 넷째, 젊은 세대와 노인 세대를 위한 생활밀착형, 세대통합형 생활문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강좌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Lecture with Flipped Classroom)

  • 윤지현;손에녹;강성주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24-136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거꾸로 교실을 교사 주도성이 강한 국내 대학의 일반화학실험 강좌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대학 실험 강좌에 대한 효과와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의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0명의 학생들을 15명씩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과 전통적 수업 집단의 두 그룹으로 각각 무선배치 하였다. 그런 다음, 동영상 자료와 함께 대학에서 적용 가능한 일반화학실험 수업 안을 개발 및 적용하였고, 모든 수업을 마친 후에는 일반화학실험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화학실험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분석 결과, 수업 활동의 유용성, 성공적 학습을 위한 각 활동 요소 별 중요도, 학습 수준, 추후 수강 의향 등의 측면에서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 수업 집단의 학생들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수행이나 보고서 작성 등과 같은 일반화학 실험 활동과 실험 내용의 이해 측면에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인 수업집단의 평균 점수 보다 높았고, 이와 같은 결과의 주된 원인은 담당 강사가 사전 학습 활동으로 제공한 동영상 자료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중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적 학습 측면에서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거꾸로 교실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가 전통적 수업 집단의 평균 점수 보다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수월성은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영상 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이었고, 이 때 학생들이 가장 선호한 동영상은 담당 강사가 직접 실험 이론과 방법을 설명해 주는 동영상이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문학치료학적 관점에서 본 <심청전> 재창작 수업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Recreating Simcheongjeon in Class A Literary Therapeutic View)

  • 조영주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159-19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서울시내 A대학에서 2014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전공선택 과목인 <고전과 창작> 수업시간에 실시한 강의에 근거하여, 수업시간에 실행한 재창작 수업의 과정을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보여주는 대학생들의 자기성찰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3회의 발표를 통해 만들어낸 작품을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2장에서는 고전작품 재창작을 위한 수업 진행의 과정으로서 '재창작 작품 선정 배경 및 기획의도 발표', '원작에 대한 분석 및 재창작 사례 탐색', '작품 재창작 및 메타글쓰기'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작품 재창작 과정을 통한 대학생의 자기성찰 양상을 탐색해보았다. 학생들이 재창작하고자 하는 고전 작품을 선정하고, 분석하고, 재창작하고, 재창작한 작품에 대한 자기평가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삶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 문제가 있다면 그 문제를 대하는 태도와 경향성은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 역점을 두었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재창작의 대상으로 제각기 서로 다른 작품을 선택하였지만, 이번 논의에서는 <심청전>을 재창작한 두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창작한 작품과 자기 성찰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아버지와의 관계 양상에 따른 창작결과물의 특성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고전을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재창작 수업을 위해 작품을 선정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재창작 방법론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고전을 활용한 재창작 수업은 원작의 작품서사를 활용하기 때문에 창작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었고, 자기성찰의 매개가 되는 고전작품을 통해 평소 본인이 고민하는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공개적인 작품 발표를 통해 보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자기서사를 탐색할 수 있고, 피드백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립러닝 기반 공학수업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C대학 공학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Course - Focused on Engineering Course Cases at C university -)

  • 이성혜;김은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3-15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evaluations of instructors and experts on flipped learning-based engineering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 strategi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8 engineering courses which participated in the flipped learning course development project of C university from 2017-201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structors and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pre-learning was not performed and checked effectively. In this regard, the instructors suggested the students' burden of pre-learning,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flipped learning, and the experts suggested the lack of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pre-learning. In addition,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courses were still instructor-centered. The instructors evaluated that they operated the instructor-led course by themselves. In addition, the experts suggested that there was not enough instructional strategies to activate the learner-centered activities. The number of the students and the lecture room environment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learner- centered class were the evaluation opinions of both the instructors and the experts. In addition, the professor suggested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of the flipped learning of the instructors and the learner as the main opinion, and the experts pointed out that the online learning system and classroom was not linked for pre-learning, classroom learning, and the post-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flip learning based engineering course were suggested.

중학교 확률계산학습에서 시각화활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Visualization in the Learning of Probability Calculation at a Middle School)

  • 권병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43-53
    • /
    • 1999
  • Two (second-grade) classes of Yu-song middle school were chosen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visualization in the learning of probability calculation at a middle school. One class, as an experiment class, was taught the probability calculation of probability unit by the visualization learning and the other, as a controlled class, was taught it by the traditional lecture, and then through the writing tests there was a verification on the effect of right after test and the delaying test after 3 week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 of high- and low-level groups. It was difficult for the students to visualize the problems of the probability calculation, but I suggested simple models to the students and helped them to learn meaningfull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level group in the right after test.(P< .05) In the delaying test after 3 weeks, there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rks only in high-level group.(P< .05) The visualization in the learning of probability calculation took more affirmative effect in the experiment class than the comparative class only in high-level group. The students in low-level group has difficulties in the visualization activities, but all the students in high-and low-level group thought the visualization was a great help to them in learning probability calculation.

  • PDF

어린이 기초건축교육 참가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in the Built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 이승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51-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among participants in the Built Environment Education(BEE) programs for children. And also, hopefully, we would get some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BEE program through post-eval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four BEE program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way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was limited. We should consider public relation strategies and its sustainable curriculum. 2) The students felt easy to learn from the lecture, but we need to consider the students' ability in craft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chool grades. 3) Most of the participants was satisfied with the programs. For studen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Hours & Facilities)'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rents, the 'Teacher'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satisfaction. 4) Parents were aware of the need to link the BEE program to school education such as a subject of 'Creative Activity.' The BEE as an integrated program would be a school curriculum or contents of STEAM education.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meaning of this study was discussed.

웨어러블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융합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빛과 형태변화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vergence Fashion Design Applied Wearable Technolog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the Light and Transformation-)

  • 이현승;이재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09-721
    • /
    • 2017
  • This study researches the application methods of Wearable Technology (WT) realizing the convergence of Design and Electronics that could broaden the fashion expression boundaries to correspond to current convergence trends. For this,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and the Department of Electronics conducted an oriented convergence-design-workshop. The initial step of the workshop, included a lecture on WT including existing cases and brainstorming. As a result, two types of concepts; 'Light' using the lighting technology and 'Complex' using transforming and lighting technologies together were generated. Designers created garments that did not externally expose digital devices and engineers then configured basic systems with the minimum size of the devices applying. At the development stage, designers constructed internal structures of garments which do not influence the comfort situation and activities of those wearing the garments. Engineers then adjusted and finished the fashion prototypes' whole WT systems drawing on designers' guidelin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s workshop, the fashion prototypes were extracted by collaboration according to WT concepts; therefore, there could be the promising potential to broaden fashion expression boundar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WT.

1920년대 항일 무장투쟁을 이끈 한의계 독립운동가들 (The Independence Activists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Leading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the 1920's)

  • 김명섭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25
    • /
    • 2023
  • Due to Japanese imperialism's invasion of Korea and the policy of exterminating national culture, many independence activists from Korean medicine participated in the Manchurian Independence Army activities and the fight for freedom. Kang Woo-kyu, who threw a bomb at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on September 2, 1919, can be cited as a leader who learned East Asian medicine. Kim Kwanje, who organized a secret organization by opening an East Asian medicine clinic in Gimhae, Gyeongsangnam-do, was involved in the struggle of the medical corps while working as a medical student. He is accused of providing a shelter by treating members of the Uiryeoldan. In 1919, the Manchurian Independence Army unit, which launched the March 1st Movement armed struggle, was established, and those who served as military doctors in various organizations can be found. Park Se-jung, who participated as an independent soldier at the age of 47, treated wounded soldiers and patients as a military doctor. A branch office was also created by raising military funds and participating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Jang Hyong was able to raise independent military funds, campaign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s independence petition, and lecture across the country mostly disguised as an East Asian medicine doctor, which led to several imprisonments for "fraud charges under the guise of similar medical practices".

How the Sun generates "killer electrons" in near-Earth space

  • Lee, Dae-Young
    • 천문학회보
    • /
    • 제39권1호
    • /
    • pp.29-29
    • /
    • 2014
  • A fundamental problem in space physics is to explain the origin of energetic charged particles in space close to the Earth and the significant temporal variations of their flux. The particles are primarily electrons and protons although energetic heavy ions such as O+ are sometimes non-negligible. By "energetic" we mean a rather broad energy range of particles from a few tens of keV to well above MeV. Drastic variations of the particle fluxes (by >3 orders of magnitude) occur over both a short time scale like a few minutes and a long time scale like the 11-year sunspot cycle. In this talk I will focus on relativistic energy electrons (~MeV) trapped within the Earth's magnetosphere. They are a primary element of the space weather since they can cause damage to satellites, so often called "killer electrons". Considering that the source particles in both the solar wind and the ionosphere are relatively cold (~eV), the quasi-permanent existence of these very energetic particles close to the Earth has been a surprise to space physicists for decades. Complex electromagnetic processes such as wave-particle interactions within the magnetosphere are believed to play a major role in generating these killer electrons. While detailed physics remains an active research area, for this lecture I will introduce a synthesized picture of how solar activities are related to wave-particle interaction physics inside the magnetosphere. This can be applied to other astrophysical syst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