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high higher surface

검색결과 2,955건 처리시간 0.036초

바닷물을 이용한 NaBH4 가수분해에 의한 수소발생 (Generation of Hydrogen from Hydrolysis Reaction of NaBH4 Using Sea Water)

  • 이대웅;오소형;김준성;김동호;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6호
    • /
    • pp.758-762
    • /
    • 2019
  • 이동용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의 수소발생용으로써 $NaBH_4$는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해상용으로 PEMFC가 사용될 때 해수를 이용해 $NaBH_4$를 가수분해 하면 경제적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NaBH_4$ 가수분해 과정에 증류수대신 해수를 이용해 수소를 발생시켰다. 활성탄 담지 Co-B/C 촉매를 사용해 $NaBH_4$ 가수분해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해수 사용시 $NaBH_4$ 농도와 NaOH농도가 증가하면서 수소수율이 감소하였다. 높은 $NaBH_4$와 NaOH농도에서 촉매 표면에 부산물이 부착되어 증류수에 비해 수소수율이 감소했다. $NaBH_4$ 가수분해 활성화에너지는 증류수와 해수 각각 59.3, 74.4kJ/mol로 해수에서 수소발생속도를 증류수와 같이 높이려면 반응온도를 $80^{\circ}C$이상 상승시켜야 함을 보였다.

생물소재를 이용한 황색포도상구균의 바이오필름 억제 연구 (Biomaterials Inhibiting Biofilm Form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 신계호;윤유나;전기붕;이태룡;이성원;조준철;박지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47-350
    • /
    • 2011
  • 바이오필름은 부유 미생물이 피부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된 미생물 집락이며 형질적 생화학적 특성에서 부유상태와는 차이가 있다. 바이오필름으로 증식하는 미생물은 부유 상태의 미생물 보다 숙주의 방어나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이 훨씬 높기 때문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면 감염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더욱 많은 항생제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감염된 세균의 내성을 피하면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세균을 사멸하는 것이 아니라 표적을 달리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아토피 등 염증성 피부 질환의 원인균의 S. aureus의 바이오필름을 억제하는 기작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S. aureus의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억제하여 피부질환을 조절할수 있는 후보 물질을 찾는 데에 있다. 슬라이드글라스를 human placental 콜라겐으로 코팅고 시험 물질과 함께 배양하여 억제된 바이오필름의 양을 crystal violet 염색법으로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표준균인 S. aureus ATCC 6538 strain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편백다당체가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녹차다당체와 황촉규근은 오히려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자일리톨은 1 %의 낮은 농도에서는 바이오필름을 촉진하나 그 이상의 높은 농도인 3 %와 5 %에서는 억제하여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보였다.

한반도 논에서의 에디공분산 방법에 의한 $CO_2$와 수증기 플럭스 관측 ($CO_2$ and Water Vapor Flux Measurement by Eddy Covariance Method in a Paddy Field in Korea)

  • 이정택;이양수;김건엽;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5-50
    • /
    • 2005
  • 우리나라의 주요 농업 생태계인 논에서 벼 생육기간 중의 CO₂와 에너지 교환을 정량화하고 분석(평가하기 위하여 미기상학적인 방법인 에디 공분산법으로 물질/에너지 플럭스를 측정하였다. 측정장소는 한반도 중부 지방의 대표적인 벼농사 지대인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신원리 농업과학기술원 이천 시험지 플럭스 측정 지점 (37°18'20.34"N, 127°30'40.46"E)에서 수행되었다. 벼군락 장파복사의 방출은 대기로부터의 장파복사량보다 100Wm/sup -2/정도 많았다. 벼논에서 이앙 후 에너지 배분은 잠열 플럭스로 더 많이 배분되었고, 보웬 비는 0.3-0.7 정도였다. 이앙 후 대기중의 수증기 농도는 이 앙 전에 비하여 2gm/sup -3/ 정도 높아졌다. 벼논에서 CO₂ 농도는 야간이 780~820gm/sup -3/, 주간에는 약 650gm/sup -3/ 정도였다. 일사량 증가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엽면적 지수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특히 유수 형성기-출수기에서 가장 높았다.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감염관리 대한 분석 (Analysis on infection control of general hospital radiology)

  • 신정섭;박철우;전병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35-342
    • /
    • 2012
  • 경상북도에 소재한 5개 종합병원 영상의학과의 오염도를 계수하고, 오염 원인균을 배양하여 동정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사회 영상의학과의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확인된 표면오염 균주는 Staphylococcus, Micrococcus, Pseudomonas stutzeri, Pseudomonas oryzihabitans로 병원 감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균주였고 영상의학과의 오염원으로 특이성을 가진 균주는 없었다. 조사대상 병원은 비슷한 감염관리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병원별 오염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 병원별 접촉원에 따른 오염도의 차이는 방사선사 사용, 환자사용, 공통사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환자사용이 방사선사사용, 공통사용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p<0.001). 병원별 월평균 검사건수의 차이가 적은 장치는 모든 병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에 비해 촬영건수가 가장 많은 일반촬영장치, 흉부전용촬영대의 오염도가 다른 촬영장치에 비해 오염도가 높았다. 또한 월평균 촬영건수가 많은 A, B, C 병원은 방사선사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환자와 공통으로 사용하는 방사선조사장치, 사무용책상, 출입문 손잡이에서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보였다.

농촌지역의 B형, C형 간염에 관한 혈청역학적 연구 (Seroepidemiologic Study of Hepatitis B Virus (HBV) and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among Koreans in Rural Area, Korea)

  • 신해림;김준연;송주복;서병성;김정만;이부옥;김수량;양무관;이채언;전진호;유근영;안윤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1호
    • /
    • pp.17-29
    • /
    • 1997
  •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HBV) and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and to determine associated risk factors, a population-based seroepidemiologic study was carried out. In 1993, a health examination survey of the population was carried out in rural area known to have a high incidence of liver cancer. The study population were those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 health survey over 10 years of age. Examinees were interviewed by specially trained staffs. Sera from 1,033 study subjects were tested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by .everse passive hemagglutinin (RPHA) estimation and for hepatitis C virus antibody (anti-HCV) by 2nd generation passive hemagglutinin (PHA) estimation. The age and sex standardized prevalence of HBsAg was 6.3% which was similar to national average, but that of anti-HCV was 5.1% which was 4 to 5 times higher than that of blood donors or other health examinees in Korea. In a multivariate analysis, transfusion history, surgical operative history, and acupuncture history were not associated with HBsAg positivity. In contrast, acupuncture history (adjusted odds ratio[OR]=2.2 : 95% Confidence interval[CI] 1.0-4.7) and surgical operative history(adjusted OR=2.0 : 95% CI 1.0-4.1) were associated with anti-HCV positivity.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n highly endemic area of HCV infection in Korea and probably this endemicity is associated with a parenteral source of HCV infection other than blood transfusion.

  • PDF

변형번데기 농축단백질 아미노산 조성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Amino Acid Composi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of Modified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s)

  • 박금순;박정륭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16
    • /
    • 1987
  • 제사공장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번데기는 단백질의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필수 아미노산 조성도 우수하여 영양적으로 좋은 단백질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번데기로 농축단백질을 조제해서 무수초산과 호박산으로 아실화시켜 아미노산조성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을 대두농축단백질과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단백질 함량은 84.1%로서 대두농축단백질의 70.3%보다 높았다. 2.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대두농축단백질보다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대두에 부족한 methionine은 4.21(g/100g)로 매우 높았고, F.A.O.의 scoring pattern과 비교시 전체적으로 필수 아미노산이 함량이 높았다. 또한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alanine, valine, phenylanine, isoleucine 등 지방족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변형번데기단백질에서는 아미노산의 함량에 약간의 손실을 가져왔으며 숙시닐화에서 더 큰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lysine의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3.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탈지번데기분은 작고 입자가 많이 모여 하나의 agglomerate의 형태로 거칠고 세포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기포의 생성이 많았으며 입자가 불균일(10~$20\mu{m}$)하였다.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탈지번데기분보다 세포성이 많이 파괴되어 기포의 생성도 적어 입자의 표면적이 어느정도 넓고 부드러웠다. 또한 변형번데기농축단백질에서는 현저하게 세포성이 파괴되고 가 감소하여 좋은 조직을 형성하였으며 특히 숙시닐화한 단백질에서는 아주 부드럽고 좋은 조직을 나타내었다.

  • PDF

회야댐 저수지에서 물리 ${\cdot}$ 화학적 환경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과 세균 군집의 변화 (Community Dynamics of Phytoplankton and Bacteria as Affected by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in Hoeya Dam Reservoir)

  • 김대균;최애란;이혜경;권오섭;김종설
    • 생태와환경
    • /
    • 제37권1호통권106호
    • /
    • pp.26-35
    • /
    • 2004
  • 울산에 위치한 상수원인 회야댐 저수지에서 물리 ${\cdot}$ 화학적 환경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변동 및 세균수와세균학적 수질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저수지내 3개 지점의 표층과 저층에서 2001년 4월에서 10월까지 2${\sim}$4주의간격으로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투명도는0.4${\sim}$3.5m, 표층에서 수온 10.2${\sim}$$10^{\circ}C$,용존산소 5.5${\sim}$12.4 mg $L^{-1}$, PH 7.3${\sim}$9.6, $BOD_5$ 0.8 ${\sim}$ 5.0 mg $L^{-1}$, $COD_{Mn}$3.7${\sim}$10.0 mg $L^{-1}$, Chl-a 8.9~60.9 mg $m^{-3}$, 저층에서 수온 7.2${\sim}$$28.9^{\circ}C$, 용존산소 0.6${\sim}$9.5 mg $L^{-1}$, pH 7.1${\sim}$9.3, $BOD_5$ 0.8~4.5 mg $L^{-1}$, $COD_{Mn}$ 3.9${\sim}$10.0 mg $L^{-1}$, Chl-a 4.3${\sim}$81.9 mg $m^{-3}$의 범위였다. 식물플랑크톤 개체수는 표층 7.4${\pm}10^2{\sim}2.6{\pm}10^5$ cells $mL^{-1}$, 저층 2.5${\pm}10^2{\sim}2.4{\pm}10^4$ CelI $mL^{-1}$의 범위였으며, 수온 및 Chl-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월에는 Stephanodiscus속, 5월에는 Oscillatoria속이 우점하였고, 6월에서 9월 초에 걸쳐Aphanizomenon, Microcystis, Anabaena의 대발생이 관찰되었으며, 9월 중순 이후 다시 Stephanodiscus속과 Aulacoseira속이 우점하였다. 총 세균수는 1.73${\pm}10^4{\sim}1.68{\pm}10^5$cells $mL^{-1}$의 범위로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으며, 수온 및 식물플랑크톤 개체수와는 표층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일반세균수는 30${\sim}4.1{\pm}10^3$ CFU $mL^{-1}$의범위로, a 지점이 다른 두 지점보다 높았고, 저층이 표층보다 높아 총 세균수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저층에서 $BOD_5$$NO^3\;^-$-N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분원성 대장균군과 분원성 연쇄상구균의 경우 a지점이 다른 두 지점보다 오염의 정도가 더 심했고, 저층이 표층보다 특히 높았으며, 비가 온 이후에는 취수탑이 위치한 c지점의 저층에서도 상당한 농도로 검출되어 이를 고려한정수공정의 관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Nitrofen입제(TOK G)의 입도가 수도의 약반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le Size of Granular Nitrofen (TOK G) on the Leaf Burning in Rice Plants)

  • 박진구;조용우;권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27
    • /
    • 1977
  • 본 시험은 수도본답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Nitrofen (TOK) 입제가 포장ㆍ운송ㆍ보관ㆍ분배 등의 유통과정을 거쳐 실제로 사용될 때의 입도조성을 조사하고 수도에서 Nitrofen특유의 갈변약반형성이 본제품의 입도, 시용방법, 제형, 수심, 수도재배양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알고저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판중인 3kg들이 Nitrofen입제는 중량기준으로 98.91%가 9∼35mesh범위의 입자들이었고 100mesh 보다 작은 미분말함유율은 0.08%에 불과하였다. 2. Nitrofen의 처리에 의하여 수도체에 나타나는 갈변약반은 제형, 시용방법, 입도, 수심을 달리하여도 모두 지표면에서부터 5∼7cm 높이의 도체부위에 나타났으므로 미립말이 수면에 부유하다가 도체에 부착되어 약반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고는 할 수 없었다. 3. 100mesh보다 미분말인 경우 3mesh이상의 큰 입자들에 비하여 이앙도에 대해 약반형성위치 및 약반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았으나 개체당 약반수는 증가시켰다. 4. 입제의 수면철포, 입제의 토양표층혼화시용후 관개, 수화제의 토양표면시용 후 관개등의 모든 경우에 약반형성위치, 약반의 크기 및 약반발현엽수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5. 100mesh이하의 미분말을 시용할 경우 이앙도는 약반형성이 뚜렷이 많았으나, 3cm수심으로 천수관개하면 약반형성이 현저히 감소되었고, 식상이 없는 직파도는 이앙도에 배해 약반형성이 현저히 적었다.

  • PDF

효소저항전분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아밀로오스 함량의 효과 (Effect of Amylose Conten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Resistant Starches)

  • 문세훈;백무열;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16-521
    • /
    • 1997
  • 효소저항전분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아밀로오스 함량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옥수수 전분인 Amioca, PFP, Amaizo, Amylomaize VII을 사용하여(전분 : 물=1 : 3.5) $121^{\circ}C$로 가열-냉각 싸이클 4회까지 반복하고 가열-냉각된 옥수수 전분 (AMS)과 분리된 효소저항전분(RS)의 흡수력, 형태학적 특성, 열적 특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Amioca, PFP, Amaizo, Amylomaize VII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각각 0%, 29%, 50%, 72% 였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이 많을수록 RS 수율이 높았고, 흡수력은 RS<생전분$155^{\circ}C$ 근처에서 흡열피크를 나타낸 반면, Amioca와 PFP는 아밀로펙틴의 용융피크인 $40{\sim}70^{\circ}C$에서 피크를 나타내었으며, Amioca를 제외한 모든 RS는 $155^{\circ}C$ 근처에서 흡열피크를 나타내었으나 엔탈피는 아밀로오스 함량과 상관이 적었다.

  • PDF

재래종 옥수수 수집종에 대한 특성조사 제5보 다수다벽 재래종 옥수수계통의 특성변이 (Investigation on Korean Local Maize Lines V. Variabilities of Plant Characters of Multi-eared and Tillered Lines(MET))

  • 최봉호;박종성;김영래;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6-68
    • /
    • 1981
  • 재래종의 수집종 가운데서 선접된 다종다벽계통 (약칭 : MET)의 일반적 대성을 분석하여 청예용 옥수수의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요 특성들의 환경변이와 유전변이를 추정하였던 바 MET계통의 분벽성, 개체당 이삭수(수수)는 환경변이보다도 유전변이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개체당 건물중 및 건엽중 등도 유전변이가 커 MET 계통의 유전적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기중, 입중 등은 환경변이가 컸었다. 2. 몇가지 특성의 평균치를 두 품종간에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분벽기수 및 이삭수 : 수원 19호는 환경변이 (파종기,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분벽기이 없고 이삭수도 변하지 않았으나 MET계통은 분벽기수 및 이삭수가 크게 달라졌다. 나. 개체당 건물중, 건엽중 및 건기중 : 파종기나 재식밀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MET계통의 개체당 건물이 수원 19호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건엽중은 월등히 높았고(1.5-2.5)배 개체당 건기중도 비교적 높았다. 다. 개체당 입중 및 입중 대 건기엽중비 : MET계통의 개체당 입중은 수원 19호보다 5~40% 낮았다. 따라서 MET계통의 입중 대 건기엽중비가 평균 35%였고 수원 19호는 41%로서 높았다. 3. MET계통은 파종 2주 후부터 분벽하기 시작하여 3 ~ 5일간격으로 다음 분벽이 되었으며 생육초기에 왕성하여 최고 6~7개에 이르나 2~3개만이 유효기으로 신장되였다. 유효기비율은 소식일수록 높았다. 분벽의 발생은 주기의 최하절읍부터 시작되는 데 하부절위가 짧아 한절위에서 분벽이 여러개 발생하는 것처럼 보였다. 제 1, 2분벽기의 기장은 주기의 것에 비하여 10cm 정도씩 짧았으며 재식밀도에 따라 주기 및 제일, 이분벽기의 기장은 소식(60$\times$60cm)한 경우 밀식(60$\times$20cm)한 경우와 같이 분벽들에 의한 밀식의 효과가 있었고 중간재식밀도(60$\times$40cm)인 경우에는 소ㆍ밀도의 중간되는 기장을 보였다. 4. MET계통은 개체당 이삭수가 많은 것에 반하여 이삭의 크기는 수원 19호의 \frac{1}{3}도 못되었다. 각분벽기에 달리는 이삭수는 소식의 경우 주기에 4개, 제일, 이분벽기에 2~3개씩 달렸다. MET계통의 입은 경입종이며 황색입이 주가되고 백색입이 약간 섞여 있었으며 100입중은 14~15gr. 의 소입종이었다. MET계통은 착수고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높았다. 5. 주요 특성간의 상간 : 수원 19호에 비하여 MET 계통은 주요 특성간에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유전상관도 높을 것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주었다. 6. MET계통은 생장속도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늦었으며 개화기도 2~3주나 늦었다. 7. 흑조위축병 : 수원 19호와 같이 MET계통도 흑조위축병에 대해 이병성이었다. 이병성은 늦게 파종하거나 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