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grounded theory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의 자발적 봉사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Processes of Voluntary Services Delivered by Korean Undergraduates: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 허성호;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3호
    • /
    • pp.287-304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패러다임과 그 양상을 알아보고자 했다. 자료수집은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서울 및 경북지역에서 활동하는 평균 연령 23세(남 24세, 여 22세)의 대학생 자원봉사자 총 23명(남: 10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자료를 근거이론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으로 이루어졌다. 개방코딩 결과, 119개의 개념과 41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과정을 패러다임별로 구분하였다. 축코딩 결과는 심리적 동기, 사회적 맥락, 개인 인식, 실천 활동, 심리적 반응, 심리적 결과의 6가지 패러다임으로 구성하여 상위범주들로 도식화하였고, 범주의 본질은 '자발적 봉사활동자의 활동 유형은 단순실천, 자기본위, 공동체추구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화 된다'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자원봉사자들의 단순실천형, 자기본위형, 공동체추구형 범주에 따라 특징을 설명하고, 이러한 결과를 자원봉사활동 연구 의의와 그 제한점에 관련해서 논의하였다.

  • PDF

정보공개청구를 통한 학술 정보 이용에 관한 연구 -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적 접근 - (A Study of Archival Reference Service through Freedom of Information Act: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 윤은하;배삼열;심갑용;김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65-294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공개법상에서 행해지는 학술 기록정보서비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사항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공공기록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19명의 연구자와 심층 면접을 수행하였으며, 기록정보서비스가 학술연구 지원을 하는데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를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으로 분석했다. 1998년 정보공개법이 제정된 이후 일반인의 청구 건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학술연구자들의 이용률은 상당히 저조하다. 이러한 저조한 이용률은 정보공개 청구를 통한 학술정보 서비스 절차의 복잡성과 무관하지 않다. 본 연구는 학술이용자들의 기록정보서비스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연구자들이 현행 정보공개청구절차에 상당히 불만족하고 있으며, 이는 학술 이용률 저하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융합연구에서의 도전과 성장: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에 대한 근거이론 질적 분석 (Challenges and Growth in Convergence Research: A Grounded Theory Qualitative Analysis of Researchers' Experience and Perception)

  • 송인한;유정원;이은정;김지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267-281
    • /
    • 2017
  • 최근 강조되는 학제 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융합연구에서의 구체적인 경험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융합연구를 진행한 연구자의 실제 경험과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융합연구의 현실적 도전과 성장을 이해하고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제도를 제안하기 위하여, 국내 한 대학교 내 융합연구 및 융합연구행정 전문가 전임교원 16명을 심층면접하고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융합연구자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융합연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노력과 연구 환경 개선을 통해 융합연구의 성장을 경험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융합연구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근거이론을 활용한 디지털 트윈 발전 방향성 제시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wins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s)

  • 강민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65-70
    • /
    • 2021
  •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 컨텐츠 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분석과 근거이론을 활용하였으며 수요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컨텐츠 사업화 및 상용화의 어려움에 대응하는 컨텐츠 개발 우선순위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이해하기 복잡한 공정 또는 위험한 훈련이 디지털트윈 컨텐츠로 적합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핵발전소와 같이 스케일이 크고 물리적으로 시뮬레이션하기에 비용이 큰 분야들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는 디지털트윈을 개발하여 사업화하고자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 뿐만 아니라 디지털트윈으로 훈련비용을 감소하고 복잡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도 중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기업들은 대체로 다수의 복잡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운영되므로 본 연구에서의 우선순위는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자들의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장려할 수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에는 디지털트윈에 대한 기술적인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접근- (The Qualitative study about parent's in law of multiculture family -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logy -)

  • 김영숙;이근무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1-70
    • /
    • 2011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족의 시부모들에 대한 연구로 시부모들의 구술자료를 토대로 시부모들과 외국출신 며느리들과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는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으로 접근했으며 6명의 다문화 가족 시부모들이 참여했으며 자료는 심층 면담과 문서기록 수집을 통해 구성했다. 자료분석 결과 83개의 의미단위 22개의 범주 그리고 9개의 해석학적 주제를 구성했으며 해석학적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내용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자들은 해석학적 주제와 연구내용을 근거로 하여 다문화 가정 시부모들과 며느리들의 문화접변 과정을 ① 자기의 영역 고수하기 → ② 전략적 수용 → ③ 상호이해에 기초한 공존의 그늘 만들기 → ④ 자기의 해체와 재구성으로 기술했다. 그리고 다문화 가족의 가족 안정성과 관계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으로 「문화 유능성 강화를 위한 시부모·며느리 연계 프로그램」을 제언했다.

신장공여자와 신장수혜자를 가진 가족들의 사회심리적 적응 (Psychosocial Adjustment in Families with Kidney Donor or Recipient)

  • 이명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90-80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nerate a grounded theory of how families with kidney donor or recipient coped with kidney transplantations. Interview data from twelve families involved in kidney transplants was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Data analysis revealed that “protecting the family” was the main theme that represented family member experiences. In order to maintain family function and to protect the family from breaking up, family members had to adjust the family structure from the traditional style of a husband-centered family, to one that was patient health -centered. The process of this adjustment was a very long and difficult one, taking several years from the recognition of the kidney disease to the kidney transplants. Family members, especially spouses, employed nine different strategies to deal with various problems and conflicts which occurred during the process : 1) paying attention to the patient's illness and complications ; 2) accepting the patient's illness as the family's illness as well ; 3) managing the patient's illness and complications that occured ; 4) being thrifty ; 5)supporting the kidney donor ; 6) accepting and replacing the lost roles of the patient ; 7) keeping composure and encouraging the patient ; 8) sustaining the patient's independence ; 9) self-restraining sexual desir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developmental process where family members adjust to a kidney transplant over time. There is also a need for increased social and psychological health services for all family members over the course of kidney transplants.

  • PDF

Living for the Children: Immigrant Korean Mothers' Re-creation of Family after Marital Dissolution

  • Oh, Seieun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79-48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a grounded theory research aimed at generating a substantive theory that accounts for the explanatory social processes in which immigrant Korean single-mother families were engaged in the United States. Method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immigrant Korean single mothers who were living with children under 18 years of age at the time of the interviews. Data collection guided by theoretical sampling and concurrent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ranscribed data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e social process. Results: The emerged core social process was "living for the children," which represented the driving process by which these women made transition to their new lives as single-mother families. The major task throughout the entire transition was re-creating their families. The women's transition involved practical and psychological transitions. The practical transition involved three stages: assuring family survival, struggling between the father role and the mother role, and stabilizing. The psychological transition involved becoming strong and settling in with a new supportive network. Conclusion: Study results added to the literature by elaborating the women's emphasis on maternal identity and the resilience-provoking nature of the women's transitions.

기독교인 말기 암환자의 영성체험 과정에 관한 패러다임 분석 (A Paradigm Analysis Related to Spiritual Experiences Focused on Christian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이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99-309
    • /
    • 2006
  •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on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experience in Christian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The question for the study was 'What is the spiritual process in Christian terminal cancer patients?'.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was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 Corbin(1998).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 total were 9 Christian terminal cancer patients. Data was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s during April 2003 to March. 2004.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Result: From the analysis 58 concepts and 20 categories emerged. The categories were presented into a paradigm, which consisted of condition-actions/interactions-consequences. The theoretical scheme was described by organizing categories. In total, 4 stages were developed from the condition-actions/ interactions-consequences. Throughout these stages, the 'overcoming process of unbalanced interconnectedness' was the core category discovered.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care interventions in the 'overcoming process of unbalanced interconnectedness' for Christian terminal cancer patients.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 유형 (Increasing Sense of Self-Control over Pregnancy: Information Seeking Patterns of Pregnant Women's)

  • 김갑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25-152
    • /
    • 2013
  •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임신부들이 경험하는 정보추구의 독특함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정보추구의 실체이론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산전진료에 참여하고 있는 16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임신기의 정보추구의 맥락, 구조, 과정의 분석 결과,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을 통합하는 핵심범주는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로 도출하였다. 즉, 임신의 과정동안 임신부들의 의도적이고 일상적인 정보추구행위는 합맥락적이고 합리적으로 임신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해 나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의 경험 유형은 '필사적 추구형', '적극적 추구형', '무관심 추구형', '체념적 추구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결과의 특징 및 선행 정보추구 모형과의 비교 및 임신부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발을 논하였다.

영구적 인공심박동기 이식자의 적응 경험 (Study on Recipients' Experience of Adapting to Permanent Pacemakers)

  • 한순희;강정희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34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develops a substantive theory on the recipients' experience of adapting to a permanent pacemaker. Method : The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3 adults who had received a permanent pacemaker during the previous year. The study addressed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experience of adaptation in people who had received permanent pacemakers?" From October 2016 to March 2017,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Results : The core category indicating the essence of the adaptation experience was shown to be "accepting the pacemaker as part of my body and living in line with it." Conclusions : In nursing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ssist nurses in improving their communications with and developing guidelines or interventions for their clients who have received permanent pacemakers. In the field of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future nurses and other healthcare workers working with permanent pacemaker recip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