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first-oder kinetic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폐석고 침전제를 이용한 불소폐수 처리특성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Fluoride Wastewater by Waste Gypsum as a Precipitant)

  • 김성준;전용태;원찬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19-925
    • /
    • 2010
  • The features of precipitating reaction of fluoride have been examined by employing waste gypsum as a precipitant. The major component of waste gypsum was examined to be CaO with minor components of $SO_3$, $SiO_2$.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the precipitating reaction of fluoride progressed rapidly within a few minutes after the reaction started and reached its equilibrium in 10 minutes. Ki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precipitating reaction of fluoride generally followed a first Oder and second Oder with decreasing rate constant with the initial dosage of precipitant. XRD analysis showed that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precipitate was mainly $CaF_2$ with partly $Ca_5(PO_4)_3(OH)$.

침전법을 이용한 Thiourea 용출용액으로부터 Silver 회수 (The Recovery of Silver from Thiourea Leaching Solution by Cementation Technique)

  • 김봉주;조강희;최낙철;박천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1호
    • /
    • pp.29-37
    • /
    • 2013
  • 티오요소 용출용액에 Fe 분말을 첨가하여 silver를 침전법으로 회수하고자하였다. Fe 분말 첨가량, 교반속도, 온도 등과 같은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Silver 침전율은 Fe 분말 첨가량, 교반속도 그리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가장 많은 silver 침전율이 나타나는 조건은 Fe 분말 첨가량이 10 g일 때, 교반속도가 500 rpm일 때 였다. Silver 침전율은 Arrhenius 공식에 따라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차-반응식에 준하여 일어났다. 이들 자료로부터 구한 활성 에너지는 13.73 KJ/mol에서 17.02 KJ/mol이였다. 침전물에 대하여 XRD분석을 수행한 결과 침철석이 검출되었다. 이는 $Fe^0$ 분말 첨가로 인하여 티오요소 용액에서 산화-환원반응이 일어났음을 지시해주는 것이다.

유류오염 토양 내 석유계 탄화수소 화합물의 분해에 대한 퇴비의 시용 효과 (The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on Degradation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in Petroleum-Contaminated Soil)

  • 김성은;김용균;이상몽;박현철;김근기;손홍주;노용동;홍창오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8-273
    • /
    • 2015
  • 본 연구는 유류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를 위한 생물자극법에서 퇴비의 시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TPH로 오염된 토양에 퇴비를 수준별로 처리 한 후 TPH 함량 변화를 관찰 한 결과, 퇴비 처리량이 증가 할수록 토양 내 TPH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TPH 분해율을 알아보고자 퇴비 처리수준에 따른 TPH 함량 변화를 1차와 2차 kinetics 모델에 적용하여 결정계수(R2)를 비교 한 결과 second order kinetic 모델의 결정계수 값이 잘 적용되었다. 퇴비를 처리하였을 때 seond-order kinetic 모델의 reaction rate constant 값은 퇴비를 30 Mg/ha 이상 처리하였을 때 무처리 보다 4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퇴비 처리 수준이 높아질수록 그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퇴비의 처리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토양 내 미생물의 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퇴비의 처리량은 토양 내 미생물 수와 TPH 함량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TPH로 오염된 토양 내 적합한 양의 퇴비 처리는 토양 내 미생물 수를 증가시켜 TPH 함량의 감소를 가속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