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digital library

검색결과 1,229건 처리시간 0.031초

디지털 도서관의 저작물 전송 활성화 방안 - 저작권과 관련한 제도적.기술적 측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ransmisson of Copyrighted Works in Digital Library - The Systematic and Technological Solutions Relating to Copyright -)

  • 홍재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9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권과 관련하여 디지털 도서관에서의 저작물의 전송 서비스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도적$.$기술적 측면에서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도서관의 구축과 원문정보 제공 서비스를 촉진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도서관의 정의, 특징 등을 고찰하였고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의 디지털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현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1999년 12월에 개정된 저작전법의 온라인 전송과 도서관 관련 규정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복사권 집중관리기구의 설립과 권리보호를 위한 기술조치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미국의 디지털 도서관 구축현황 (Current Status of Digital Library Programs in USA)

  • 최호남
    • 정보관리연구
    • /
    • 제26권3호
    • /
    • pp.32-53
    • /
    • 1995
  • 디지털 도서관은 정보하부구조에 있어서 가장 으뜸가는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국대학도서관의 디지털 도서관 추진형태는 정보기술 하부구조 구축, 본문 데이터베이스 구축, 프로젝트 중심의 설계로 집약된다. 본 고에서는 미국의 미시건대학교, 카네기멜론대학교, 버지니아공과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디지털도서관 구축실태와 현황을 고찰하였다.

  • PDF

대학도서관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Guidelines for Academic Libraries)

  • 고아름;정은경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2호
    • /
    • pp.23-41
    • /
    • 2011
  • 대학도서관의 참고정보서비스는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온라인상에서 이용자와 사서의 질문답변과정이 가능한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로 발전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디지털 환경에서 국내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가 효율적이며 체계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건 중 가장 근본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가이드라인은 계획, 운영, 평가 단계로 구분된다. 계획 단계는 운영/관리, 협력, 서비스정책, 디자인의 4개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영 단계는 질문/답변, 정보원, 근무시간, 홍보, 교육과 같은 5개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는 서비스평가와 평가방법으로 2개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어린이.청소년 디지털도서관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ing the Digit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th)

  • 곽승진;강지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9
    • /
    • 2007
  •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구성을 위하여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도서관의 사례를 살펴보고, 디지털도서관을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제 어린이 디지털도서관과 LG 사이언스랜드를 사례분석하고 디지털도서관에 응용 가능한 Web 2.0에 기반한 새로운 도서관 2.0 기술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도서관을 설계하기 위하여 인포메이션 아키텍체에 기반한 네비게이션, 레이블링 시스템, 검색 시스템,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 콘텐트를 제시하였으며, 도입 가능한 도서관 2.0 등 신기술 등에 대한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e-Learning 강의 지원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 I 대학 교수.학생.도서관서비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ate Methods for Digital Contents Service to Support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 이종원;고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89-1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최근 변화된 강의환경을 고려하여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용 디지털 콘텐츠와 대학의 e-Learning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의 환경하에서 요구되어지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강의를 이용하고 있는 I 대학의 교수 학생을 대상으로 e-Learning 강의 지원에 미치는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상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도서관의 상용 디지털콘텐츠 제공 서비스 품절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측정모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Digital Library Service Quality Index(이하 DL-SQL모형이라 함)을 바탕으로 4개의 차원(정보시스템 품질, 디지털장서 품질, 고객서비스 품질, 고객커뮤니티 품질)과 7개의 구성요인(검색성, 전담조직 및 인터페이스, 접근성, 디지털장서, 고객지원서비스, 개인화서비스, 고객커뮤니티) 등을 일부 수정하여 디지털 콘텐츠관련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디지털콘텐츠 관련 도서관서비스에서 "고객서비스"와 "고객커뮤니티" 품질 서비스는 "정보시스템"과 "디지털장서"에 대한 품질 서비스보다 e-Learning 강의 지원과 학습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Learning 강의를 개설하는 교수와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대학도서관에서 상용 디지털콘텐츠를 구입하여 제공하는 양적 푸싱 서비스 보다는 도서관의 대 이용자 고객맞춤정보 서비스가 e-Learning 강의지원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e-Learning 강의와 연계된 디지털콘텐츠 구축관련 정책수립시 참고해야 할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국립디지털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Service Policy of National Digital Library)

  • 노동조;곽승진;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95-308
    • /
    • 2008
  • 국립디지털도서관(NDL)이 국가대표 디지털도서관으로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최신의 정보환경인 IT 및 유비쿼터스 환경을 고려한 정보서비스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술한 필요성에 의거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이용자 및 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을 수립하였다. 또한, 수립된 정보서비스 정책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중간 평가와 외부 전문가 및 자문단을 통한 1, 2차 검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NDL 정보서비스 정책의 비전, 사명 목적, 목표,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NDL의 정보서비스 정책은 초유의 연구사례로서 향후, 정보서비스 정책을 수립하고 세부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는 다른 디지털도서관에게도 경험적 사실과 근거를 제시하여 줄 것이다.

이용자 참여형 시맨틱 디지털도서관 아키텍처 설계 (Designing an Architecture for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ies(SSDL))

  • 오삼균;원선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9-251
    • /
    • 2007
  • 정보기술 환경의 변화는 디지털 도서관에 혁신적인 변화를 촉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온톨로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이용자 참여 협업을 적극 지원하는 디지털 도서관을 Social Semantic Digital Library(이하 SSDL)로 정의하고, 이러한 디지털 도서관에 요구되는 핵심사항과 아키텍처 모델을 제시하였다. SSDL은 메타데이터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의미기반 정보처리를 지원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참여를 통해 정보와 지식을 재생산하는 혁신적인 체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5개의 수평 계층과 2개의 수직요소로 구성되는 새로운 SSDL 모델을 제시하였다.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Initiatives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An Analytical Survey

  • Kumar, 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5-2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itiatives on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in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in the Rayalaseema Region of Andhra Pradesh. Eighty-one engineering college libraries in Rayalaseema Region have been surveyed to assess the initiatives taken on digital collection and development. This paper highlights opinions of librarians on most preferred digital materials and various digital resources acquainted with their library. The digital library initiatives cover a variety of activities starting from the digital collection building, digitization, digital collection, maintenance, and digital preservation. It is found that 34.57% of libraries are in the process of building digital collections, which is an encouraging trend among Engineer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Rayalaseema Region.

디지털대학도서관 설계를 위한 이론적 고찰 (A study on digital library for design in university library)

  • 장동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9-150
    • /
    • 1999
  • 종래의 전통적 대학도서관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라이브러리로 변모하고 있다. 인쇄자료는 국제교환표준문서 표준 디지털 파일로 목록은 메타데이터로 이용자는 네트워크가 접속되는 전세계 이용자로, 자료는 무한정 복사가 가능한 형태로 바뀌고 있다. 국가 정보 하부구조를 위한 대학도서관 디지털 라이브러리 구축은 미래 정보화사회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라이브러리 기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는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문제, ISO에서 문서 교환표준으로 제정한 SGML 문서의 구조 둥 앞으로 추진할 디지털 라이브러리의 모습을 모델링한다.

  • PDF

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MyLibrar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Library for Digital Reference Service)

  • 김휘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115
    • /
    • 2001
  • 웹을 이용한 도서관 정보서비스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 홈페이지에는 계속적으로 많은 콘텐츠들로 축적되기 때문에 이용자들은 효율적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도서관에서는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들을 개인별로 맞춤화한 서비스인 MyLibrary가 이루어지고 있다. MyLibrary는 주로 대형도서관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웹페이지를 이용한 디지털참고봉사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