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digital library

검색결과 1,229건 처리시간 0.03초

디지털도서관 분야의 학제적 공동연구 분석에 관한 연구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s in the Domain of Digital Libraries)

  • 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51
    • /
    • 2011
  • 디지털도서관 분야는 컨텐츠, 운영, 기반 기술 관련하여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학제적 학문분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문헌정보학 범주 내에서 파악되었던 디지털도서관의 하위분야 규명을 넘어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루고 있는 디지털도서관을 학제적 공동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1997년부터 2010년까지 게재된 디지털도서관 주제의 논문 1,394편을 대상으로 다양한 분야의 공동저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분석결과 문헌정보학, 컴퓨터학, 공학 분야가 공동연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밝혔다. 또한 디지털도서관의 세부영역은 핵심디지털도서관영역, 자연과학영역, 의학관련 영역, 생물학 및 의학영역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디지털도서관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루고 있으며, 이론중심의 연구뿐만 아니라 구축과 운영과 관련된 실무 영역이 함께 발전된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Digital Cur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Library Service)

  • 안영희;박옥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1-326
    • /
    • 2009
  • 본 연구는 디지털 정보자원의 발전에 따른 보존, 아카이빙, 디지털 큐레이션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디지털 큐레이션의 국내 외 사례와 디지털 정보자원의 생명주기 정보처리를 기반으로 대학 도서관에서의 디지털 큐레이션의 역할 및 전략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명주기를 기반으로 한 생산자, 큐레이터, 이용자의 디지털 큐레이션 관계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기관 레포지터리인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자원에 대한 보존 및 큐레이션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 대학 간 협력체제와 자원공유에 기초가 되는 디지털 큐레이션 체제를 수립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PDF

부산광역시교육청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의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a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Department of Education)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48
    • /
    • 2002
  • 학교도서관의 협력망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는 학교도서관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 설치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및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학교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최초로 설치하였다. 본고는 먼저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구축하는데 적용된 정보시스템의 기반 기술과 외국의 정보시스템 사례를 살펴보고,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성공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Digital Libraries)

  • Jung, Jin-Tack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81-193
    • /
    • 1998
  • 디지털도서관의 지속적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디지털도서관의 성공요인을 새롭고 종합적으로 측정 가능한 모델을 필요로 한다. 이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이 기존의 환경과는 달리 분산 지향적이며, 이질적인 멀티미디어 정보를 취급하고 점차 양방향의사소통이 가능한 대화형(Interactive) 환경으로서 다양한 이용자의 욕구에 부응해야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새로운 환경에 처한 디지털도서관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는 기존의 틀로는 분석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새롭고 종합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디지털도서관의 성공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종합적인 모델을 개발하고자, 디지털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도서관에 관련된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디지털도서관의 성공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디지털도서관 환경에서 성공요인을 측정하는 모델을 만들고자 시도하였다.

  • PDF

출판기능이 부여된 디지털 도서관 I : 디지털 도서관의 본질적 해석 (Digital Library in the Notion of Publishing, I : From the Viewpoint of Intrinsic Attribute)

  • 정준민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39-55
    • /
    • 2006
  • 도서관에 관한 가장 기본적이고 상식적이며, 이미 일반화 시킨 개념을 토대로 도서관에 대한 기능과 본질에 대해 추론해 보았다. 그리고 그 맥락에서 전자도서관에 대한 해석을 내림으로 도서관의 본질적 이해와 역할을 그려보았다. 결과적으로 도서관의 본질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같아야 하며, 그 변화와 발전은 본질에 대한 그 시대 기술의 최적화 작업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정보 서비스의 본질인 출판기능이 존재하며, 정보의 생산, 유통 그리고 재생산을 위한 무형의 가치창출 행위가 도서관이며, 그것이 곧 디지털 도서관인 것이다.

디지털 도서관의 개방 접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n Access of Digital Library)

  • 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93-110
    • /
    • 2003
  •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학술지 비용의 압박에 의해 도서관은 심각한 위기상황을 직면하고 있다. 도서관으로서는 학술지 종수의 삭감이나 대폭적인 예산 증액과 같은 조치를 취하든지, 새로운 학술지 유통 모델을 개발하든지 하는 결정을 해야 할 형편이다. 이 논문은 후자의 관점에 따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학술유통 체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활동들을 고찰하고, 그것의 실천적인 모델인 개방접근 디지털도서관의 사례와 핵심기능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새로운 학술유통 체제는 학술기관의 학술적 권위를 회복하고, 개방접근을 통한 학술자원의 공공성을 확보하고,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술유통 모델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MC 환경에서 디지털도서관의 커뮤니케이션 모형 (Communication Model for Digital Library in the CMC Environment)

  • 조윤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3호
    • /
    • pp.27-43
    • /
    • 1999
  •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CMC) 환경에서 운영되는 디지털도서관(DL)은 전통적인 도서관(TL)에서 제공하던 정보서비스의 영역과 제공방법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 주었고, TL은 정보제공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이동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하에 DL의 정보서비스는 불특정 다수 이용자들에게 시공간을 초월한 정보서비스의 영역학대와 즉시적이고,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한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논고는 CMC 환경에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DL과 이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대해 개괄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DL에서 제공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DL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개발을 위해 DL의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국내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DL의 효과적인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모델을 제시하고, 향후 CMC 환경에서 제공되는 DL과 정보이용자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북한 PUST 디지털도서관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Model for PUST in North Korea)

  • 이종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3-158
    • /
    • 2008
  • 본 연구는 남북합작으로 건립하는 PUST에 설치될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 모델 제시를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해 디지털도서관의 문제와 PUST 디지털도서관의 이슈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저작권법하의 공정사용 미흡 등으로 현 단계에서 디지털도서관만 운영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남북의 언어와 지적기반의 차이 등으로 홈페이지 접근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 의 검색 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연구자는 디지털도서관과 하이브리드 도서관을 병행 운영할 것과, 디지털도서관 관련 하여 유니코드를 통한 홈페이지의 이중화 NCHAR 데이터타입 설정을 통한 다국어 저장, 전거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Track for Civil Service Librarian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31-63
    • /
    • 2013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society. To this end,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S curriculum, determined demand from field librarians through a survey, carried out job analysis by library types, and developed an operating model for LIS curriculum by synthesizing all of these results. Finally, we suggested a course of study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based on this model. As a result, the six required courses for civil service librarians are: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Services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Retrieval, and Field Work. The four core courses for the civil service concentration are: Collection Development, Information Sources by Subjects, Public Library Management, and Digital Libraries. Suggested electives best suited to this career path include Using Web Resources,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Services in Culturally Diverse Communities, Library Marketing, Libraries and Cultural Programs, Reading Guidance, Library History, Small Library Management, Studies in Library Buildings, Library Cooperation, Managing Digital Collections,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 Digital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