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mathematics

검색결과 324건 처리시간 0.027초

우리나라와 일본 수학 교과서의 순환소수 내용 비교 (Comparison of Recurring Decimal Contents in Korean and Japanese Mathematics Textbooks)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75-39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15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재구조화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다룰 때 학습량 적정화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육과정에서 차이가 있게 다루는 순환소수를 교육과정의 연계성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수학 내적 연결성의 계통성과 공유성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일본의 2017 개정 교육과정의 순환소수를 도입 시기, 내용, 다루는 방법 등을 비교하고, 두 나라의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루는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무리수 개념 도입 전인 중학교 2학년에서 순환소수를 정의하고 순환소수와 유리수의 관계를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으로 다루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중학교 3학년에서 무리수를 학습한 후 순환소수의 용어를 간단히 다루고 고등학교 <수학I>에서 순환소수 개념을 다루고 <수학III> 교과목에서 극한 개념을 배울 때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를 다루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학습량 적정화 등을 고려할 때 순환소수를 어떻게 다룰지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사범대학의 이차곡선 영역 교육에 대한 교수 및 교사의 인식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ors and Teachers about the Education on Quadratic Curves in Various Universities)

  • 이승훈;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827-84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차곡선에 관한 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의 교육이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에 대한 교수, 교사, 예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수학교육과와 1개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이차곡선이 강의되는 강좌의 강의담당 교수와 그 강좌를 수강했던 예비교사, 그리고 경기도 소재 1개 고등학교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교육내용과 이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차곡선에 관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이 강의되는 강좌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강좌에서 이차곡선에 관한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 내용이 충분히 강의되고 있으며, 그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의 66.1%가 이차곡선에 관한 이해도가 좋아졌다고 인식했으며, 현직교사들 또한 대부분의 내용에 대하여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실제 고등학교 교육 현장과의 연결성 강화가 요구된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은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이 크고, 사범대학에서 이에 대하여 배울 필요성 또한 큰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사범대학에서 학습하는 내용들이 현장에서의 활용과는 유리되어 배우고 있다는 인식과 함께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셋째, 이차곡선에 관한 내용지식의 범위를 학교수학과 연결된 학문적 수학의 범위로 확대하려는 자발적 노력을 촉진, 장려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지원이 요구된다.

  • PDF

학교수학에서 이산수학 교수 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 for the Discrete Mathematics in School)

  • 한근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87-9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제 7차 교과과정에 의하여 새로운 선택과목으로 선정된 이산수학의 효율적인 교수방안을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이산수학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알고리즘의 개발 필요성 및 목적 등을 강조하기 위하여 행렬 곱셈에 관한 전통적인 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며 또한 효율적인 행렬 곱셈 알고리즘을 분석한다.

  • PDF

공업계 고등학교 수학과 교과서 구성에 관한 연구 - 전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Research about the Composition of Mathematics Textbook for the Technical High Schools)

  • 유병훈;엄정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1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ose the curriculums of mathematics for the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o ream their own majors effectively. First, we analysed th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the goal of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 and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s of mathematics. And next, we researched the reality and the necessit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echnical high school.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 found som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technical high school. So we composed the scope, the sequence, and the units of mathematics textbook which reflect the curriculum of technical high school.

  • PDF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of Japan, Taiwan, Hongkong, Finland, and China)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481-498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수학교육의 목표 측면에서는 논리적 사고, 수학의 활용, 수학적 탐구의 인지적 목표와 자신감과 용기, 성취감, 수학의 가치에 대한 정의적 목표를 교육과정에서 선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었다. 고등학교 과목의 이수 경로는 진로에 따른 선택 과목 구성이나 과목 간 계열 설정을 생각해볼 수 있었다.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외국의 필수 내용이지만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누락된 삼각함수 공식이나 상관관계를 우리나라에서도 다루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서 체제에서 교육 내용의 범위와 설명을 친절하게 하고 교육과정 모형을 시각화하여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공업계 고등학교 수학교과와 전문교과간의 연계성에 관하여 - 전자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d Major Subjects of Technical High School. - Focused on the Electronic subjects -)

  • 조선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35-145
    • /
    • 2002
  • Technical high school aims at educating students to acquire fundamental skill and technology required for being competent technicians, to be creative in adjusting themselves to the changing industrial society, and to do self-realization and find their ways toward the future on their own. To attain that goal and maximize learning effect, mathematic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s prerequisite learning for technical subjects, as most technical courses in technical high school are basically based on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how mathematics education could be successfully linked to technical courses in an attempt to make it function properly as prerequisite learning for major subjects and facilitate students' technical learning. For that purpose, what problems the mathematics components of major subjects and the curriculum had was examined and the way to offer better education was presented. And there are some suggestions regarding mathematics education: First, technical mathematics should be newly inserted into technical high school curricula to help students learn major subjects in more efficient way. Second, most technical high schools are expected to just require tenth graders to complete a 10-stage mathematics course. In that case, they might find difficulties in learning major subjects when they are in their 11st and 12th grade. The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to have 11st and 12th graders take mathematics education. Third, many students find a job after graduation, but the growing number of students go on to university to receive more education in the same fiel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enlarge continuous progress plan, rather than completion-type one, to make students well-grounded technically. And mathematics should be taught in more classes as prerequisite subject for major courses. Fourth, mathematics elements necessary for each major subject should be outlined and announced to schools so that they could reorganize mathematics and major courses appropriately.

  • PDF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용어·기호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Exploration on Terms and Notations 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 김선희;서동엽;강성권;김수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611-623
    • /
    • 2016
  •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초수학>, <수학I>, <수학II>와 교과서를 토대로 용어 기호의 정의에서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점을 짚어 보고 용어 기호의 선정과 앞으로의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현재 지적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과제로 교육과정 개발에서 용어 기호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고 그 결과가 공개될 필요가 있으며, 교과서 검정에서 용어 및 기호에 대한 기준을 적절히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고, 수학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방법에서 학교급간 정의방법의 차이, 특히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정의 방법의 차이를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용어 기호의 교체나 교과서에 소개할 방안을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초.중.고교 확률.통계의 효율적인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through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of the Curriculum and Text book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오후진;유병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59-67
    • /
    • 1998
  • Probability and statistics is an important section in mathematics which is deeply related to everyday living, natural science and social science. In spite of its importance, many students will throw away it because it becomes very harder as its step(stage) deepens and probability and statistics' relative importance is very small in Korea-SAT(the test of college entrance in Korea). Therefore, by analyzing the involvement carefully between the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the text book, by study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is study intends to give the students the confidence, interests, and accomplishment motive about probability and statistics field and to make a rational and creative decision-making through mathematical speculation by proposing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hrough analyzing an existing facts in school's probability and statistics fiel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four chapters. Chapter three looks into the mathematical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its teaching meaning, the outline of contents, some tips on teaching and problems and presents an effective and concrete teaching method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chapter two. Chapter four is a conclusive part and gives the general improvement and intentional direction in educating the probability and statistics.

  • PDF

중학교 수학 교과서 문제의 인지적 영역 분석 (Cognitive Domain of Problems in Korea Mathematics Textbooks)

  • 이지혜;허유진;신민경;허난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451-465
    • /
    • 2019
  • Textbooks are official materials so that these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in school. The teacher constructs the less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o achieve the learning goal. Thus, textbooks play an important role because the quality of the contents in textbooks affects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gnitive domain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knowledge, understanding,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Values and Expression' in the mathematics textbook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reflecting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 also looked at cognitive levels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was dominant in 'Values and Expression'. Also, although the problem of requiring a higher level of cognition is increasing as the unit finishes, there are still a high percentage of low level of problems.

A Study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95-106
    • /
    • 1997
  • Even though there are extracurricular mathematics classes for gifted students in all levels of schools in Korea, teachers cannot conduct the classes properly because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re not adequate for the purpose of the classes. So, what they tend to do in the classes is just drilling with many problems which have already shown up at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and various mathematics competi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n example of what the content should be in "Mathematics III" (an elective subject for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fifth and sixth amendment of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how to design the extracurricular classes for gifted students. Extracurricular classes of the ordinary secondary school as well as the elective course for the science high school can be suitably designed with choices of topics in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I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