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heonsu Ba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3초

小型定置網資料에 의한 淺水灣 魚類의 水質에 따른 種組成 및 量的 變動 (Seasonal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Cheonsu Bay Using Trap Net Catches)

  • 이태완;석규진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7-227
    • /
    • 1984
  • 1981年에서 1982年 사이 淺水灣 入口에서 小型定置網으로 蒐集한 魚類 群集 의 種組成과 量的 變動을 季節別로 分析하였다. 總 64種의 魚類가 採集되었으며, 小數種이 魚類群集을 優占하였다. 이른 봄에는 漁獲量이 적었으며, 베로라치 (Enedias fangi)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가 優占하였다. 魚類의 種數, 個體數 및 漁獲量은 늦봄에 年中最大값을 보였으며, 이는 魚類들이 産卵 혹은 攝餌를 위하여 灣으로 回族하여 들어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는 3種 의 乳泳生魚類, 밴댕이 (Harengula zunasi), 멸치(Engraulis japonica) 및 전어 (Konosirus punctatus)가 優占하였으며, 種類, 個體數 및 어획량이 낮에 비하여 밤에 훨씬 많았다. 여름에는 種數 및 漁獲量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産卵후 成漁가 죽거나, 널리 퍼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가을에는 그 해에 태어난 魚類가 再介入하여 어획량이 증가하였다. 이 시기에는 봄, 여름에 産卵한 밴댕이, 멸치 및 전어의 幼漁가 우점하였다. 또, 낮과 밤의 種組成도 큰 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여름철 천수만 해수에서 담수 대량 방류에 따른 영양염, 유기물 및 미량금속의 변화 (Effect of Freshwater Discharge on the Seawater Quality (Nutrients, Organic Materials and Trace Metals) in Cheonsu Bay)

  • 이지윤;최만식;송윤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4호
    • /
    • pp.519-534
    • /
    • 2019
  • 여름철 인공호수(간월호, 부남호)로 부터의 담수방류시 천수만 수질(영양염, 유기물, 미량금속)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1년 6, 7, 8, 10월에 평상시와 담수방류 시기 각 2회씩의 해수를 채취하였다. 담수가 방류되면 용존 무기 질소(DIN)의 농도가 만내의 모든 수층에서 약 3-4배 증가하였고, 평상시 암모니아성 질소(NH4+-N)가 우세하다가 담수방류시 질산성 질소(NO3--N)가 우세하였다. 용존 무기인(DIP)의 경우 내만 표층에서 절반으로 감소하였고 저층에서는 1.5배 증가하였으며 규산염(Si(OH)4)은 내만 저층에서 2배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Redfield ratio는 담수 방류시 인 제한 환경으로 바뀌었다. 용존 유기 탄소(DOC) 및 질소(DON)는 약 2배 증가하였고, 입자상 유기 탄소(POC), 질소(PON), 인(POP) 및 생물기원 규소(Bio-SiO2)는 내만 표층에서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용존 금속(Fe, Co, Ni, Cu)은 내만의 표층에서 증가하였으나, 용존 Cd의 경우 만의 표층에서 절반으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영양염, 유기물 및 금속 농도가 높은 인공호수의 물이 만으로 유입되면, 천수만 내의 영양염 및 용존 유기물, 금속농도가 증가하고,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이 발생하여 표층에서 산소 과포화, 저층에서 빈산소를 발생시킨다. 빈산소와 함께 내만의 저층에서는 매우 높은 농도의 영양염(DIN, DIP, Si(OH)4) 농도가 존재하였다. 수질 평가 지수값을 통해 천수만의 부영양화 정도를 평가한 결과, 평상시에는 3등급 이하로 나타나다가 방류시 5등급으로 바뀌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천수만 황도 갯벌의 퇴적환경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Hwangdo Tidal Flat, Cheonsu Bay)

  • 우한준;최재웅;유주형;최송화;김성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3-67
    • /
    • 2005
  • 천수만은 전형적인 반 폐쇄형만으로 수로, 사퇴, 작은 섬 그리고 갯벌 등 다양한 환경들이 있다. 1983년에서 1985년 사이에 건설된 서산 A와 B 방조제는 천수만 북부의 퇴적환경을 지속적으로 변화시켰을 것으로 보인다. 황도 갯벌과 주변 해역의 퇴적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3년 6월과 10월에 표층과 주상 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5개의 퇴적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10월의 표층퇴적물은 6월과 비교하여 갯벌은 조립해 졌으나 주변 해역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3개의 주상퇴적물의 퇴적상은 황도 주변 갯벌은 파랑과 조류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높고, 조수로 근처의 갯벌은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도 갯벌의 11개월 동안 단기 퇴적률은 중앙지역은 퇴적 되었으나, 갯벌의 동쪽 측면과 서쪽 측면은 침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조제에 의하여 조류 형태와 퇴적물 순환이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 PDF

천수만 갯벌, 쏙(Upogebia major) 유입 및 정착 밀도에 따른 해수-퇴적물 환경과 서식지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Seawater-Sediment Environment and Habitat Properties with Variable Mud Shrimp Upogebia major Burrow Hole Density and Its Influence on Recruitment and Settlement in the Cheonsu Bay Tidal Flats)

  • 전승렬;옹기호;구준호;박종우;김유철;정희도;조재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71-182
    • /
    • 2022
  • The habitat degradation caused by large-scale reclamation leads to devastating impacts, such as fine sediment and mud shrimp Upogebia major settlement o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aquaculture in the eastern Cheonsu Bay tidal flats, Republic of Korea. Despite these impacts,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the influence of fine sediments on tidal flats that constitute key mud shrimp habitats.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eawater-sediment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fluctuations depending on mud shrimp burrow hole density. Additionally, it discusses countermeasures for Manila clam habitat management. The results show that mean DIN effluxes in areas with a high-density of burrow holes were up to 4 times (0.12 mmol m-2 d-1) higher than those in sites of low-density (0.03 mmol m-2 d-1) within the Saho and Songhak-ri tidal flats. To manage interference within the competition zone of Songhak-ri tidal flat, it is important to utilize the settlements of spawning season in all three dimensions. Consequently, additional studies in other tidal flats are essential and research in zones where mud shrimps and juvenile clams coexist will help to determine the priorities i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clam aquaculture.

한국 서해 천수만 선현세 간월도 퇴적층의 퇴적환경 (Sedimentary Environments of Pre-Holocene Kanweoldo Deposit in Cheonsu Bay, Western Coast of Korea)

  • 정회수;엄인권;임동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7권1호
    • /
    • pp.32-42
    • /
    • 2002
  • 한국 서해 천수만 조간대 퇴적체는 약 20m 두께에 달하며, 지난 빙하기동안 노출되어 형성된 부정합면을 경계로 상위의 현세 조간대 퇴적층(Unit M1)과 하위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간월도층(Unit M2)으로 구성된다. 퇴적단위 M1은 간월도층을 하부층으로하는 부정합면 위로 니질의 상부 조간대층과 사니질 또는 니사질의 혼합 조간대층이 순차적으로 발달하는 상향조립화의 해침층서를 갖는다. 퇴적단위 M2 퇴적층은 그 두께가 약 14 m에 이르며, 퇴적후 노출에 의한 풍화의 정도에 따라 상부 산화대층과 하부의 비산화대층으로 구분된다. 전반적으로 퇴적물은 니질 또는 사니질 입자로 구성되며, 조수 리듬 퇴적구조, 플라저층리, 엽층리, 게 구멍 화석, 천해성 와편모조류 등과 같은 조수퇴적 기원의 증거들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퇴적단위 M2의 간월도 퇴적층이 상대적으로 해수면이 높았던 선현세 간빙기 동안 퇴적된 조간대 퇴적층임을 지시한다. 한편, 퇴적단위 M2의 상부 3${\sim}$4 m는 퇴적 후 초기현세까지 계속되는 저해수면 동안 대기중에 노출되어 풍화 및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퇴적물의 특성이 변질된 층으로 해석되며, 이는 서해 연안 퇴적층에서 현세와 선현세를 구분해주는 뚜렷한 층서적 건층으로 제시된다.

민태(Johnius belengeri)의 분포, 체장 및 연령조성 (Distribution, and length and age composition of Johnius belengeri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이태원;송해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4-193
    • /
    • 1993
  • 서해의 아산만, 천수만과 영광 근해, 남해의 삼천포 근해 및 동해의 영일만에서 otter trawl로 민태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밀도 분포, 체장 및 연령 조성을 분석하였다. 영광근해에서는 민태의 평균밀도가 1.147개체/$10,000m^2$로 높은 생물량을 보였고, 저어류 군집을 우점하였다. 천수만에서는 평균밀도가 94개체/$10,000m^2$, 아산만과 삼천포에서는 이보다 낮아 8-24개체/$10,000m^2$였다. 영광 근해에서 서해의 북쪽 혹은 남해의 동부로 갈수록 평균밀도는 감소하였으며, 영일만에서는 한 개체도 채집되지 않아 동해 연안에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 어류는 봄에 연안에 출현하기 시작하며 해역에 따라 봄, 혹은 여름에 최대 밀도를 보였다. 봄과 여름에 채집된 개체는 I, II 및 III세의 성어들이었으며, 영광과 삼천포에서는 여름부터 유어들이 채집되기 시작하였다. 가을에는 미성어가 주를 이루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산란을 위하여 봄에 내만으로 몰려온 성어는 산란을 마친 후 외해로 넓게 분산되며, 많은 유어들은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이동하는 늦가을까지 내만에서 자라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 정래홍;서인수;이원찬;김형철;박상률;김정배;오철웅;최병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72-286
    • /
    • 2014
  • 본 연구는 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천수만 해역에서는 총 224종/$5.2m^2$과 1,940개체/$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1종(평균 $22{\pm}11$종)과 31,525 개체(평균 $1,213{\pm}1,080$개체/$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천수만의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옆새우류의 Eriopisella schellensis 등이었다. 출현 종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다변량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천수만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죽도를 중심으로 만의 안쪽해역 정점군과 만의 입구부해역 정점군)과 2개의 정점(춘계와 하계의 정점 2)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천수만의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Benthic Pollution Index(BPI)와 ATZI's Marine Biotic Index(AMBI)지수를 이용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BPI지수는 11(bad status, 가장 불량한 상태)~92(high status, 가장 양호한 상태)의 범위를, AMBI는 1.34(good status, 양호한 상태)~4.39(poor status, 불량한 상태)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천수만은 건강도 지수의 평균 값에 있어 BPI와 AMBI지수가 각각 중간 상태(moderate status, 불량과 양호한 상태의 전이단계)와 양호한 상태를 반영하고 있었다.

Pathology Survey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Hwangdo Tidal Flat in Cheonsu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 Yang, Hyun-Sung;Cho, Young-Ghan;Shin, Jong-Seop;Park, Heung-Sik;Choi, Kwang-Sik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365-370
    • /
    • 2021
  •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s present at high rates of density in tidal flats in Cheonsu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where clams often exhibit mass mortalities in late summer. We monitored the pathologic condition of clams at Hwangdo tidal flat (HD) to understand the parasitic impacts on clam fitness. Manila clams were fully ripe in July and spawned during August and September, as the histology indicated. The histology revealed that clams in HD tidal flats were heavily infected by the protozoa parasite Perkinsus olseni, as the monthly prevalence ranged from 53% (September) to 93% (August). In addition, Manila clams were co-infected by the metazoan parasite Cercaria tapetis and Parvatrema duboisi with the prevalence of 0-33% and 0-14%, respectively. Massive hemocyte infiltration and subsequent inflammation were commonly observed from the gills of P. olseni infected clams. Clusters of P. olseni trophozoites and heavy hemocyte infiltration were also observed from the female gonad, suggesting that P. olseni interferes with host gonad maturation. The larval trematode occupied almost the entire host gonad, resulting in gonad castration. In addition, Metacercaria of P. duboisi were observed from the subsurface of the mantle. Ray's fluid thioglycollate medium assay (RFTM) indicated that clams collected in August and September contained approximately 4.0×106 P. olseni cells/g gills. Condition Index (CI) declined gradually from spring to early summer, and the decline in CI was interpreted as a consequence of the heavy parasitism, as the parasites drain the host's net energy to be used in somatic growth and gamete production.

천수만 방조제 건설 후 대천 해빈 천해 어류의 중장기 종조성 변화 (Post-Reclamation Long-term Changes in Fish Species Composition of Beach Seine Samples in Cheonsu Bay)

  • 권순열;황학빈;홍지민;이태원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141-155
    • /
    • 2020
  •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shallow water at Daecheon beach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beach seine samples collected from April 2010 to March 2011.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data, one just after reclamation in 1984-1985, and the other in 1995-96, in order to assess the post-reclamation impact of the environmental change on the fish assemblage. A total of 30 species from 1,464 individuals with biomass of 17,808 g were identified. Dominant species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were Chelon haematocheilus (49.3%), Takifugu niphobles (13.7%) and Paralichthys olivaceus (10.0%). Among pelagic fish, migrant juvenile fish such as Sardinella zunasi and Thryssa kammalensis were abundantly collected in 1984-85, but the catch amount was gradually decreased as time untill only few pelagic fish were collected in 2010-2011. The benthic fish were most abundant in 1984-1985 among habitat groups, and Favonigobius gymnauchen and Kareius bicoloratus were the top two predominants.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fish did not exhibited drastic changes in 1995-1996, but both the abundance decline and the species composition change was evident in 2010-2011. Among the semi-benthic fish from 1984-1985 samples, Sillago japonica and Konosirus punctatus predominated. Species composition was slightly changed in 1995-1996, but significant changes were met in 2010-2011 with the two predominats, Chelon haematocheilus and Takifufu niphobles. These changes in fish species composition may reflect the post-reclamation effect of the impaired water quality and the accumulation of organic rich fine sediments.

2013-2016년 양식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의 해역별 선충(Clavinema mariae) 및 병원체 감염 현황 (Monitoring of Diseases Including Nematode Clavinema mariae Infections in the Cultured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During 2013-2016)

  • 한현자;송준영;조미영;최혜승;정승희;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32-442
    • /
    • 2020
  • Diagnostic monitoring in Korean rockfish cages was performed to survey the prevalence of pathogens in cultured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rom May 2013 to July 2016. A total of 1,945 fish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stern (Cheonsu Bay and Heuksando), southern (Tongyeong and Namhae), and eastern coasts (Pohang) of Korea were tested for parasites, viruses, and bacteria. In this study, 1,264 and 334 fishes were infected with Microcotyle sebastis and Clavinema mariae, respectively. The prevalence rates of C. clavinema in fishes from Cheonsu Bay, Heuksando, and Tongyeong were 35.3%, 3.9% and 1.9%, respectively. No C. clavinema infection was detected in cultured rockfish from Namhae and Pohang. Furthermore, bacteria including Photobacterium damselae (8.9%), Photobacterium piscicola (2.3%), Photobacterium spp. (8.9%), Aeromonas salmonicida (1.8%), Aeromonas spp. (0.9%), Vibrio scophthalmi (1.5%), Vibrio spp. (3.3%), Streptococcus iniae (1.2%), and others (8.0%) were detected in 373 of 1,364 fishes. No virus was detected in any fish investiga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