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arcinoma of the uteru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3초

전이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Lung Cancer)

  • 박재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815-820
    • /
    • 1987
  • Excision of the metastatic pulmonary sarcoma or carcinoma in the selected cases is now the accepted and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reatment. From January 1978 to July 1987, 14 patients with metastatic lung cancer were treated surgically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Ages ranged from 26 years to 68 years [mean=38.0 years]. Primary sites were uterus in 6 patients, colorectum in 2, sarcoma of extremities in 2, and 1 case of pancreas, kidney, skin and melanoma of hand. Fourteen posterolateral thoracotomies were done and resected the 36 metastatic masses in 14 patients. Surgical mortality was none. The performed procedures of resection were as follows; lobectomy with wedge resection in 2, lobectomy in 3, segmentectomy in 1 and wedge resection in 8. Eleven patients were received radiotherapy or chemotherapy, or both postoperatively. Among the 14 patients, there were 5 survivors. They are 6, 7, 21, 35, and 63 months postoperatively. Among them, 9 patients were dead. Within one year in 2, two years in 6, and three years in l.

  • PDF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후 대장 및 직장합병증에 대한 분석 (Bowel Complication after Radiotherpy of Uterine Cervix Carcinoma)

  • 하성환;정웅기;김종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2호
    • /
    • pp.237-245
    • /
    • 1992
  • 1979년부터 1986년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어 외부방사선 및 강내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은 5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직장 합병증과 방사선량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550명 중 468명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며, 82명은 수술후에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이들 82명 중 43명은 수술절제연 양성으로, 31명은 원발질환의 재발로, 8명은 stump cancer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Grade 2와 3를 포함하는 직장 합병증의 발생률은 5년에 $6.7였다. 합병증이 생긴 환자군의 직장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7424{\pm}834$ cGy이었으며, 이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의 $6946{\pm}717$ cGy보다 많았고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직장합병증의 정도에 따른 방사선량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전체 합병증의 발생률은 직장에 조사된 방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6,500 cGy 이하에서는 5년 합병증 발생률이 15.6이었으며 8,000 cGy 이 상 조사된 환자군에서는 71.2이었다. 직장 합병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Cox의 방법에 의해 다변량분석한 결과 당뇨가 있는 경우 합병증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강내 방사선치료는 한번 시행한 경우보다 두번 시행한 환자군에서 합병증 발생률이 더 적었다. 또한 자궁의 후방만곡은 ovoid의 크기와 함께 분석된 경우에 통계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나타내었고, ovoid의 크기는 이번 분석에서 합병증 발생에 가장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직장에 조사된 방사선량도 중요한 요소로서 방사선량이 많아질수록 합병증 발생률은 증가하였다(p<0.05). TDF와 CRE단위로 분석하였으며 선량과 합병증의 관계는 cGy 단위의 결과와 같았다.

  • PDF

심장종양 6례 보고 (Cardiac Tumors)

  • 김병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667-672
    • /
    • 1985
  • Primary cardiac tumors are uncommon in all age group. In contrast, tumors metastatic to the heart are significantly more common. On rare occasions, tumor may extend into the heart chamber via inferior vena cava from other parts of the body, such as liver, kidney, and uterus cava. With recent advancement in diagnostic imaging modalities and surgical techniques, cardiac tumors are now potentially curably form of heart diseas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iagnosing the tumor is a high index of clinical suspicion. Six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moval of intracardiac tumor during a 5-year period. The mean age of the 4 women and two men was 40 years [range 23 to 60]. All patients were operated on in the last five years of the studied period. All patients had symptoms varying in duration from 1 month to 4 years [average 13 months].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contributed most to preoperative diagnosis, confirming presence of an intracardiac tumor in all examined patients. Of the six intracardiac tumor, 5 were myxomas [4 left atrial and 1 right ventricular] and one right atrial metastasis from hepatocellular carcinoma of the liver. In all cases, tumor masses were successfully excised. One patient expired after the operation on account of low cardiac out-put syndrome. Remained one patient among six, tumor mass extended into RA and RV with a stalk via IVC. On later follow-up study showed cold area on liver scan [hepatocellular ca.], so she was transferred to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for chemotherapy. Follow up results showed no signs of tumor recurrence in 4 myxoma cases.

  • PDF

SPF Ktc : ICR 마우스의 자연발생 종양에 대한 병리학적 연구 (A pathological study of spontaneous tumors in SPF Ktc : ICR mice)

  • 손화영;강부현;한상섭;전무형;조성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09-627
    • /
    • 1992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types, incidence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the spontaneous tumors of the specific pathogen free (SPF) Ktc : ICR mice bred in a barrier system in Technology Research Center,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One hundred of the mice consisted of 50 males and 50 females were examined for 18 months. 1. The overall incidence rate of spontaneous tumors was 51(51%) of 100 heads tested. The male mice showed slightly higher incidence(28%) than the female(23%), and the incidence rate and the number of affected organ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ge of mice. 2. The incidence rate of primary tumor was 59(59%) of 100 heads tested, consisted of 30 cases (50.8%) of benign tumors and 29 cases(49.2%) of malignant tumors. Among the malignant tumors twenty cases were metastasized to various organs. 3. In tumor incidence rates by systems and organs, the male mice showed the high incidence rate in the liver (18%), hematopoietic system (16% ) and lung (14%), while the female mice, in the hematopoietic system(18%), lung(12%), liver(8%) and uterus(8%). 4. The tumors showing the particularly low incidence rates (<1.0%) were rhabdomyosarcoma in the skeletal muscle, malignant schwannoma in the peripheral nerve, cortical adenoma in the adrenal gland, transitional cell carcinoma in the urinary bladder, tubular cell adenoma in the kidney and adenoma in the pituitary gland and harderian gland.

  • PDF

전이성 폐암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Lung Cancer)

  • 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9호
    • /
    • pp.948-954
    • /
    • 1992
  • In spite of recent progress in anticancer chemotherapy,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metastases to the lung treated nonsurgically has been extremely poor. So we adopted more aggressive surgical approache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ulmonary metastases since 1985. We experienced 22 operations of metastatic lung cancer in 19 patient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in Kosin Medical College since 1985, so we reviewed the results of treatment retro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imary organs of metastatic lung cancer were 4 cases in each of the breast, uterus, and extremities, 3 cases in the rectum, 2 cases in the kidney, 1 case in each of the pelvis and liver, and the pathological findings were 13 cases in carcinoma and 6 cases in sarcoma. 2. The treatments for primary lesions were 15 cases of the operations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or radiation therapy, 2 cases of choriocarcinoma with anticancer chemotherapy only, 1 cases of uterine cervical carcinoma with chemo-radiation therapy, and 1 case of pelvic synovia sarcoma with intra-arterial anticancer chemotherapy. 3. Disease free intrerval were as follows: 7 cases were in 2 years to 4 years, 4 cases were in 1 year to 2 years, and 5 cases were beyond one year, of them one case was discovered primary lesion and metastatic lung tumor concomittently. 3 cases were above 4 years, of them one case of breast cancer were above 13 years especially. 4. The sites of metastatic lung cancer was 15 lesions in the right lung, and 9 lesions in the left lung, And the lobar sites were 10 lesions in the upper lobe, 2 lesions in the middle lobe, and 12 lesions in the lower lobe. 5. The operative methods of metastatic lung cancer were 7 case of partial resection of lung, 12 cases of pulmonary lobectomy, 1 case of pneumonectomy and 1 case of dissection of mediastinal lymph node. 6.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1 case of mild respiratory insufficency, 1 cases of pyothorax, and 1 case of urethral stricture. 7. Postoperative adjuvant therapy were as follows: No adjuvant therapy were 4 cases, anti-cancer chemotherapy were 8 cases, radiation therapy was 1 case, and combined with chemo k radiation therapy were 8 cases. 8. The results of long term follow-up were as follows: The 5 patients were died at 2 months, 22 months, 24 months, 32 months, and 49 months postoperatively, so mean survival period was 32 months postoperatively excluding one patient who was died at 2 months postoperatively. And 14 patients are aliving, of them 3 patients are living in recurred state, and the other 11 patients are living without any evidence of recurrence.

  • PDF

Comparing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in the Evaluation of Small Pulmonary Nodules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Malignancy

  • Lee, Hong-Kyu;Cho, Sung-Woo;Lee, Hee-Sung;Kim, Kun-Il;Kim, Hyoung-Soo;Cho, Seong-J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1호
    • /
    • pp.35-39
    • /
    • 2012
  • Background: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DG-PET) in detecting pulmonary metastasis through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a technique that allows the excisional biopsy of small pulmonary nodules in patients with known malignanci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2007 and April 2010, 28 patients with known malignancies and small pulmonary nodules underwent VATS excisional biopsies. All patients were in follow-up for a previously treated malignancy. The malignancies included the following: colorectum (9), breast (6), head and neck (5), stomach (3), lymph (1), ovary (1), uterus (1), bladder (1), and liver (1). Results: There were 16 men and 12 women whose mean age was 56.7 years old (range, 38 to 77 years). The sizes of the mean nodules removed were 11.3 mm (range, 7 to 21 mm). Diagnoses included metastatic (11),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1), primary adenocarcinoma (1), pulmonary tuberculosis (6), fibrosis (5), organizing pneumonia (3), lymphoid hyperplasia (1). Among these lesions, 46.4% were malignant. Conclusion: True positive FDG-PET was 39.2%. FDG-PET is not a sensitive test in the evaluation of patients with a history of an extrathoracic malignancy and newly diagnosed small pulmonary nodules. VATS excision allows the early diagnosis of small pulmonary nodules, with low morbidity, in patients with known malignancies.

자궁경부암에서 방사선량과 방광합병증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Dose and Late Complication of Bladder in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하성환;정웅기;김종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77-385
    • /
    • 1993
  • 1979년부터 1986년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어 외부방사선 및 강내 방사선 치료를 받은 5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광합병증과 장사선량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 550명중 468명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며, 82명은 수술후에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이들 82명중 43명은 수술절제연 양성으로, 31명은 원발질환의 재발로, 8명은 stump cancer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Grade 2와 3를 포함하는 방광합병증의 발생률은 5년에 $2.5\%$였다. 합병증이 생긴 환자군의 방광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7487{\pm}768$ cGy이었으며, 이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의 $7150{\pm}808$ cGy보다 많았고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1). 방광합병증의 정도에 따른 방사선량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전체 합병증의 발생률은 방광에 조사된 방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6,500 cGy 이하에서는 5년 합병증 발생률이 $5.0\%$이었으며 8,000 cGy 이상 조사된 환자군에서는 $27.7\%$이었다. 방광합병증에 영향을 줄수 있는 요인들을 Cox의 방법에 의해 다변량 분석한 결과 환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ovoid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적었다(p<0.05). 골반전체에 조사된 방사선량도 통계적 유의성에 근접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방사선량이 많아질수록 합병증 발생률은 증가하였다. TDF와 CRE 단위로 분석하였으며 선량과 합병증의 관계는 cGy 단위의 결과와 같았다.

  • PDF

자궁경부 선암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R Imaging Findings of Uterine Cervical Adenocarcinoma)

  • 김종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권1호
    • /
    • pp.113-119
    • /
    • 1998
  • 목적 : 자궁경부 선암종은 자궁경부 편평 세포 암종보다 림프절 전이와 국소적인 파급이 빨리 일어나고 5년 생존율이 낮으므로 임상적으로 선암종이 진단되었거나 의심될 경우에는 방바선학적 검사로 종양의 림프절 전이와 국소적인 파급을 세심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궁경부 선암조의 자기공명영상(MRI) 소견을 분석하려 편평 세포암종과 다른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대상 및 방법 :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자궁경부 선암종 환자 21명 중 MRI에서 종양이 관찰되는 18명(조직학적 병기 : Ib 10예, IIa 4예, IIb 2예, IIIa 1예, IIIb 1예)을 대상으로 그 MRI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한 후, 최근에 연속적으로 입원하여 편평 세포 암종으로 확진된 40명의 환자로 구성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1.5T의 MRI기기로 조영 전후의 T1강조 및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영상을 축상 및 시상면에서 얻었다. MRI에 나타난 종양의 최대직경, 위치, 신호강도 및 조영증강정도, 윤곽, 형태, 상하 침범 범위, 동반 질환 유무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자궁경부 선암종의 최대 직경은 0.8-4.1cm(평균 2.2cm)이었고, 이 종양이 경관내막을 따라 위치한 경우가 9예이었다. 모든 선암종의 신호 강도는 T1 강조 영상에서 주위 자궁경부 간질과 비슷하였고 급속 스핀 에코 T2 강조 영상에서는 높았다(균질성 10, 비균질성 8). 모든 선암종은 gadolinium 정맥 주입시 모두 조영 증강되었다(균질성 6, 비균질성 12 : 높은 신호강도의 고리 2). 선암종의 윤곽이 매끈한 경우가 8예이었고, 불규칙한 경우가 10예이었다. 선암종의 모든 예에서 자궁경부의 하부가 침범되었는데, 이중에서도 상부까지 침범된 경우는 6예이었다. 선암종 2예에서는 MRI상 직경 1.5cm 이상의 골반강 림프절들이 관찰되었고, 1예의 MRI에서는 림프절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병리 검사상 모두 악성으로 판명되었다. 2예의 선암종에서 자궁 유수증이, 1예에서 자궁 유혈증이 동반되었다. 이상의 소견을 편평 세포 암종의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대 선암종에서 경관내막형과 술통형이 더 많은 것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자궁경부 선암종은 편평 세포 암종에 비해 경과내막형, 술통형이 많은 MRI 소견을 보였다. MRI에서 자궁경부암의 모양이 경관내막을 따라 술통형이거나 병기가 낮은데도 주위 림프절로 파급되는 경향을 보이면, 자궁경부 선암종을 의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is-Platin이 흰쥐 난관의 섬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역조직학적 및 면역도금법에 의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and Immunogol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Effects of Cis-platin on the Ciliogenesis of Rat Oviducts)

  • 김진국;김원규;백두진;정호삼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45-59
    • /
    • 2000
  • 항암제로 널리 사용되는 cis-platin은 백금(platinum) 원소에 염소기와 암모니아기가 수평면의 cis-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금속화합물이다. Cis-platin은 인체의 종양에 상당한 항암효과가 있어 악성 난소종양, 두경부의 악성상피종양, 방광암 및 자궁경부암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 약제는 세포의 DNA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이미 밝혀져 있다. 저자는 cis-platin을 가임기의 여성에 투여되었을 때 난관상피 세포를 구성하는 섬모세포의 섬모형성에도 필연적으로 손상 및 억제적인 작용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섬모의 주요 구성분인 미세소관의 $\alpha-tubulin$과 cis-platin과의 관계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건강한 체중 $150\sim200gm$의 자성흰쥐를 사용하였으며 estradiol benzoate를 4일간 매일 투여함으로써 섬모세포를 난관내에서 지속적인 활성을 유지시킨 뒤 cis-platin을 실험군의 복강내로 주사한 후 1일, 3일, 5일 및 7일 경과시에 각각 실험동물의 난관에서 상피세포내 $\alpha-tubulin$의 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mouse antirat $\alpha-tubulin$ monoclonal antibody와 2차 항체로 bio-tinylated goat anti-rat IgG를 각각 사용하여 면역조직 화학법을 시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 일부조직은 전자현미경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1차 항체로 mouse anti rat $\alpha-tubulin$ monoclonal antibody와 2차 항체로 직경 15nm의 금과립을 결합시킨 goat anti-mouse IgG를 사용하여 면역조직 반응을 시행하고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stradiol benzoate를 4일간 매일 일정량을 투여한 흰쥐의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의 면역반응은 estradiol 투여후 1일, 3일 및 5일군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2. Estradiol beozoate를 4일간 투여한 후 cia-platin을 투여한 흰쥐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 반응은 cis-platin 투여 1일군과 3일군에서 약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제 5일군에서는 강한 반응으로 회복되었다. 3. Cis-platin투여한 후 제 1일 및 3일군의 흰쥐 난관 섬모세포내 $\alpha-tubulin$반응은 첨부세포질에서는 감소되었고 기저체, 섬모등에서는 $\alpha-tubulin$반응이 대조군과 비교하면 변동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은 cis-platin투여에 의해 감소되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었다.

  • PDF

자궁 경부암 처지 (Analysis of Radiotherapy Associated Factors in Stage IIb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문창우;정태식;염하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241-253
    • /
    • 1990
  • 1980.6.부터 1985.12.까지 고신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단독 치료한 병기 IIb 자궁경부암 환자 331명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생존율 치료 실패 및 합병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사선 치료요소들을 분석조사 하였다.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82.8{\%}$$82.4{\%}$였다. 방사선 치료 6주 경과에 분석한 골반내 관해율은 전골반 외부 조사후 강내조사한 예에서는 $98.6{\%}$였고 축소조사한 추가 치료한 예에서는 $71.6{\%}$였다. 전골반 방사선 조사후 완전관해를 보였던 예에서의 5년 생존율은 $98.9{\%}$였지만 국소치료실패 및 원격전이한 예에서는 $12.9{\%}$였다. Point A에 $7500{\~}8500$ cGy를 조사한 예에서는 $88.5{\%}$의 5년 생존율을 보였고 합병증은 $4.9{\%}$였지만 그 이상의 조사량에서는 생존율은 증가한지 않았고 합병증만 증가하였다. $18.7{\%}$(62예)에서 치료실패를 보였는데, 이중국소치료실패가 $72.6{\%}$(45예), 국소 및 골반임파 치료실패가 $3.2{\%}$(2예)였으며 원격전이 실패는 $24{\%}$(15)였다. 합병증은 $15.1{\%}$(50예)였는데 이중 $42{\%}$가 직장 출혈 및 협착이였다. Point A의 조사량은 8500 cGy가 합병증 유발의한계 조사량 이였으며 합병증의 $70{\%}$가 그 이상의 조사양에서 발생하였다. 직장 합병증은 6500 cGy이상에서 발생하였고 방광합병증은 7500 cGy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국소치료실패로 인한 전신쇠약이 대다수였으며 전체 사망원인으로는 국소치료 실패로 인한 전신쇠약이 대다수였으며 전체 사망원인의 $73.7{\%}$였고 그외 폐, 간, 뼈 전이순이였으며 방사선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은 3예에 지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대한 결론으로 크기가 아주 큰 종양이나 Barrel형태의 종양의 방사선 치료에는 지금 많이 사용되고 있는 4000 cGy이상의 외부 조사량이 강내조사전에 골반관해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