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bone mineral density

검색결과 918건 처리시간 0.026초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의 골다공증에 관한 연구 (Osteoporosis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김성자;이영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90-96
    • /
    • 1999
  • 연구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골다공증이 높은 빈도로 보고되어 왔으나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투여 없이도 골다공증이 발병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의 골밀도를 비교하고, 부신피질 스테로이드 투약여부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동국대학 경주병원에 내원한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23명과 폐기능이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문진과 의무 기록 고찰,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 계측기(Lunar사, USA)를 이용한 척추 및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군은 남자 15명, 여자 8명이었고, 평균 나아 $70{\pm}9$세, 대조군은 남자 14명, 여자 6명, 평균 연령 $68{\pm}8$세였다. 만성폐쇄성폐질환군의 평균 척추 골밀도는 $0.683{\pm}0.154 g/cm^2$, 대조군은 $0.971{\pm}0.212g/cm^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만성폐쇄성폐질환군에서 골다공증은 7명, 골감소증은 9명이었고, 대조군은 골감소증 4명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1). 그러나,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유병기간과 T score사이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395, p>0.05).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23명 중 스테로이드 복용 환자는 10명이었다. 스테로이드 복용기간은 평균 $17{\pm}12$개월 이었고, 용량은 $10.3{\pm}4.3mg$이었다. 스테로이드 복용군의 T score(SD)는 $-3.82{\pm}0.94$, 비복용군은 $-2.82{\pm}0.97$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스테로이드 유지용량과 척추부 T score는 r=-0.424의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5), 스테로이드 투여 기간은 T score 사이에도 r=0.457의 음성 상관 관계를 보였다(p<0.05). 만성폐쇄성폐질환군 중에서 스테로이드 투여를 받지 않은 환자 (n=13)의 척추부 골밀도는 $0.71{\pm}0.21 g/cm^2$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결론: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여러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골다공증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고, 특히 스테로이드 투여군에서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의 빈도가 높고, 요추부의 골밀도 측정이 진단에 도움이 되며, 예방적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뼈건강 지표를 이용한 유기태 칼슘 급원의 생체이용성 및 소화율 (Bioavailability and Digestibility of Organic Calcium Sources by Bone Health Index)

  • 한정호;김은미;정만기;지성규;지규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1호
    • /
    • pp.12-25
    • /
    • 2010
  • 본 연구는 $CaCO_3$를 표준으로 장내 칼슘 흡수를 촉진하는 peptide-Ca, anchovy-Ca, methionine hydroxyl analogue calcium의 생체이용성과 소화율을 평가하였다. 표 준군은 $CaCO_3$를 AIN-93G (1993)를 기준으로 칼슘 요구량의 0%, 30%, 60%로 첨가하여 모든 분석 항목에 대한 비교기준으로 삼았다. 실험군은 요구량의 40% 수준으로 각기 다른 칼슘 공급원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는 대부분 칼슘 함량이 높은 Ca-60%군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여 주어 칼슘의 섭취량과 비례하여 양의 상관 관계를 보여 주었다. 생체이용성 평가에서는 MHA-Ca 군이 체중 증가량, BMD, BS, BBS 항목에서 높은 이용성을 보여 주었다. peptide-Ca은 회귀계수가 높은 회분함량 ($R^2\;=\;0.98$)과 BMC ($R^2\;=\;0.935$)를 이용한 평가 에서 표준군에 비해 11%, 7% 높은 이용성을 보여주었다. Anchovy-Ca군 역시 여러 생체이용성 평가항목에서 높은 이용성을 나타냈다. 이는 동일한 양의 칼슘을 섭취했을 때 실험군이 표준으로 사용된 $CaCO_3$ 보다 높은 칼슘 이용성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본 연구로는 유기태 칼슘이 어떤생리 활성 작용을 통해 이러한 결과를 나타냈는지는 알 수 없었으며, 이 부분을 분명하게 규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소화율 측정항목에서는 Ca-0%군을 제외하고는 90% 이상 높은 칼슘 소화율을 나타냈다. 소화율과 보유율에서 peptide-Ca군이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다른 실험군에 비해 미세하게 높았다. 이러한 차이의 축적으로 인해 생체이용성 평가시 실험군간 차이를 보여 주었다. 결국 공급한 칼슘에 대한 소화 및 흡수의 차이에 의해 뼈 건강관련 지표가 좋아지고 이로 인해 실험군의 생체 이용성이 높게 평가 되었다. Peptide-Ca와 순수한 식품 칼슘 급원인 멸치 뼈는 높은 칼슘 이용성을 나타내어, 체내칼슘 영양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있슴이 증명되었다.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난소절제 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III. 골격 구성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ed Estrogen/Calcium Therapy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III. A Study on Skeletal Composition in Ovariectomized Rats-)

  • 이경화;이성숙;최인선;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34-343
    • /
    • 1997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게 식이 칼슘염 형태, 에스트로겐 및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골격 구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난소절제쥐를 이용한 총 9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사육한 후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오른쪽 대퇴골의 젖은 무게, 밀도, 길이, 강도, 회분 함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대퇴골의 젖은 무게는 체중 당으로 표현한 값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낮았다. 이것은 난소를 절제한 쥐의 체중부하로 인해 골격 구성 성분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난소절제 후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군에서 체중당 젖은 무게는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난소절제 후 estrogen 점진적 감소군에서 강도, 회분 함량, 칼슘 함량, 인 함량이 가장 낮았다. 견갑골의 젖은 무게, 밀도, 회분 함량, 칼슘 함량, 인 함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난소절제 후 estrogen 점진적 감소군에서 뼈의 젖은 무게와 회분 함량이 모든군에 비해 낮았고 고칼슘을 투여하거나, 칼슘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골손실을 다소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난소절제 여부에 따른 골격구성 성분에는 변화가 없었다. 난소절제 후 estrogen 및 estrogen/칼슘 혼합요법 골격손실을 상당량 방지 할 수 있었고 estrogen 점진적 감소군은 골격손실을 가져옮을 알 수 있었다. Estrogen 점진적 감소에 고칼슘, 칼슘 점진적 증가투여는 골격 구성 성분의 손실을 다소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랫드의 두개골결손부 모델에서 HA/PCL 지지체를 사용한 골이식 시 Matrigel의 효과 (Effect of Matrigel for Bone Graft using Hydroxyapatite/Poly $\varepsilon$-caprolactone Scaffold in a Rat Calvarial Defect Model)

  • 김세은;심경미;김승언;최석화;배춘식;한호재;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5-3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hydroxyapatite/poly $\varepsilon$-caprolactone composite (HA/PCL) 지지체와 matrigel을 랫드의 두개골 결손부 모델에 함께 이식 시의 골형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두개골결손부는 Sprague Dawley rat (n = 18)에서 수술적으로 형성하였으며 실험군은 Matrigel과 함께 HA/PCL 지지체를 이식한 군(M-HA/PCL group, n = 6)과 HA/PCL 지지체단독이식군(HA/PCL group, n = 6)으로 나누었고 대조군(CD group, n = 6)에는 아무 것도 이식하지 않았다. 수술 4주 후, 골형성은 방사선촬영, micro CT 및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방사선상에서 CD군의 골형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HA/PCL과 M-HA/PCL군에서는 관찰되었고 골과 유사한 방사선비투과성이 M-HA/PCL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Micro CT 평가에서 골부피는 HA/PCL군보다 M-HA/PCL군에서 더 높았으나 두 군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그러나 골밀도에서는 HA/PCL군보다 M-HA/PCL군이 더 유의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 < 0.05). 조직학적 검사에서는 CD군에서 새로운 골은 원래 존재하던 골로부터만 형성되었으며 두개골결손부 내의 골형성은 보이지 않았다. HA/PCL군에서 새로운 골형성은 원래 존재하던 골로부터만 유래되었으나 M-HA/PCL군은 가장 많은 골형성을 보여주었으며 새로운 골이 원래 존재하던 골과 HA/PCL지지체 주변에서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HA/PCL 지지체와 matrigel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골의 임계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서 골다공증 평가를 위한 다중검출 CT의 이용: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과의 비교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n Patients with Femoral Neck Fracture for Assessing Osteoporosis: Comparison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이효정;황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1호
    • /
    • pp.173-181
    • /
    • 2021
  • 목적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 평가를 위해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이하 MDCT)에서의 감쇠 계수(Hounsfield unit; 이하 HU)와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이하 DXA)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6년 6월부터 12월까지 MDCT와 DXA를 모두 시행한 42명의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포함되었다. MDCT에서는 정상 대퇴골 경부의 해면골에서 HU를 측정하였으며 DXA에서는 동 부위의 골밀도 및 T 값을 얻었다. HU와 골밀도 및 T 값의 상관관계를 Spearma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의 골밀도와 T 값의 평균은 각각 0.650 g/cm2과 -2.4이었다.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 환자 군의 HU의 평균은 각각 131.9, 98.9, 41.3이었다. HU는 골밀도(r2 = 0.670; p < 0.001) 및 T 값(r2 = 0.676; p < 0.001)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다중검출 전산화단층촬영에서 감쇠계수의 측정은 골다공증 선별검사를 위한 유용한 진단적 도구가 될 수 있다.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요추 및 대퇴부에서의 최대 골밀도 및 골소실률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ge-related Bone Loss and Peak BMD in Korean)

  • 김영란;박창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77-83
    • /
    • 2018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 2차년도에 참여한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요추 및 대퇴골부위의 최대 골밀도 변화와 골 소실률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시도 하였다. 척추와 대퇴부 부위의 골밀도 차이는 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연령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는 Cub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에서의 요추, 대퇴골 부위의 최대 골밀도는 20-24세였으며, 요추에서의 골소실률은 75-79세에서 대퇴부에서는 80세 이상에서 골 소실률이 가장 높았다. 여성에서는 요추, 대퇴골 부위의 최대 골밀도는 40-44세였으며, 요추에서의 골소실률은 70세 이상에서 대퇴부에서는 75-79세, 80세 이상, 55-59세 순으로 골 소실률이 높았다. 따라서, 남성에서는 75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검사율을 늘리는 방안을 모색하고, 여성에서는 50대 이후에서 폐경과 관련해서 골다공증의 관리 전략을 짜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mucositis and osteoradionecrosis animal model using external radiation

  • Seo, Mi Hyun;Lee, Min Young;Eo, Mi Young;Lee, Suk Keun;Woo, Kyung Mi;Kim, Sou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6권4호
    • /
    • pp.240-249
    • /
    • 2020
  • Objectives: Although the side effects of radiation therapy vary from mucositis to osteomyelitis depending on the dose of radiation therapy, to date, an experimental animal model has not yet been propos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imal model for assessing complications of irradiated bone, especially to quantify the dose of radiation needed to develop a rat model.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Sprague-Dawley rats aged seven weeks with a mean weight of 267.59 g were used. Atraumatic extraction of a right mandibular first molar was performed. At one week after the extraction, the rats were randomized into four groups and received a single dose of external radiation administered to the right lower jaw at a level of 14, 16, 18, or 20 Gy, respectively. Clinical alopecia with body weight changes were compared and bony volumetric analysis with micro-computed tomography (CT), histologic analysis with H&E were performed. Results: The progression of the skin alopecia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rradiation dose. Micro-CT parameters including bone volume, bone volume/tissue volume, bone mineral density, and trabecular spac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rogression of osteoradionecrosis (ORN) along with that of inflammation, fibrosis, and bone resorption, was found with increased osteoclast or fibrosis in the radiated group. As the radiation dose increases, osteoclast numbers begin to decrease and osteoclast tends to increase. Osteoclasts respond more sensitively to the radiation dose, and osteoblasts are degraded at doses above 18 Gy. Conclusion: A standardized animal model clinically comparable to ORN of the jaw is a valuable tool that can be used to examine the pathophysiology of the disease and trial any potential treatment modalities. We present a methodology for the use of an experimental rat model that incorporates a guideline regarding radiation dose.

백렴(白蘞)의 파골세포 분화 및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mpelopsis japonica (Thunb.) Makino on Osteoclastogenesis and Expression of Osteoclast-Related Gene)

  • 김홍식;이수민;김민선;김재현;강예진;권성준;남영우;유승우;최홍석;허선진;손영주;정혁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19
    • /
    • 2023
  • Objectives : Osteoporosis is a systemic skele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reduced bone mineral density and increased risk of fractures. Bisphosphonates and selective estrogen receptors, which are bone resorption inhibitor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osteoporosis treatments, show serious side effects when administered for a long time. Research on bone resorption inhibitors that complement the problems of existing treatment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hibit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activity on the tuberous root of Ampelopsis japonica (Thunb.) Makino (AM). Methods : After extracting AM using distilled water and ethanol,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two solvent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were compared using the RANKL-induced in vitro experimental model and the TRAP assay kit. The impact of AM on bone resorp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pit formation assay, and its effect on F-actin formation was assessed through fluorescent staining. Additionally, protei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markers (NFATc1, c-Fos, TRAP and ATP6v0d2) and resorption markers (MMP-9, CTK, and CA2) were analyzed via western blot and RT-PCR. Results : AM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TRAP-positive cells and pit formation area. Furthermore, AM suppressed both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NFATc1 and c-Fos, key transcription factors involved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it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osteoclast-associated genes such as TRAP, CTK, MMP-9, CA2, and ATP6v0d2.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 can inhibit bone resorption an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dicating its potential for use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steoporosis.

수축력과 신장력을 병용한 골신장술에서의 다양한 힘의 비와 부여시기에 따른 신연골 반응 (THE REACTION OF BONE REGENERATE TO THE VARIOUS FORCE RATIO AND PERIODS ON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COMBINED DISTRACTION FORCE AND COMPRESSION FORCE)

  • 김욱규;신상훈;정인교;김철훈;허준;윤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5호
    • /
    • pp.403-4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odified distraction osteogenesis (DO) method with the concept of overdistraction and compression stimulation which have been previously suggested by the authors in 2002 and to explore the optimal distraction-compression ratio and appropriate latency period for the compression force application during consolidation. The experimental specimens were assessed with radiography, histologic findings,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fter the conventional DO method and the modified DO technique had been applied on rat mandibles. Total 60 rats were used for the study. In experimental group of 54 adult rats, mandibular osteotom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ar areas were performed and customized external distractors were applied. The surgeries on 6 rats of control group also were done with same osteotomy technique and DO device application. Final amount of distraction was set-up as 2 mm on both groups. But, in a experimental group of 54 rats,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a compression force were performed with the different distraction-compression ratio and variant latency periods for compression. The three ratio-subgroups were made as distraction 4 mm group with compression 2 mm, distraction 3 mm group with compression 1 mm, and distraction 2.5 mm group with compression 0.5 mm. In addition, The three subgroups with 3, 7, 11 days latency period prior compression were allocated on each ratio-subgroups. Total 9 subgroups consisted of 6 rats on each subgroup. In control group of 6 rats, conventional distraction technique were routinely performed. The rats of control groups were sacrificed on postoperative 3, 6 weeks after 2 mm distraction. The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also were sacrificed on the same euthanasia days of control groups to compare the wound healing. Final available specimens were 55 rats except 5 due to osteomyelitis, device dislodgement. Distraction-compression combined group on 6 weeks generally had showed increased bone mineral density than the same period group of conventional distraction technique on the DEXA study. More matured lamellar bone state and extended trabecular pattern in the combined group than those of control group were also observed in the histologic findings on 6 weeks. In the distraction-compression combined groups, the bone density of 2.5 mm distraction subgroups with 0.5 mm compression showed the highest value on the DEXA study among various force ratio groups. In the distraction-compression combined groups, the bone density of 3 day latency period subgroups showed the highest value on the DEXA study among various latency period groups for the compression application. From this study, we could deduce that 1/5 force ratio for the compression versus distraction, 3 day latency period prior compression application would be the most effective condition if modified distraction osteogenesis technique might be applicable. The modified DO method with a compression force may improve the quality of bone regenerate and shorten total treatment perio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DO technique clinically.

Effect of isoflavone-enriched whole soy milk powder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mice

  • Kim, So Mi;Lee, Hyun Sook;Jung, Jae In;Lim, Su-Min;Lim, Ji Hoon;Ha, Wang-Hyun;Jeon, Chang Lae;Lee, Jae-Yong;Kim, Eun J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4호
    • /
    • pp.275-282
    • /
    • 2018
  • BACKGROUND/OBJECTIVE: There is intense interest in soy isoflavone as a hormone replacement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A new kind of isoflavone-enriched whole soy milk powder (I-WSM) containing more isoflavones than conventional whole soy milk powder was recently develop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WSM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mice. MATERIALS/METHODS: Sixty female ICR mice individually underwent ovariectomy (OVX) or a sham operation, and were randomized into six groups of 10 animals each as follows: Sham, OVX, OVX with 2% I-WSM diet, OVX with 10% I-WSM diet, OVX with 20% I-WSM diet, and OVX with 20% WSM diet. After an 8-week treatment period, bone mineral density (BMD), calcium, alkaline phosphatase (ALP),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TRAP) 5b, osteocalcin (OC), procollagen 1 N-terminal propeptide (P1NP), and osteoprotegenin (OPG) were analyzed. RESULTS: BM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VX group compared to the Sham group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VX + 10% I-WSM and OVX + 20% I-WSM groups compared to the OVX group (P < 0.05). Serum calcium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OVX + 10% and 20% I-WSM groups. Serum ALP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VX + 10% and 20% I-WSM groups compared to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P < 0.05). OC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OVX group compared to the Sham group (P < 0.05), but a dose-depende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OVX groups supplemented with I-WSM. P1NP and OPG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ile TRAP 5b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OVX group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which was not affected by I-WSM (P < 0.05).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I-WSM supplementation in OVX mic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BMD reduction and promoting bone formation. Therefore, I-WS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