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e USA

검색결과 5,232건 처리시간 0.032초

주사전자현미경과 공촛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을 이용한 치과용 수복레진의 부식에 관한 연구 (SEM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STUDY ON THE CORROSION OF DENTAL RESTORATIVE RESINS)

  • 양규호;박은혜;정병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0-4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Prodigy(Kerr, USA), Vitalescence(Ultradent, USA), Z 250(3M, USA), Filtek flow(3M, USA)의 4종의 복합레진을 사용하여 각 제품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무게손실, 표면하 분해층 깊이, 용출된 Si 농도를 기준으로 각 레진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게손실량은 Prodigy와 Vitalescence사이, Z 250과 Filtek flow사이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후 제품군 간에는 차이를 보였다(p<0.05). 2. 분해층 깊이는 Z 250, Filtek flow, Prodigy, Vitalescence순으로 감소하였으며, 네가지 제품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Si 용출량은 Filtek flow, Z 250, Prodigy, Vitalescence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각 제품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각 제품의 무게손실과 분해층 깊이 사이(r=0.714, p<0.05), 무게손실과 Si 용출량 사이(r=0.770, p<0.05), 분해층 깊이와 Si 용출량 사이 (r=0.930, p<0.05)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NaOH 용액에 보관한 후 레진 기질과 필러 사이의 결합의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다. 6. 공촛점 레이저 현미경 관찰시 NaOH용액에 보관한 후 레진의 분해층 깊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시판중인 불소 바니쉬의 불소이온 유리량 및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Amount of Fluoride Ion Released and Remineralization Effect on the Initial Caries Lesion of the Various Fluoride Varnishes)

  • 이가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43-451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불소 바니쉬 제품의 불소이온 유리 능력을 측정하고 이와 함께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하고자 하는 불소 바니쉬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FluoroDose^{(R)}$ (FD, Centrix Inc., USA), $Enamelast^{TM}$ (EL, Ultradent Product Inc., USA), $Clinpro^{TM}$ white varnish (CW, 3M ESPE, USA), $CavityShield^{TM}$ (CS, 3M ESPE, USA), V $varnish^{TM}$ (VV, Vericom, Korea), MI $varnish^{TM}$ (MI, GC, Japan). MI $varnish^{TM}$와 V $varnish^{TM}$에서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p < 0.05) 반면 CS $varnish^{TM}$가 가장 낮은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을 보였다(p < 0.05).

수입 옥수수들의 TME가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한 ME가의 비교 (Comparison of TME Values of Imported Corns and ME Values Determined by In vitro Method)

  • 조중호;백인기;현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737-744
    • /
    • 2007
  • 수입 옥수수들의 TME가를 구하고 진정 아미노산 이용율(TAAA) 그리고 여타 진정 영양소 이용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57주령 된 Hy-Line rooster 24수를 대사 케이지에 수용하고 미국산 (USA), 아르헨티나산(ARG), 중국산(CHN), 중국산‐premium(CHNP) 등 원산지별로 5수씩 공시하였고 내인성 에너지가와 아미노산을 측정하기 위해 4수를 절식구로 두어 총 4회에 걸쳐 4주 간격을 두고 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TME값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한 MEn, ME 그리고 MEpc와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풍건물(as fed) 기준으로 한 TME 값에 있어서 USA구가 3,745로 ARG구 3,555 그리고 CHNP구 3,517 보다 유의하게(P<0.01) 높았고 CHN구 3,671kcal/kg와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건물(DM) 기준 TME 값은 USA구가 4,144로 CHN구 4,060와 CHNP구 4,008과는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ARG구 4,001kcal/kg 보다는 유의하게(P<0.05) 높았다. 옥수수의 phenylalanine, histidine 그리고 arginine의 TAAA는 수입 옥수수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USA가 가장 높았다. 그러나 전체 아미노산의 TAAA에 있어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USA 옥수수가 89.4%로 다른 원산지 옥수수들인 ARG 89.3%, CHN 89.1%, CHNP 86.5% 보다 다소 높았다. 영양소 이용률에 있어서 NFE 이용율은 USA, ARG 그리고 CHN 옥수수가 CHNP 옥수수 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으며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의 이용율에는 시료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TME가와 In vitro 방법에 의해 측정된 MEn가 사이의 상관계수는 0.91로 P<0.1이었으나 TME가와 ME가 그리고 TME가와 MEpc가 사이에서의 상관계수는 각각 0.90과 0.83으로 P>0.1이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산 옥수수가 TME값과 아미노산 이용율이 가장 높았고 중국산 premium corn은 중국산 regular corn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In vitro 방법으로 옥수수의 TME가를 추정할 경우 MEn값 산출 공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Overview of Herbal Medicine Practice in the USA

  • Staba, E. John;Staba, Joyce 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4권1호
    • /
    • pp.1-8
    • /
    • 1998
  •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the evolution of health practice in the United States. The development of selected laws regulating the marketing of botanical commodities and recent efforts to standardize them. Some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clinical testing and clinical use of botanical commodities.

  • PDF

Quality evaluation of local brand rice in rice exporting countries

  • Kwak, Kang Su;Yoon, Mi Ra;Cho, Young Chan;Lee, Choon Ki;Choi, In Duck;Kim, Mi Jung;Kim, Sun Lim;Kim, Wook Ha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54-254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grain quality of local brand rice from 6 major rice exporting countries which are anticipated to export their rice to Korea. Recently, with the end of the postponement of rice import tariffs in 2014, Korea is in a very easy environment to import foreign rice. Therefore, the quality evaluation of local brand rice in those countries is needed to secure the quality competitiveness of Korean rice, also to protect the rice industry in Korea. We provided total 38 local brand rice from USA(7), China(16), Australia(4), Thailand(3), Vietnam(5) and India(3), and 2 imported brand rice through MMA from USA and China to find out the status of the grain quality for each country. For the quality evaluation, w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lling and palatability-related characteristics. The amylose content on country average ranged from 24.4(India)~16.2%(Thailand). The protein content was 6.66% by overall average, and was higher in order of India(7.86), Australia(6.80), Vietnam(6.61), Thailand(6.59), China(6.28), USA(5.82). In Toyo glossiness value, it ranged from 75.7~45.2, and the figures in USA and China were the highest level. The head rice ratio ranged from 95.2~72.4%, and the figures in Thailand, USA and China were distinctly high. When we analyze the palatability of boiled brand rice with Chucheongbyeo as check variety by expert panelists, several rice brands from USA and China showed equal or better scores in shape, smell, taste, stickiness, texture and overall score, although most rice brand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significantly in the taste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Chucheongbyeo.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grain quality of USA and China rice is very competitive when imported into Korea. The results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quality control of foreign rice which will be imported into Korea in the near future, also for the quality information which could be applied on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Korean rice varieties. Continuous monitoring about the foreign brand rice is advisable to improve the quality competitiveness of Korean r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