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UML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4초

생물학 온톨로지를 이용한 XQuery 확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XQuery Expansion System using Bio-Ontology)

  • 김정진;양경아;양재동;배명남;정명근;임명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268-27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생물학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합 검색하기 위한 XQuery일 확장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공개 생물학 온톨로지 등인 GO, UMLS들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생물학 온톨로지 API를 온톨로지별로 정의하였다. 정의된 온톨로지 API는 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XQuery의 사용자 정의 함수로써 포함되며 이 XQuery는 본 시스템에 내장된 XQuery Expander에 의해 확장되어 처리된다. 확장된 XQuery는 온톨로지를 이용함으로써 이질적인 구조와 용어로 이루어진 생물학 데이터들을 통합 검색 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에 정의되어 있는 지식과 관계들을 확장검색에 활용함으로써 재현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XQuery의 작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UI 환경도 구현하였다.

  • PDF

의미적 의료정보 통합을 위한 UMLS와 LOINC DB 기반의 연관 값 지식베이스 개발 (Development of an Associative Value Knowledge Base based on UMLS & LOINC Database for Semantic Medical Information Integration.)

  • 김태우;홍동완;윤지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551-1554
    • /
    • 2003
  • 최근 다양한 의료정보 시스템이 개발되어,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 들 각각의 의료정보 시스템에서 발생, 축적된 의료정보는 분산 이질의 형태를 가지며, 또한 같은 의미를 갖는 의료정보가 각기 다른 구조와 용어로 기술되어 축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개발, 활용되어 온 의료정보를 웹 상에서 통합하여, 단일화 된 의료정보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 의료정보의 의미적 연관성을 고려한 정보의 통합, 검색 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의료정보의 통합을 위한 UMLS와 LOINC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연관 값 지식베이스의 설계 및 개발 방식을 제안한다. 웹 상에 존재하는 각종 분산 이질 형태의 의료정보는 XML을 공통 데이터 구조로 하여 통합되며, 정보 통합의 과정에서 연관 값 지식베이스를 참조하여 의미적 관련도가 높은 의료정보(구조 정보와 내용 정보)는 상호 연결되어, 진정한 의미의 정보 통합을 구현하게 된다. 지식베이스는 용어별로 식별자, 요소명, 연관값, 복수형, 동의어, 한글 이름 등의 필드틀 가지며, 현재 상담, 처방, 보험, 의료용어, 증상, 임상결과 등 적용분야 별로 작성된 연관 값 지식베이스가 구현되어 있다.

  • PDF

어포던스 기반의 인간-기계 협업 모델을 이용한 제조 시스템 구현 연구 (Model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Affordance-based Human-Machine Collaborative System)

  • 오영광;주익찬;이우열;김남훈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4-42
    • /
    • 2015
  • Modeling and control of human-involved manufacturing systems poses a huge challenge on how to model all possible interactions among system components within the time and space dimensions. As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are getting complicated, the importance of human in the manufacturing system is getting more and more spotlighted to incorporate the manufacturing flexibility. This paper presents a formal modeling methodology of affordance-based MPSG (Message-based Part State Graph) for a human-machine collaboration system incorporating supervisory control scheme for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in automotive industry. Basically, we intend to extend the existing model of affordance-based MPSG to the real industrial application of humanmachine cooperative environments. The suggested extension with the real industrial example is illustrated in three steps; first,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relevant data are analyzed in perspectives of MABA-MABA and the supervisory control; second, th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task allocation between human and machine are mapped onto the concept of MABA-MABA; and the last, the affordance-based MPSG of humanmachine collaboration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presented with UMLs for verification.

토픽 모델링 기반 과학적 지식의 불확실성의 흐름에 관한 연구 (The Stream of Uncertainty in Scientific Knowledge using Topic Modeling)

  • 허고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1-213
    • /
    • 2019
  • 과학적 지식을 얻는 과정은 연구자의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연구자들은 과학의 불확실성을 다루고 과학적 지식의 확실성을 구축해나간다. 즉, 과학적 지식을 얻기 위해서 불확실성은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필수적인 단계로 인식되고 있다. 현존하는 불확실성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는 언어학적 접근의 hedging 연구를 통해 소개되었으며 컴퓨터 언어학에서 수작업 기반으로 불확실성 단어 코퍼스를 구축해왔다. 기존의 연구들은 불확실성 단어의 단순 출현 빈도를 기반으로 특정 학문 영역의 불확실성의 특성을 파악해오는데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장 내 생의학적 주장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의학 문헌을 대상으로 불확실성 단어 기반 과학적 지식의 패턴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생의학 온톨로지인 UMLS에서 제공하는 의미적 술어를 기반으로 생의학 명제를 분석하였으며, 학문 분야의 패턴을 파악하는데 용이한 DMR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여 생의학 개체의 불확실성 기반 토픽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과학적 지식의 표현은 불확실성이 감소하는 패턴으로 연구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