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emantic Web

검색결과 920건 처리시간 0.021초

Genie: 온톨로지 기반 시맨틱 웹 서비스 합성 시스템 (Genie: A Semantic Web Services Composition System base on Ontology)

  • 오지훈;시대근;정영식;한성국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0권5호
    • /
    • pp.394-405
    • /
    • 2004
  • 웹 서비스 자동화를 위해서는 웹 서비스 자동발견(Automatic Web Services Discovery) 기능, 자동 실행(Automatic Web Services Execution), 자동 구성과 상호운용(Automatic Web Services Composition and Interoperation)이 가능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웹 서비스 합성(Web Services Composition)에 중점을 둔다. 웹 서비스의 입력 및 출력 정보를 비롯하여 프리컨디션(precondition), 포스트컨디션(postcondition), 웹 서비스 제공자 정보, 웹 서비스 위치 정보 등과 같은 웹 서비스 기본 사항들과 웹 서비스 합성을 의미 기반으로 수행하기 위한 웹 서비스의 수행(action)타입, 서비스 객체(object)와 같은 의미적 요소들을 온톨로지(ontology)를 이용하여 기술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WSDL(Web Service Description Language)이 한계점을 드러냈던 서비스에 대한 의미 정보 기술이 가능하다 또한, 웹 서비스간의 의미적 상호운용을 지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내부 또는 외부의 이질적인 어플리케이션간의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시스템과의 통합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웹 서비스 합성 시스템 Genie를 개발한다.

내장형 시스템에서 DAML-S서비스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DAML+OIL문서 관리 시스템 (Development of the Efficient DAML+OIL Document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the DAML-S Services in the Embedded Systems)

  • 김학수;정문영;차현석;손진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1호
    • /
    • pp.36-49
    • /
    • 2005
  • 최근에 시멘틱 웹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함에 따라 시멘틱 웹 기반의 웹서비스인 시멘틱 웹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웹서비스는 XML 기반의 웹서비스 기술 언어인 WSDL을 사용하지만 시멘틱 웹서비스에서는 DAML-S와 같은 온톨로지 언어기반의 웹서비스 기술 언어를 사용한다. 시멘틱 웹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웹서비스 검색, 웹서비스 구동, 웹서비스 구성, 웹서비스 실행 모니터링 등의 관점에서 수행되고 있다 특히, 시멘틱 웹서비스 검색은 시멘틱 웹서비스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장 기반이 되는 분야로 기존의 정보 검색과는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즉, 시멘틱 웹 기술 언어에 적합한 저장 시스템과 검색 방법이 요구된다. 이에 부합하여 관련된 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지능로봇 응용과 같은 제한된 메모리 공간 및 디스크 공간을 가지는 임베디드 환경에서 기존의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시멘틱 웹서비스 검색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DAML-S 서비스 지원을 위한 효율적인 DAML+OIL 문서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우리는 이 논문에서 소개한 시스템의 특성을 다른 시스템과 비교하여 기술한다.

Semantic Web을 이용한 Web Service 기반 전자정부 플랫폼 (e-Government Platform based on web service using Semantic Web)

  • 강민숙;조동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633-635
    • /
    • 2003
  • 전자정부 사업이 완료되면서 많은 서비스가 국민들에게 제공되고 있지만 부처별로 진행되어온 서비스로 인해 필요한 정보의 검색 및 서비스의 활용이 쉽지 않다. HTML은 주로 표현 중심으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목적을 만족시키기에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목적에 부합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적절한 정보를 생성하는 문제가 점차 중요시되고 있고, 이를 통해서 웹 상의 정보에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의미(Semantic)를 부여하여 사람과 컴퓨터간의 협동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Semantic Web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멘틱 웹을 이용하여 전자정부 서비스를 위한 웹 상의 모든 정적인 성격의 정보와 동적인 성격의 서비스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처럼 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 PDF

지능형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위한 추론 기반의 웹 온톨로지 구축 (An Implementation of Inference-Based Web Ontology for Intelligent Image Retrieval System)

  • 김수경;안기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9-147
    • /
    • 2007
  • 시맨틱 웹 응용의 구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술이 시맨틱 웹의 특징을 만족하는 웹 온톨로지의 구축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웹 온톨로지의 구축에 적용된 기법들이 시맨틱 웹과 웹 온톨로지의 특징을 만족하지 못함에 따라 시맨틱 웹 응용의 발전과 보급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톨로지와 웹 온톨로지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시맨틱 웹을 위한 웹 온톨로지의 특징들을 파악하고, 기존 온톨로지 구축과 웹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 제안된 구축 기법들을 비교 분석하여 시맨틱 웹과 웹 온톨로지의 특징에 적합한 웹 온톨로지 구축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은 제안된 방법에 따라 서술 논리와 SWRL의 표현 방법을 이용한 공리 규칙을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모델링하여 추론 기반의 웹 온톨로지를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온톨로지의 검증을 위한 온톨로지 추론 실험을 통해 온톨로지 성능을 검증하였다. 구축된 웹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시맨틱 웹 응용의 예로 지능형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실험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실험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 비교 대상 시스템과의 검색 실험 결과, 실험 시스템이 재현율과 정확율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기술논리와 SWRL 기반의 웹 온톨로지 모델링 (Web Ontology Modeling Based on Description Logic and SWRL)

  • 김수경;안기홍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9-171
    • /
    • 2008
  • 차세대 인터넷 기술로 각광받은 시맨틱 웹의 완전한 사용은 도메인 영역의 지식표현과 지식추론의 성능에 달려있다. 특히 표현된 지식을 기계가 이해하여 인간과 도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더욱 형식적이고 명시적인 지식과 추론 표현이 기반된 웹 온톨로지 구축이 중요하다. 더구나 웹 온톨로지간의 상호작용은 시맨틱 웹의 기술적 완성을 위한 중요 요소이나 현재 웹 온톨로지의 구축을 위한 표준화된 모델링 방법의 부족으로 인해, 구축된 웹 온톨로지의 상호작용과 이해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온톨로지의 지식 표현과 추론에 따른 단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정의된 각 단계에 따라 기술논리의 TBox와 ABox의 지식표현 구조와 SWRL 기반의 추론 규칙을 바탕으로 하는 웹 온톨로지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 검증을 위해 제안된 웹 온톨로지 모델링 과정에 따라 웹 온톨로지들을 구축하였고, 구축된 웹 온톨로지들의 추론에 따른 상호작용 성능을 실험하여 본 논문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시맨틱 웹 데이터의 경로 기반 질의 처리 기법 (The Scheme for Path-based Query Processing on the Semantic Data)

  • 김연희;김지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1-41
    • /
    • 2009
  • 시맨틱 웹에서는 메타데이터와 온톨로지를 이용해 정보 리소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의미적 연관성을 표현함으로써 지능적인 정보 검색과 자동화된 웹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시맨틱 웹의 핵심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온톨로지와 메타데이터와 같은 시맨틱 웹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 데이터의 의미와 구조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질의 결과의 검색과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지원할 수 있는 인덱스 구조를 제안한다. 특히 시맨틱 웹 데이터의 의미와 구조적인 특성을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 그래프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고 다양한 질의 형태를 그래프 모델 기반의 경로식으로 처리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덱스는 1차적으로 추출 가능한 구조적 경로 정보는 물론 온톨로지를 이용한 추론을 통해 2차적으로 추출 가능한 구조적 경로 정보에 대한 질의를 처리 대상으로 하여 기존연구들과 차별화하며 시맨틱 웹의 개념을 온전히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실험적 평가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덱스 구조가 정확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하며 시맨틱 웹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 가능함을 보인다.

시맨틱 검색 시스템의 구현과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Semantic Search System)

  • 한동일;권혁인;최호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3-269
    • /
    • 2008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pplication called Semantic Search which is built on different supporting technologies and is designed to improve traditional web searching. The Semantic Search is becoming crucial challenges on semantic web. The assess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on Semantic Search is not full-fledged whereas its research is highly interested. Also there exists only little research that offers a commercial use Semantic Search System that should be taken into the account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 Semantic Search System. This paper proposes a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for the Semantic Search System. Firstly, we built Semantic Search System which includes a case of development and it's procedure. Secondly, We presented the measurement of our Semantic Search System's effectiveness. Finally, the evaluation offers useful implications to the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improve the research level to the commercial use.

The Basic Concepts Classification as a Bottom-Up Strategy for the Semantic Web

  • Szostak, Rick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39-51
    • /
    • 2014
  • The paper proposes that the Basic Concepts Classification (BCC) could serve as the controlled vocabulary for the Semantic Web. The BCC uses a synthetic approach among classes of things, relators, and properties. These are precisely the sort of concepts required by RDF triples. The BCC also addresses some of the syntactic needs of the Semantic Web. Others could be added to the BCC in a bottom-up process that carefully evaluates the costs, benefits, and best format for each rule considered.

Knowledge Conversion between Conceptual Graph Model and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 김진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23-129
    • /
    • 2007
  • On the Semantic Web, the content of the documents must be explicitly represented through metadata in order to enable contents-based inference. In this study, we propose a mechanism to convert the Conceptual Graph (CG) into 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RDF). Quite a large number or representation languages for representing knowledge on the Web have been established over the last decade. Most of these researches are focused on design of independent knowledge description. On the Semantic Web, however, a knowledge conversion mechanism will be needed to exchange the knowledge used in independent devices. In this study, the CG could give an entire conceptual view of knowledge and RDF can represent that knowledge on the Semantic Web. Then the CG-based object oriented PROLOG could support the natural inference based on that knowledge. Therefore, our proposed knowledge conversion mechanism will be used in the designing of Semantic Web-based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inference systems.

Toward a Structural and Semantic Metadata Framework for Efficient Browsing and Searching of Web Videos

  • 김현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27-243
    • /
    • 2017
  • This study proposed a structural and semantic framework for the characterization of events and segments in Web videos that permits content-based searches and dynamic video summarization. Although MPEG-7 supports multimedia structural and semantic descriptions, it is not currently suitable for describing multimedia content on the Web. Thus, the proposed metadata framework that was designed considering Web environments provides a thorough yet simple way to describe Web video contents. Precisely, the metadata framework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hatman's narrative theory, three multimedia metadata formats (PBCore, MPEG-7, and TV-Anytime), and social metadata. It consists of event information, eventGroup information, segment information, and video (program) information. This study also discusses how to automatically extract metadata elements including structural and semantic metadata elements from Web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