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oyal Guard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조선전기(朝鮮前期) 호위제도(護衛制度)에 관(關)한 고찰(考察) (Consideration on Royal Guards of Early Chosun Dynasty)

  • 송상욱;권정훈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67-8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consideration is to present fundamental data for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the historical approach of Korea Protection by re-examining Royal guarding system through the history in Early Chosun Dynasty. This paper initiated from this critical mind seeking to understand the changing phase of Korea Guarding system, and fundamentally to find the future-oriented ways for the Guarding system. The main materials of history in Early Chosun Dynasty were re-examined,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the main references are a code of laws and official as well as private documents such as Kukjo-Oreyeui. Guards system for Royal prince has been found in Byung-jeon of Kyungguk-daejon. he Guards organization has dual system, one was Gumgun which was a private military man and the other was Wuibyung which was a Central military man. On the contrary, central military man were normally protected the royale palaces, but when the King come and go they accompanied and protected the King in safety zone. But just in case they did a job as a member of capital protection military affairs. A question of finance was the reason why there had been dual protection system due to financial matter. If it increased number of man it would pay much money, therefore central military man who has no relevance to national finance were supplied as members of military affairs for the protection of king.

영국 왕실근위대 분석을 통한 국내 시사점 연구 (Implications from Analysis on the U. K. Household Division)

  • 방환복
    • 시큐리티연구
    • /
    • 제39호
    • /
    • pp.7-35
    • /
    • 2014
  • 이 연구는 1660년부터 지금까지 350여년이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영국 왕실근위대의 변천사와 조직구조, 임무에 관한 조사와 함께 왕실근위대 교대식과 한국 수문장 교대식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에게 시사(示唆)하는 바가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자면 입헌군주제를 유지하고 있는 영국왕실은 영국을 대표하는 상징으로써 350년 동안 왕을 호위하는 왕실근위대가 존재해왔다. 왕실근위대는 영국 육군 소속의 정규군으로 현재 2개 기병연대와 5개 보병연대를 비롯하여 왕립기마포병대 등이 하나가 되어 왕실근위사단을 이루고 있다. 이들의 임무는 크게 구분하면 왕을 호위하고 궁 경비, 국가 의식행사에 동원되는 임무 외에 최정예 부대로 전투에도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국의 왕실근위대와 한국 수문장 교대식 비교에 있어서는 왕 호위, 궁 경비 등과 전통계승 차원이라는 점에서 유사점을 찾을 수 있었고, 반면 기본적인 취지와 목적, 광관상품화 과정, 전담조직 등에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왕실근위대는 영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이미지로 잡아온 반면, 한국 수문장 교대식은 사적자료의 고증을 통한 문화재연 행사로 전통계승, 관광산업적 측면을 강조해왔지만, 세계의 유일의 독특한 왕실 호위 및 경비 문화를 전반적으로 담을 수 있는 콘텐츠로는 미흡한 점이 있어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조선전기 경복궁 궐내각사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at Gyeongbokg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이정국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5호
    • /
    • pp.63-7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闕內各司), the Government office in the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oyal palace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political space for king, living space for king and his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So first, we shoul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in the Royal Palace. Up to now we have looked at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in Gyeongbokgung (景福宮), one of the Royal Pala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There were not many Gwolnaegaksas in the early days in Gyeongbokgung. After King Sejong, some office buildings were established in that palace. King's closest guards, like as Seonjeonkwan (宣傳官), Gyumsabok (兼司僕), Naegeumwi (內禁衛) had been on duty in Sajeongjeon Haengrang (思政殿 行廊), a kind of servants' quarters. Bincheong (賓廳), a conference room of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as situated in Geungjeon Haengrang (勤政殿 行廊). There were also barracks of other palace guards in Geungjeon Haengrang. Gyeongyeoncheong (經筵廳), a place to prepare and wait, was built separately from Geungjeon Haengrang Layout drawings of Gyeongbokgung painted since the 18th century were different from document in some parts. The arrangement of the Gwolnaegaksa was assumed like as the Fig. 9.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정세와 경호조직 변천사 (A Study on the Change of Three States and Unified Silla Guard Organization History)

  • 장철원;김상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12호
    • /
    • pp.291-308
    • /
    • 2006
  • 국가의 성립과 발전에 따라 그 사회의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발생한다. 이 중 지배자는 다시 세분화되어 국왕이나 대통령 및 최고 집권자 등으로 구분되어 상대적으로 신변에 불안을 느끼게 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위해 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여러 작용이 발생하는 바, 이것을 일반적으로 경호라 한다. 따라서 경호의 시작은 왕권의 강화 내지 중앙집권화체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처음에는 군사조직이 이를 대행해 왔으나, 점차 경호업무의 세분화${\cdot}$조직화에 따라 독립적인 부서로 자리를 잡게 된다.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경호는 왕권의 강화, 영토의 확장, 중앙집권화의 확립 등에 따라 새로운 지배체제가 필요하였으며, 국와 근시집단과 시위부가 성립하여 국왕을 시위하거나 사병적 역할을 담당하는 업무를 관장하게 된다. 신라말에는 광범위한 관제개혁이 진행되어 중사성${\cdot}$선교성 등의 근시기구가 나타나며, 국왕과 태자의 시종뿐만 아니라 문한(文翰)의 업무도 장악하는 관부로 발전하게 된다.

  • PDF

고려시대 공적·사적경호의 특성과 현대경호와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and public security service of Koryo dynasty and modern security service)

  • 이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36호
    • /
    • pp.417-442
    • /
    • 2013
  • 고려건국 후 왕의 측근 친위군에 대한 제도적 정비는 성종시대에 이루어졌다. 건국 후 국가제도를 정비하는 법제의 확립과 더불어 2군 6위에 소속된 금군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금군의 핵심부대는 견룡이며, 그들은 필요에 따라 국왕의 가까운 위치에서 호위하거나 궁성을 수비하고 방어하는 부대로 성장하면서 제도적 위상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사적경호제도인 도방(都房)의 창설은 경대승이 신변 안전을 위하여 자신을 따르는 무술이 뛰어난 군졸들과 침식을 같이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경대승이 병사하고, 그의 도방도 곧 해체되었다. 최충헌은 집권 후 경대승의 도방을 부활시켜 이를 보완하고 발전시켰다. 최충헌은 그의 문하에 문무를 두루 겸비한 문객들이 많은 가운데 유능한 인물을 영입하여 군사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문신들의 조언도 받아들이며 도방의 세력을 확대하였다. 이로써 자신의 정권을 위협할 수 있는 금군의 힘을 약화시킴으로써 정치적 입지를 굳혔다. 최우의 집권 이후 6번 도방을 내외도방으로 확장, 개편하여 실질적인 도방으로 발전시켰다. 또 야별초를 창설하여 도방의 위기를 방지하는 효력도 발휘하였다. 고려시대의 공경호인 금군은 왕권이 무력화된 무신집권시대에도 그 제도는 존속되었으나, 군권을 위시한 실권은 사적경호 조직인 도방이 행사하였고 왕은 다만 상징적인 존재로 명맥을 유지하였다. 고려시대의 경호와 현대 경호를 비교해 볼 때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으나, 경호의 본질에 있어서는 경호대상자의 안전을 보장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으로는 고려시대의 충성심과 현대의 이익추구가 각각 그 특징으로 대비되며, 고려시대 경호가 무력에 의한 강압으로 다스려진 것이라면, 오늘날의 경호는 자유의지에 의한 의무와 책임감의 수행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기사계첩(耆社契帖)"의 "경현당석연도(景賢堂錫宴圖)"에 보이는 인물들의 복식 고찰 (A Study of Court Dresses Shown in Scene of the Royal Banquet Given by the King at Gyeong-hyeon-dang of Gisagyecheop)

  • 이은주
    • 복식
    • /
    • 제58권1호
    • /
    • pp.45-60
    • /
    • 2008
  • This study reports a court dress culture in 1719 shown in the Scene of a Royal Banquet given by the King at Gyeong-hyeon-dang(景賢堂) of Gisagyecheop(耆社契帖).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ing Suk-jong(肅宗) attending a Royal Banquet for members of the Hall of Elder Statement wore the Ikseonkwan decorated with flowers, red Gollyongpo, Okdae, and Heukpiwha. The Crown Prince(王世子) also wore the Ikseonkwan decorated with flowers, black Goliyongpo, Okdae, and Heukpiwha. Second, senior statesmen(耆老臣) over the age 70 wore Sarno, Heukdallyeong with a crane rank tablet, belt, and black boots. Royal family members and officers also wore Samo, Heukdallyeong with a crane or silver pheasant rank tablet, belt, and black boots. Third, Sakum(司禁) of King's body guards wore Yungbok and Muyaebyulgam(武藝別監) wore Ja-geon and the green Jikryeong. Ui-jang-gun(儀仗軍) wore Pirip and Hongui, Haengjeon, and Unhae. Saboksikwan(司僕侍官) wore Samo, Heukdallyeong, belt, black boots, and a sword. Fourth, boy dancers(舞童) wore Buyongkwan, Kwanbok, skirt, belt, and black boots. Cheoyong-dancers(處容舞童) wore outfits in fine colors, wide pants, skirt, mask with an earring, gold colored belt, and white colored sandal. Hyeopryulrang(協律郞) wore Sarno and Heukdallyeong. Jipbak(執拍) wore Morabokdu and Noksaui, and Ak-kong(樂工) wore Whawhabokdu, Hongju-ui, Ojungdae, and Heukpiwha. Singer(歌童) wore Jajeok-dugeon, nokju-ui, and jajeokdae.

현륭원(顯隆園)의 입지선정과 원침계획에서 정조(正祖)의 역할 (King Jeongjo's Role in Selecting the Site and Planning the Tomb of Hyeonryungwon)

  • 김동욱;우희중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5호
    • /
    • pp.23-37
    • /
    • 2008
  • Hyeunryungwon is a tomb for Crown Prince Sado, who was the father of King Jeongjo, the twenty second king of Joseon dynasty. The tomb had been originally in the Eastern part of Seoul, but was relocated in 1789 to the downtown Suwon, which was renowned as a good tomb site among the Royal family at that time. King Jeongjo looked through the record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for the ideal location and direction for the tomb. He personally studied Feng Shui theory and designated its location and direction. He ordered for lavish decorations for the stone adornments of the surroundings of the grave mound, which was against the regulations of the royal family. He found his reasons in the precedent that allowed sumptuous decoration. However, for the arrangements of Jeongjagahk(T shaped building) and other attached facilities, he made unusual choice that other precedent royal tombs did not have. Instead of following the conventions that Jeongjagak should be facing south of a grave mound, he put it on the right side of grave mound. Also conventionally, Subokbang(a place where guards can stay) and Suragan(a kitchen that prepares food for sacrificial rites) should be facing symmetrically, but they too, were on the same side with Jeongjagak. It was a measurement that the grave mound of Hyeunryungwon can have a full view without being obstructed by other facilities and it was also personally ordered by King Jeongjo.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Hyeunryuwon was motivated by King Jeongjo's filial affection, and his academic pursuit of precedent royal tombs initiated the unconventional and innovative challenges.

  • PDF

정조대(正朝代) 장용영(壯勇營)의 경호학적 가치 (King Jeongjo's Jangyongyoung and its Value in Terms of Security)

  • 이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28호
    • /
    • pp.131-152
    • /
    • 2011
  • 상정조대 장용영(壯勇營)은 정조 즉위 후에 신변안전(身邊安全)과 왕권강화(王權强化)를 이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 친위부대(親衛部隊)였다. 이는 경호학적 관점에서 볼 때 경호제도 발전과 호위(扈衛) 성과, 경호환경(警護環境)조성의 문화적 가치가 있다. 장용영은 조선 후기의 호위제도의 변화 속에서 정조의 정치적 개혁을 실천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합당한 제도로 거듭났다. 인조반정 이후에 역 쿠데타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호위청(扈衛廳)과 어영청(御營廳) 발족, 그리고 효종 때의 군사력 증강을 목표로 금군을 발전 시켰던 제도들은 임시변통적인 것이다. 그러나 장용영은 숙위소${\blacktriangleright}$장용위${\blacktriangleright}$장용영의 과정을 거치면서 보다 지속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제도로 거듭나 자신의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지키면서 왕권강화와 민생안정에 대한 정치적 포부를 실현하는 데 실질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친위부대로 발전하였다. 장용영의 제도에는 효율적인 조직과 운영이 내포되어 있다. 장용영 조직의 특성은 통합성, 전문성, 대규모성을 지닌 것으로서 현대경호의 특성을 드러냈다. 장용영의 군사훈련(軍事訓鍊)과 호위(扈衛)는 분리된 것이 아니었다. 호위 작용에서도 정적인 신변보호(身邊保護)와 숙소경비(宿所警備)의 임무에 충실했으며, 이에 머무르지 않고 보다 폭넓은 활동의 범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돌발 사태에도 충분히 대비하였다. 그리하여 잦은 능행과 대규모의 화성행차 및 병사들의 훈련 참관 등의 폭넓고 자유로운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장용영은 단순히 군사적 기능만을 발휘한 부대가 아니고 문화적 기능을 발휘하여 왕실과 백성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하나가 되어 왕의 행차(行次)에 참여하고 왕과 직접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왕과 병사가 하나가 된 장용영은 정조의 개혁정책을 뒷받침하는 핵심부대로서의 위용(偉容)을 보여줌으로써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국왕과 신하와 백성들이 하나가 되는 경호문화행사(警護文化行事)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 PDF

조선시대 상례행렬복식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nings of Funeral ceremony costumes in Chosun Dynasty)

  • 최해율;이순원
    • 복식
    • /
    • 제50권
    • /
    • pp.119-128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cuss the pattern of Confucian funeral ceremony and its costumes in Chosun dynasty thereby exploring the ideas and symbolic meanings expressed on them. 1. Male's official mourning dresses were composed of Choieui symbolizing sadness Choisang(최상), Dukun Sangkwan Sujil Yojil Kyodai and mourning stick Female's official mourning dresses consisted of Daersoojangkon and Kaedoo which were of simple kinds as compared to those of males. Duration of wearing mourning dreses was the longest to the death of father husband and eldest son The forms of mouring dresses were one and the same irrespective of the noble and the mean which expressed the sameness of the sorrow full of losting blood relative. Symbol expressed on funeral ceremony costumes were something like "eldestson-oriented" "male-centered" "distinction of the sexes" and "principle of yin and yang" to reinforce vitality to the costumes. 2. In the other funeral ceremony costumes in a royal fami8ly were those Euijangsu in red and blue colors Yeosakon in purple and white colors. Bandsman in Danryung and Guards in Kukonbok Changeui and Hoeui with five colors while the generally of people woere white dress in the ceremony Hoeui with five colors symbolized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costumes of military uniforms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white dresses grife symbolizing the dignity of a royal family and Confucian sorrow as well 3. Unlike the mouring dresses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relative to socio-ecpmpomic status in funeral goods for dercoration Soyeo and daeyeo Among the goods the instrument to drive out evil spirites symbolized shamanism the distinction of Soyeo and Daeyeo separation of body and soul; the sculpture of the Lord of Hades and messenger philosophy of buddhistic netherworld: the engraving of blue and yellow dragons in bier and Juksanma the principles of Yin and Yang : elaborate burial accesaries realistic viewpoint of the hereafter.

  • PDF

고려시대 왕실호위제도의 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n the Security Service for the Royal Household in the "Goryeo" Era)

  • 이성진;김의영;이종환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413-429
    • /
    • 2007
  • 고려시대의 왕실 호위라 함은 오늘날로 보면 국가원수에 대한 경호에 해당한다. 고려시대의 독특한 정치제도가 완성되기까지는 신라시대나 태봉국의 제도를 답습하여 왕의 신변을 중심으로 경호가 실행되었다. 고려의 중앙군은 2군과 6위라는 8개의 부대로 편성되었다. 2군은 6위보다 위였으며 이는 응양군(鷹揚軍)과 용호군(龍虎軍)으로서 이를 근장(近仗)이라고 불렀다. 이를 오늘날의 공경호와 관련을 지어보면 근접경호에 해당된다. 고려 귀족 사회의 안정기에 귀족문화의 전성기를 누렸으나 그 뒤로 귀족분열과 상극대립으로 중앙통제력이 약화되는 가운데 무신란이 일어나고 무신들이 집권함으로서 왕의 신변은 안정되지 못하였다. 최씨 무인집권시대에 이르러 무인집권의 안전을 위하여 도방을 설치했고 최우 시대에는 그의 문객들을 모아 사병들뿐만 아니라 정방, 서방, 등의 문신을 거느려 인사행정을 담당케 했다. 몽고에 항쟁하던 시대에는 무신통치의 군사적 기반이었던 삼별초를 중심으로 항쟁했다. 최씨 정권시대의 그들 나름의 국가관과 국가 호위의 정신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