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Origin of Stone Pagodas of the Silla Kingdo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신라석탑(新羅石塔)의 시원(始源) 고찰(考察) (An Examination on the Origin of Stone Pagodas of the Silla Kingdom)

  • 남시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2호
    • /
    • pp.154-169
    • /
    • 2009
  • 우리나라는 석탑의 나라라고 하지만 석탑이 발생하기 전에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모두 목탑을 먼저 조영하였다. 석탑은 이후 삼국시대 후반인 7세기 초반에 이르러 석재로써 목탑을 모방한 미륵사석탑이 건립되었다. 우리나라 석탑은 목탑을 모방하여 발전되었다는 데는 아무런 제론이 없다. 또 석탑의 시원을 미륵사석탑이라는 데도 어느 누구도 이론이 없다. 600년대 백제와 신라 양국의 사찰창건과 조탑은 동일한 기술자들에 의해서 조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백제에서는 석탑의 시원은 목탑에 두면서 신라에서는 석탑의 시원은 목탑에 두지 않고 전탑에 둔다는 것도 이해 할 수 없는 부분으로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필자의 견해는 신라석탑의 시원은 두 계보로 보고자 한다. 그 하나는 목탑에서 미륵사석탑과 정림사석탑을 거쳐서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으로 이어지는 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전탑에서 분황사모전석탑 - 의성탑리오층석탑 - 선산죽장동오층석탑 - 선산낙산동삼층석탑으로 이어지는 계보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석탑의 시원을 목탑에 두면서도 석탑옥개석 층급받침은 전탑 또는 고구려고분 천정에서 그 시원을 두기도 하여, 목조 공포의 약화된 표현이라는 의견과 논란이 가끔 있는데, 전탑의 층급은 같은 길이로 내밀고 있지만, 석탑 옥개받침은 처마부분을 더 많이 내미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목조건물 공포에서 변형되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백제석탑(百濟石塔)과 신라석탑(新羅石塔)의 비교론적(比較論的) 고찰(考察)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between Paekche and Silla Style Stone Pagodas)

  • 천득염;한승훈;김진숙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93-112
    • /
    • 1995
  • The wooden pagoda was first appeared in about late 4th century in Korea. And betwee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eary 7th centry, the multistoried wooden pagoda was replaced with the stone pagodas, in order to improve their stability and durability. In Three-kingdom and Unificated-Silla period, there are two types of stone stupas in Korea. The one is Paekche(百濟)style, and the other is Silla(新羅) style stone pagoda. These two styles are basically different in each part like podium, roof stone, body stone, structure and the others. Two types of stupas are distributed in two regions which devided into the East(Silla territory) and West(Paekche territory) in the Korean peninsular. The origin of the Korean stone pagoda can be traced to the Paekche dynasty and Silla dynasty. The former were the result of the careful study of their skillful wooden pagodas, where the latter were actualy originated from copying their sundried brick pagodas with stone. Two important pagodas of the primitive stage are the stone pagoda of Miruksa(彌勒寺) temple in Iksan and Bunhwangsa(芬皇寺) temple in Kyungju. These two pagoda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he style of their construction. Silla style have sharp straight lines and short distance between roof stone and eaves. They give us strong as well as intelletural feeling. Howerever, Paekche style has curved lines and dull angles of cutting area of stone, they give us soft fee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