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1st National Curriculum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 컴퓨터교육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 제7차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at School - Focused on the Seventh Common Basic National Curriculum -)

  • 김종진;문미영;김종훈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25-140
    • /
    • 2002
  •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교육정보화종합사업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7차 교육과정에서는 컴퓨터 교육을 보다 넓은 의미의 정보통신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아울러, 컴퓨터교육을 2001년부터 초등학교 1,2학년부터 주당 1시간씩 의무화하고 연차적으로 늘려갈 계획이다. 주당 1시간의 컴퓨터 의무교육과 별도로, 모든 학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0개 교과를 중심으로 교수학습과정에 10%이상 컴퓨터 활용 수업을 하도록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1∼10학년)에 나타난 학교 컴퓨터 교육과정과 정보통신기술교육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것들이 학년에 따라 계열성 있게 구성되어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해서 아동의 컴퓨터 능력 수준을 알아보고, 교사의 의견을 들어보는 등 현장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 PDF

교육과정 시기에 따른 가정교과 가족분야의 내용변천에 관한 연구 - 제1차~2007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by National Curriculum - Focus on the 1st~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 김지욱;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3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제1차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 및 가정교과서의 가족분야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가정과 교육의 가족분야 내용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제1차부터 2007개정까지 가정교과 교육과정해설서 및 총 58권의 가정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과 내용분석이며,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별 교육과정해설서를 살펴 본 결과, 가족분야의 내용은 가족생활 일부분에 대한 설명에서 시작해 후기로 갈수록 가정생활의 전 분야에 대한 내용으로 그 폭이 넓어졌다. 둘째, 교육과정별 가정교과서 내 가족분야 내용의 양적 비중은 후기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셋째, 교육과정별 가정교과서 내 가족분야 내용과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간발달의 이해'는 제3차~제6차 사이에 원론적인 내용이 강조되었고, '인간발달과정'은 초기에는 영유아기를 중심으로 제시되다가 제5차 이후 인간발달의 전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부모됨과 부모역할'은 부모역할과 책무에 관한 내용과 영유아보육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강조하였다.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의 변화'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관점의 변화가 컸고, 후기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가정의 유형이 강조되었다. '결혼과 가족발달'은 결혼에 대한 관점이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었고, 결혼을 성숙한 사랑과 책임과 연계해 설명하였다. '가족관계와 가족문제'는 최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역으로 가족 간의 화합을 위하여 의사소통과 양성평등적인 가족관을 중요시하였다. '가족복지' 영역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부각되는 영역이다.

  • PDF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날씨에 관한 내용 분석 (An Analysis of the Atmosphere and Weather Contents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 최성희;권치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5-26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the Atmosphere and Weather in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or this study,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reflecting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rom 1st to 7th were analyzed with a number of to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everal parts of the contents about Atmosphere and Weather were dealt continuously through the all of science curriculum. Atmospheric Pressure, Humidity and Atmospheric Pressure and Weather were applied at the fifth grade above continuously. And Cloud$\cdot$Fog$\cdot$Dew was applied at the third and fifth grade. Quantity of learning about Atmosphere was more than it's of Weather always. Especially, Movement of Atmosphere and Temperature Change were maintained continuously above $10\%$ of the contents about Atmosphere and Weather. Some of the detailed learning themes related Atmosphere and Weather were dealt commonly through the all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Physical Nature of Atmosphere, Atmospheric Pressure, Movement of Atmosphere, Temperature and it's Change and Cloud$\cdot$Fog$\cdot$Dew had been learned always with the experiments and practical training.

  • PDF

초등학교 ICT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Hierarchy of ICT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 김홍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9-141
    • /
    • 2006
  • 초등학교 ICT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ICT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교육과정 내용의 체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교과 교육의 정당화를 바탕으로 교과 내용의 선정 기준과 조직 원리를 탐구하였으며 개정된 ICT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이를 적용 분석하였다. 이를 학습자의 인지 발달에 따른 사고활동 과정과 결합하여 학년 간에는 교육 내용을 계열성 및 계속성의 원리에 따라 논리적으로 조직하고, 동 학년은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학습 과제를 확대하는 심리적 조직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컴퓨터 교과의 목적과 개정방향에 비추어 내용의 양과 범위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초등학교 ICT교육과정 운영 및 교재 개발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 PDF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 물리 영역을 중심으로 - (Changes and Issues Regarding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Physics)

  • 변태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217-235
    • /
    • 2022
  • 본 연구는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앞둔 시점에서 지난 몇 차례 동안의 초등학교 물리 영역에서의 교육과정 변화를 분석하고 초등 과학 교육과정의 쟁점을 논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의 변화를 분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이후 수행된 교육과정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물리교육 전공 교수 3인이 교육과정 분석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초등 물리 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내용이 축소되거나 어려운 개념들이 삭제하거나 상위 학교급으로 이동하는 형태로 변화가 이루어졌다. 과학 교육과정 쟁점은 현 교육과정의 내용 적정성과 난이도, 수학 교과와의 연계성, 누리과정과 초등 1,2학년 통합 교육 과정과 연계문제, 성취기준 서술어 문제를 다루었다.

한의과대학 학부생을 위한 보완대체의학 교육과정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Students at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 이수진;박수잔;신상우;채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5-38
    • /
    • 2008
  • Objectives : Integrative medicine in Korea is the 21st century-style medical practice of two orthodox medical doctrines,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western conventional medicine, as well a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CAM with scientific evidence should be incorporated in undergraduate curricula for the purpose of Korean integrative medicine. Methods : Items of detailed objectives, syllabi, textbooks, instructor's experiences, and effectiveness and reason for difficulty of the CAM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preference of CAM therapies and others were also evaluated. Results and Discussion : The effectiveness of this CAM class curriculum was high (8.0$\pm$1.4) enough to be used in other Oriental medical colleges. Development of ability for self-study was rated as 7.0$\pm$1.7 and the helpfulness for clinical use was marked as 6.8$\pm$1.9. Students preferred placebo, Ayurveda, aromatherapy, yoga, functional food, bio-feedback and homeopathy. The difficulty degree was 7.2$\pm$1.6, and the amount of content was suggested as the major reason for it. We also found that this curriculum can be a model for self-oriented study and problem-based learning. Discussions wer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the implemented CAM curriculum, which was shown to be very effective for the achievement of Korean integrative medicine. Conclusion : We have successfully installed a CAM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and it can be used in others.

  • PDF

전문대학(專門大學) 어업과(漁業科) 교육과정(敎育課程)의 발전적(發展的) 개정(改正)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Fishing Technology in Fisheries Junior College)

  • 정흥기;송지호;이길래;배석제;홍성근;조봉곤;이원우;장호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권1호
    • /
    • pp.1-14
    • /
    • 1989
  • The authors studied on the modification of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fishing technology in Fisheries junior college, by collecting and analyaing the references, questionaires and consultation according to the trends in industry and employment. Especially, rapid develop of the fishing technology with the modernization and automatization of fishing vessels, the present curriculum formulated in 1983 is required to be rearranged. Accordingly, the authors studied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istic curriculum which could cultivate the professional fishing engineers.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otal open credits should be 160 credits. 2. Cultural subjects are set 32credits, 20% of total open credits, but the subjects may be choosen by the situation of each fisheries junior college. 3. Major subjects are set 128 credits with 36 subjects including the 3rd year course. 4. The proportion of the compulsory to the elective credits in the major subjects are made 1 to 2. 5. Compulsory major subjects are set 29 credits with 11 subjects during the 1st and 2nd year course. Training on the board (I) and (II) are set 40 credits during 3rd year course and evaluated as pass or not. 6. The proportion of the credits of subjects concerning to fishery and navigation is made 1 to 1. 7.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utation education, the E.D.P.S. is sets 3 credits in the cultural subjects.

  • PDF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텍스트에 대한 어휘와 문장 단위의 이독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Readability of the Tex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Word and Sentence Units)

  • 강석진;고한중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549-557
    • /
    • 2014
  • In this study, the readability of the texts in the third and the sixth grade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were analyzed in terms of word and sentence units. In the word unit analyses, the levels of the words in the tex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1st to 4th levels. In the sentence unit analyses, the sentences in the texts were classified either a simple sentence or compound/complex sentences, and the average length of the sentences was also calcu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re than 90 percents of the word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ere classified as the 1st to the 3rd levels. However, both the kinds and the frequencies of the word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of those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ment in the 3rd grade science textbook was noticeable. The ratio of the compound/complex sentence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of those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The average length of the sentence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was also increased.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및 구조 개선 연구

  • 김경애;윤인경;장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79
    • /
    • 1996
  • This study proposes a model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in the 7th Curriculum Revision. The model in the study is first drawn from the assumptions that reflect ever changing demands of industrial societ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other perspective employed in the study is historical analysis that focuses on the evolution of the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a from the 1st through the 6th revision. This study also employes comparative research tools for the national level comparison such as USA, Japan, Taiwan, and Korea. The proposed model curriculum in this study is concluded from those step-by-step studies as follows:1) Problem definition and design in current curriculum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2) Needs and roles analysis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high school for the future; and 3)Historical analysis of our curriculum revisions in the past and coparative analysis with other countries. Authors conducted this research project for 3 month period from June 15, 1996 to September 15, 1996. During this period, authors collected the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those method a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and curriculum specialist conference. The key and critical features of the proposed curriculum in the study are as follows:1) In the numbers of department, a proposed model curriculum offers 8 as opposed to 6 in the 6th revision, reflecting two additional departments of “Elderly Welfare”and “Cosmotology”. 2) In the state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a model curriculum emphasizes a more concrete statement to each specific skills according to the changing societal needs. 3) In the numbers of total subject matters, there would be 40 in the new as opposed to 23 in the current curriculum. Among these changes, 17 would occurr in the newly introduced subject matters, while 11 would simply change the subject matter name. Among 40 subject matter, “Introduction to Computer” and “Home Economics in Vocational Education”would be required subject matter. 4) In the total numbers of required unit for graduation in three years, a model offers 86∼132 unit. A maximum unit for each subject matter would be 12.

  • PDF

TIMSS 2019의 4학년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the Physical Science Domains of the 4th Grade TIMSS 2019)

  • 김선경;김현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5권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