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ile sensibility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초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드 이미지 (Red Image in the Modern Fashion)

  • 김윤경;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4-210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red image in the modem fashion. 40 kinds of costume samples being visual power in red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ones: pale (Vp, Lgr, L), bright (P, B), vivid (S, B, Dp), dark (Gr, Dl, Dgr, Dk).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subjects were 50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discrimminant analysis, MD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5 factors of red image in the fashion. These factor are Attractiveness, Hardness and Softness, Emotion, Attention, Simplicity.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red tones. 3. The discrimination among 4 red tones was related to attention and weight of red. 4. Evaluative dimensions of red was classified as Soft-Hard, Lively-Decent. 5. The i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 PDF

Developing of High sense & Sensibility 2Side Warp Pile Knitted Fabrics by Appling the Construction

  • Shin, Yu-Shik;Hwang, Young-Gu;Jeong, Sung-Hoon;Jeong, Gi-Hun;Jeong, Hae-Lim;Son, Eun-Jong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0년도 제3회 국제학회
    • /
    • pp.205-206
    • /
    • 2010
  • This Study executed the newly developed warp knitted fabrics for the end of living textile materials and investigated the dyeing behavior with the change of drying temperature. There were also analysis of yarn properties in the process of dyeing and finishing. Above all,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touch and softness according to processes. So we can expect the optimum yarn and condition for the better textile goods.

  • PDF

인 화합물 처리한 폴리에스테르 DTP 매체의 날염성과 방염성 (The Prin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for DTP Media of Polyester Fabrics Treated with Phosphate Compound)

  • 김수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667-672
    • /
    • 2004
  •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abrics were treated with a silica particle and phosphate flame retardant to determine the optimum process condition of the digital textile printing(DTP) media. The treating conditions for the study were 6 conditions, from F1 to F6, in which F3, F4 and F5 were treated with mixture of both silica particle and phosphate compound in process of pad, dry and cure fixation. F6 was treated with phosphate compound only and silica particle coating successively. Xanthan gum was used to control the migration of liquid phosphate compound onto PET fabrics. The change in surface morphology of fabrics treated with silica particle and phosphate compound was observed by SEM and flame retardance was evaluated by limiting oxygen index(LOI). It was observed that F6 was the excellent flame retardance and low bleeding in printing, Collectively,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silica to cyan, magenta, yellow and black ink and flame retardance of fabrics finished with phosphate compound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의 디자인 연구 -심전도 센싱 의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Functional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 조하경;송하영;조현승;구수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67-474
    • /
    • 2010
  • 최근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기능성 의류는 동작 잡음에 의한 노이즈를 최대한 줄여 정확한 생체 신호를 측정 가능케 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향 요인별 고려 사항을 반 영하여 3-리드(lead)방식의 은사 자수의 직물 전극을 개발하고, '일자형 절개 타입', '십자형절개 타입', '엑스형 절개 타입', '곡선 엑스형 절개 타입'의 총 네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시안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 시안은 민소매형태의 남성용 티셔츠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인체 굴곡을 따라 의복과 전극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게 하였다. 각 재모듈화형 의류 타입별 인체 동작에 의한 영향과 정지 및 동작 상태에서의 심전도 센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작에 따른 전극의 변위를 측정하고, 심전도 측정 평가를 실시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반영하여 의류 디자인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연속-부착형', '삽입-분리형'의 두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의류 디자인 모형의 모듈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안전보호 기능의 산악복을 위한 유연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의 발광특성 및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Luminescent Properties and the Relevant Applications of POF-based Flexible Textile Display for Mountaineer Wear with Safe-guard Function)

  • 김진선;박수진;김유지;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4권1호
    • /
    • pp.165-174
    • /
    • 2011
  • 최근 IT 융합 기술이 글로벌 시장의 핵심 화두로 떠오르면서, 스마트 의류 분야에서도 '의류+서비스 제공(service provider)' 기능을 갖는 PSS형 제품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PSS형 제품 디자인의 일환으로서 안전보호 기능의 산악복 용도에 적합한 발광특성을 지닌 유연 광섬유 기반 직물 디스플레이의 제직구성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한 산악복 모형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직 구성, 즉 직물조직과 광섬유 밀도가 다른 총 15개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 시료를 제직하여, 이를 대상으로 각각의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발광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자직 2:1', '주자직 3:1' 및 '능직 2:1', '능직 3:1'인 경우가 안전보호 기능을 위한 산악복으로서 적용이 가장 적합한 발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광특성에 관한 분석 결과 및 최근 스포츠 패션 트렌드를 기초로 하여, 유연 광섬유 직물 디스플레이 적용 산악복 모형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 PDF

명상호흡 모니터링용 스마트의류를 위한 호흡수 측정 직물센서 연구 (A Study on the Textile Sensor Applied to Smart Wear for Monitoring Meditation Breathing)

  • 황수정;정윤원;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1권1호
    • /
    • pp.83-9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적, 신체적 힐링을 위한 명상용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명상 시 복식호흡 수를 측정함으로써, 의복을 통해 명상의 진입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ingle Wall Carbon Nano-Tube (SWCNT)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인 게이지 타입의 직물센서를 구현하고, 1차 실험으로 0.1 Hz의 주기로 복부형태의 더미를 5 cm 길이로 2분간 개폐를 반복하여 명상호흡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 참조전극인 BIOPAC과 직물호흡센서의 신호가 매우 높은 일치도를 나타냈다(p<0.001). 같은 조건으로 2차 본 실험에서 피험자 4명에게 명상호흡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배꼽점, 횡경막 부근 중심과 측면 총 4군데 위치에서 출력된 전압 값을 비교한 결과 배꼽점 중심 위치와 횡경막 측면에서 신호의 일치도가 높고, 크고 안정된 신호형태를 보여 명상호흡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위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긴 호흡주기의 명상호흡을 측정하기 위한 직물센서를 구현하고, 이 센서의 명상 호흡수 측정을 위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며, 인체 상 측정위치에 따른 호흡 수 측정효율을 비교,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The Study of Consumer Sensibility on Apparel Texture Image regarding Marketing Channels

  • Shin, Sang-Moo;Lee, Hyo-Jeong
    • 패션비즈니스
    • /
    • 제7권6호
    • /
    • pp.85-91
    • /
    • 2003
  • Quick Response based Mass-Customization can be produced and distributed customized goods and services on mass basis in apparel e-business. Because consumers cannot touch and feel the apparel products in e-business, they tend to have the negative buying behavi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factors of texture imag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onsumer sensibility on texture image of apparel products based on different marketing channels (on-line/off-line). Two types of questionnaires for on-line and off-line were used to assess consumer sensibility on apparel fabric. The 8 swatch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s. 202 returned questionnaires for each type (on-line/off-line) were analyzed by t-test,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ith SPSS 10.0.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consumer sensibility on texture image of apparel products between on-line and off-line. In case of corduroy, consumers perceived more high-class image under on-line than off-line. In case of taffeta, consumers perceived more thin and dense image under off-line (traditional marketing channel) than on-line (e-commerce). In case of denim, consumers perceived more thin and natural image under off-line than online. In case of organza, consumers perceived more natural image under on-line than off-line. In case of satin, consumers perceived more natural image under on-line than off-line. In case of chiffon, consumers perceived denser image under on-line than off-line. In case of velvet, consumers perceived thinner image, higher-class image, and more natural image of texture sensibility under on-line than off-line. In case of single jersey, consumers perceived higher-class image, and denser image of texture under on-line than off-line.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기반의 스마트 의류 기획을 위한 요인 연구 (A Study of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Based on the Consumer's Lifestyle)

  • 조하경;김진선;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11-20
    • /
    • 2010
  • 웰빙 트렌드의 도입,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IT 컨버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 연구되고 있으며, 스마트 의류의 시장 또한 세분화되어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소비자 측면의 세분화에 따른 스마트 의류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니즈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상품 기획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대, 30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의복 및 디지털 기반의 라이프 스타일은 유행 추구형, 실용적 기능 추구형, 감각적 정보 추구형의 세 가지 타입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소비자 니즈를 통한 스마트 의류의 기획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인체의 사지 동작 분석에 기반한 압전 에너지 수확 의류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ion on th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Clothes based on the Motion Analysis of the Extremities)

  • 박선형;조현승;양진희;윤대연;윤광석;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85-94
    • /
    • 2013
  • 인체의 동작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확하려는 압전 에너지 수확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를 의류에 적용하여 에너지 수확 의류를 설계하였다. 먼저, 동작에너지를 수확하는데 적합한 사지의 인체 부위를 밝히기 위해 3차원 모셥 캡쳐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엉덩이, 팔꿈치, 무릎이 적합한 부위임이 밝혀졌으며, 이 중, 움직임이 자유로운 팔꿈치와 무릎이 동작에너지 수확 부위로 도출되었다. 압전 에너지 수확 소자의 경우 의류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유연하면서도 동작에 민감하게 반응되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하였으며, 2개 소자를 적층으로 구성하여 발생하는 전력량을 높이는 새로운 방식이 제안되었다. 의류의 경우 압전 에너지 수확 부위인 팔꿈치와 무릎 부위에서 인체에 잘 밀착되면서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 구조가 요구되었으며, 이에 가장 적합한 무봉제 의류로 제작되었다. 개발된 압전 에너지 수확소자를 부착한 에너지 수확 의류를 시험한 결과 높은 전기에너지 발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체성분 측정용 스마트 의류 개발의 가능성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ealthcare Smart Clothing for Measurement of Body Composition)

  • 문희성;조현승;박선형;이주현;차기철;신선영;정효일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383-39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체성분 측정용 스마트 의류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평가함으로써 헬스케어 의류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직물 전극을 사용하여 개발된 두 가지 타입의 실험의복을 피험자에게 착용하도록 한 후 자세의 변화 및 1차 착용, 탈의 후 2차 착용에 따른 체성분을 측정한 결과, 동일 자세 내에서와 탈의 후 재착용 시에도 비교적 일관성 있는 측정치를 얻을 수 있었으며, 동일 자세에서는 의복 유형 및 반복 착용에 관계 없이 비교적 일관된 임피던스 측정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착용자의 신체 부위별 측정도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체성분 측정용 스마트 의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