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achlorocatecho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콩과 벼 현탁배양시(懸濁培養時) PCP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의 동정(同定);2. PCP glucose conjugates의 분리(分離) 및 분석(分析) (Identification of Water Soluble Metabolites of Pentachlorophenol(PCP)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and Rice Cells;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CP glucose conjugates)

  • 김필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5
    • /
    • 1996
  • 수도재배환경(水稻栽培環境) 및 현탁배양세포(懸濁培養細胞) 조건에서 생성된 PCP의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을 확인에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이를 여러 chromatography로 충분히 정제한 다음 이것의 aglycons과 glycon(전보(前報)에서 ${\beta}-glucose$ conjugates인 것으로 추정)을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Glycon, 즉 대사물의 polar부위(endocon)가 glucose임을 확인하므로써 전보에서 효소특이성을 통해 추론한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conjugates의 source에 따라 다르기는 하였지만 배양세포에서의 aglycon(exocon)s는 주로 PCP, tetrachlorophenol이성체 및 tetra chlorocatechol을, 그리고 수도재배환경에서는 이 외에도 2,4,5- 및 2,4,6-trichlorophenol을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PCP glucose conjugates의 구조는 PCP뿐만 아니라 이것의 대사물인 Polychlorinated phenols가 개별적으로 glucose와 ${\beta}-anomeric$ conjugation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사초기에 이미 여러 종류의 aglycon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PCP자체도 빠르게 PCPs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콩과 벼 현탁배양(懸濁培養) 중 PCP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의 동정(同定);3. PCP glucose conjugates의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Water Soluble Metabolites of Pentachlorophenol(PCP)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and Rice Cells;3. Identification of PCP Glucose conjugates)

  • 김필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7-178
    • /
    • 1996
  • 전보에서 대두(大豆)와 벼의 현탁배양세포(懸濁培養細胞)에서 생성된 PCP의 주요 수용성대사물은 PCP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염화페놀과 glucose간 ${\beta}-linkage$로 연결된 ${\beta}-glucoside$ 구조를 가질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njugates를 가수분해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기기적인 방법으로 그 구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Acetyl화(化) 한 glucose conjugates는 aglycones 분석에서 예상한 대로 3종류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충분히 정제한 각각의 acetyl화(化) 대사물을 FAB-MS로 분석한 결과 분자량과 aglycones part와 관련된 특징적 spectral data 등 conjugates 구조 확인에 필수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정보와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 즉 현탁배양초기에 생성된 PCP의 glucose conjugates는 ${\beta}-glucosidase$에 의해 특징적으로 가수분해되고, aglycones이 PCP 외에도 tetrachlorophenol 및 tetrachlorocatechol 등이라는 사실을 종합할 때 현탁배양에서 생성된 conjugates는 주로 pentachlorophenyl ${\beta}-D-glucopyranoside$, tetrachlorophenyl ${\beta}-D-gluco$ pyranoside 및 2-hydroxy-3,4,5,6-tetrachlorophenyl ${\beta}-D-glucopyranoside$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