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is-specific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Olfactory receptor (OR7D4 and OR1I1) expression in stallion testes

  • Kim, Junyoung;Jung, Youngwook;Jung, Heejun;Shakee, Muhammad;Yoon, Minjung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2-298
    • /
    • 2021
  • Olfactory receptors (OR)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the detection of odorant molecules. We previously demonstrated that OR7D4, an OR for androstenone, is expressed in the vomeronasal organ and olfactory epithelium tissue of stallions. Recently, the expression of OR1I1 in the human testes was reported and the possible roles of OR1I1 in the testicular cells were sugges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explore the expression of OR7D4 and OR1I1 in stallion testes, and 2) to define the specific localization of OR7D4 and OR1I1 in the testicular tissues. Stallion testicular tissue samples were used for this study. Western blo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ross-reactivity of OR7D4 and OR1I1 antibody with stallion testicular tissue samples. OR7D4 and OR1I1 gene expressions were investigat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n stallion testes. Immunofluorescence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OR7D4 and OR1I1 in stallion testicular tissues. The protein bands for OR7D4 and OR1I1 from the testes were observed at approximately 38 kDa and 43 kDa, respectively. The mRNA of OR7D4 and OR1I1 were detected in stallion testes. Immunolabeling of OR7D4 and OR1I1 in the cytoplasm of both spermatogonia and Leydig cells was observed. In conclusion, androstenone and another odorant chemical, which is recognized by OR1I1,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tallion testes.

Ginsenoside Rg3 increases gemcitabine sensitivity of pancreatic adenocarcinoma via reducing ZFP91 mediated TSPYL2 destabilization

  • Pan, Haixia;Yang, Linhan;Bai, Hansong;Luo, Jing;Deng, Y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636-645
    • /
    • 2022
  • Background: Ginsenoside Rg3 and gemcitabine have mutual enhancing antitumor effects.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s are not clear. This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ginsenoside Rg3 on Zinc finger protein 91 homolog (ZFP91) expression in pancreatic adenocarcinoma (PAAD) and their regulatory mechanisms on gemcitabine sensitivity. Methods: RNA-seq and survival data from The Cancer Genome Atlas (TCGA)-PAAD and Genotype-Tissue Expression (GTEx) were used for in-silicon analysis. PANC-1, BxPC-3, and PANC-1 gemcitabine-resistant (PANC-1/GR) cells were used for in vitro analysis. PANC-1 derived tumor xenograft nude mice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ginsenoside Rg3 and ZFP91 on tumor growth in vivo. Results: Ginsenoside Rg3 reduced ZFP91 expression in PAAD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ZFP91 upregulation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shorter survival of patients with PAAD. ZFP91 overexpression induced gemcitabine resistance, which was partly conquered by ginsenoside Rg3 treatment. ZFP91 depletion sensitized PANC-1/GR cells to gemcitabine treatment. ZFP91 interacted with Testis-Specific Y-Encoded-Like Protein 2 (TSPYL2), induced its poly-ubiquitination, and promoted proteasomal degradation. Ginsenoside Rg3 treatment weakened ZFP91-induced TSPYL2 poly-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Enforced TSPYL2 expression increased gemcitabine sensitivity of PAAD cells and partly reversed induced gemcitabine resistance in PANC-1/GR cells. Conclusion: Ginsenoside Rg3 can increase gemcitabine sensitivity of pancreatic adenocarcinoma at least via reducing ZFP91 mediated TSPYL2 destabilization.

자연산 산삼 증류약침의 혈맥주입 전.후 혈장의 Proteom 분석 (Analysis of Serum proteom before and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 강태식;이선구;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5-25
    • /
    • 2004
  • Objectives : To observe changes in the serum proteins before and after intravenous injection of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Methods : Blood was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and only the serum was centrifuged. Then differences in the spots on the scanned image after running 2-Dimensionl electrophoresis were located and conducted mass analysis and protein identification. Results :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erum proteins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1. 28 spots were identified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2. In confirming manifestation degree, spots with more than two-times increase were 204, 803, 1505, 2205, 3105, 7104, 9001 spots, with more than one-time increase were 1101, 1302, 2013, 3009, 3010, 4002, 4009, 6706, 7103, 8006, 8101, and spots with decrease were 205, 801, 3205, 5202, 6105. 3. After conducting protein identification, proteins 205, 804, 1302, 4009, 6105, 6106 are unidentified yet, and 1101 is unnamed protein. Protein 204 is identified as complement receptor CR2-C3d, 801 as YAP1 protein, 803 as antitrypsin polymer, 1505 as PRO0684, 2013 and 3010 as proapolipoprotein, 2205 as USP48, 2403 as vitamin D binding protein, 3009 as complement component 4A preprotein, 3105 as immunoglobulin lambda chain, 3205 as transthyretin, 4002 as Ras-related protein Ral-A, 4204 as beta actin, 5202 and 7104 as apolipoprotein L1, 6704 as alpha 2 macroglobulin precursor, 7103 as complement component 3 precursor, 8006 as testis-specific protein Y, 8101 as Transferrin, 9001 as(Alpha-Oxy, Beta-(C112g)deoxy) T-State Human Hemoglobin, and 9003 as human hemoglobin. 4. Immune protein CR2-C3d, which acts against microbes and pathogenic organisms, and Antitrypsin(803), which is secreted with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lungs, were increased by more than 200%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5. Immunoglobulin lambda chain(3105), Alpha-Oxy, Beta-(C112g)deoxy T-State Human Hemoglobin(9001), and human hemoglobin(9003) were increased by more than two-tim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6. Proapolipoprotein(2013, 3010) and apolipoprotein(7104), key components of the HDL-cholestero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arteriosclerosis, were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7. Vitamin D binding protein(DBP, 2403), protecting the lung at the time of inflammatory response, was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8. Transthyretin(TTR, 3205), which is the main protein causing familial aimyloid polyneuropathy(FAP), was de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9. Ras-related protein Ral-A(4002) that controls phospholipid metabolism, cytoskeletal formation, and membrane traffic, was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10. Testis-specific protein Y(8006), which takes part in determination of the gender, was increased by more than two-tim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11. Transferrin(8101), T-State Human Hemoblobin(9001), and Human Hemoblobin(9003) which balances the iron level in the body, were increas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herbal acupuncture. Conousion : Abov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intravenous injection of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induce changes in serum proteins and this research can be a pioneer work in finding biomarkers.

Rat 바닐로이드 수용체 TRPV1과 Rab11-FIP3의 특이적 결합 (Specific Interaction of Rat Vanilloid Receptor, TRPV1 with Rab11-FIP3)

  • 이순열;김미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2-317
    • /
    • 2011
  • 캡사이신 채널로 알려진 바닐로이드 수용체 TRPV1 (캡사이신채널,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은 통증발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TRPV1의 활성조절에 관여하는 단백질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최근 rat TRPV1과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단백질을 탐색하여 mouse Rab11-FIP3 (rab11-family interaction protein 3)가 rat TRPV1과 직접적으로 결합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Rab11은 여러 가지의 세포내 이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Rab11-FIP3과의 결합을 통해 TRPV1의 세포막으로의 이동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에 보고된 연구가 mouse와 rat 이라는 다른 종의 단백질끼리의 결합이기 때문에 같은 종에서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Rab11-FIP3의 TRPV1의 세포막으로의 이동에서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현재까지 동정되지 않은 rat의 Rab11-FIP3의 유전자를 GenBank 서열을 바탕으로 rat 뇌의 RNA 로부터 cDNA 를 클로닝하여 유전자를 분리하고 TRPV1 과의 관계를 세포생물학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rat의 Rab11-FIP3는 489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고 있으며 human과는 80%, mouse와는 90% 이상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을 보였다. 조직별 분포는 심장, 뇌, 간, 콩팥, 정소에서 발현되고 있는 것을 northern blot assay와 western blot assay 로 확인하였다. rat 의 뇌조직에서 TRPV1 과 Rab11-FIP3 단백질이 결합하여 colocalize 하는 것을 면역화학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이 결합은 같은 family 의 TRPV2 와는 결합하지 않는 특이적 결합이므로 Rab11-FIP3 가 TRPV1 과 상호작용하여 세포막으로의 이동에 관여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생쥐 태아 및 성체 조직에서의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Gene during Fetal Development and Adult in Mice)

  • 손태종;김남근;이숙환;한세열;고정재;박찬;이우식;이찬;이용희;차광열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101-105
    • /
    • 1999
  • N-Methylpurine-DNA glycosylase (MPG)는 DNA에서 N-methylpurine과 다른 손상된 purine기를 제거하는 DNA 회복 효소이다. 생쥐의 임신 8일 후의 태아조직부터 생후 400일까지의 조직들로부터 RT-PCR 방법으로 MPG mRNA 발현을 조사하였다. MPG mRNA는 태아 형성기동안 많은 양이 발현되었으며, 특히 15일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다. 태반에서의 MPG mRNA는 8 p.c. (post coitum)부터 18 p.c. 까지 계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태아 형성기의 뇌와 간 조직에서 높은 mRNA 발현을 보였으나, 400일 되는 성체에서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부정소, 정낭, 정소, 정관, 난소, 난관 그리고 자궁 등의 생식기관에서의 MPG mRNA는 비교적 높게 발현되었고, 그들 중 부정소에서의 발현 정도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MPG 유전자는 태아 발생단계 및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간 조직에서 Heat Shock Protein A2 (HspA2) 단백질의 발현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HspA2 in Human Tissues)

  • 손원영;황서하;한징택;이재호;최윤정;김석중;김영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225-230
    • /
    • 1999
  • In mouse, the heat shock protein 70-2 (hsp70-2) is found to have special function in spermatogenesis. Based on the observation, the hypothesis that human hspA2 (human gene; 98.2% amino acid homology with hsp70-2) might have important function in spermatogenesis in human testes was proposed. To test the hypothesi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hspA2 in human tissues. Expression vector pDMC4 for expression of the human hspA2 protein using pTricHisB (invitrogen, USA) was constructed and the expressed hspA2 protein was cross-reacted with antiserum 2A raised against mouse hsp70-2 protein. Based on the cross-reactivity, we determined the expression level of hspA2 protein in human tissues by western blot analysis using the antiserum 2A. We demonstrated that antiserum 2A antibodies detected human hspA2 protein with specificity which was produced in the E.coli expression system. On Western blot analyses, significant hspA2 expression was observed in testes with normal spermatogenesis, whereas a low level of hspA2 was expressed in testis with Sertoli-cell only syndrome. Also, a small amount of hspA2 was detected in breast, stomach, prostate, colon, liver, ovary, and epididymi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spA2 protein is highly expressed in male specific germ cells, which in turn suggests that hspA2 protein might playa specific role during meiosis in human testes as suggested in the murine model.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attempted to determine the function of hspA2 protein in human spermatogenesis.

  • PDF

EGFP 유전자가 도입된 반수체 정자세포에 의한 형질전환 설치류 난자의 생산 (Production of Transgenic Murine Embryos using Haploid Spermatids Transfected with EGFP Gene)

  • 강기예;송상진;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5-315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외래 EGFP 유전자를 분화이전의 웅성생식세포에 도입한 후 이를 난모세포내에 미세주입하여 형질전환동물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반수체 정자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생쥐의 mTP1과 햄스터의 hPrm2 유전자 발현 시기를 RT-PCR로 조사한 결과 그시기는 생쥐와 햄스터에서 각각 18일령과 20일령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외래 유전자의 침입이 용이한 감수분열 직전단계인 17일령의 생쥐와 19일령의 햄스터 정자세포를 EGFP 유전자가 포함된 배양액에 부유시킨 다음, 전기자극을 부여한 결과 0.18 ㎸/cm의 전기자극을 가한 후 72시간 배양한 정자세포의 28.5%와 32.1%에서 EGFP 유전자가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GFP유전자가 도입된 반수체 정자의 수정 및 발달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들 정자세포를 햄스터 난자 내에 미세주입 하였으나, 형광현미경하에서는 EGFP유전자의 발현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이에 이들 난자를 공시하여 PCR분석을 실시한 결과, 약 44%의 수정란에서 EGFP 유전자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반수체 정자세포는 외래 유전자를 난자 내에 도입하기 위한 운반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폐암환자의 유도 객담에서 MAGE의 발현 (Expression of MAGE in the Induced Sputum of Lung Cancer Patients)

  • 육동승;신호식;최바울;김지혜;신성훈;옥철호;조현명;장태원;정만홍;박종욱;전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65-274
    • /
    • 2002
  • 배 경 :종양 특이 항원인 MAGE 유전자는 여러 종류의 암조직에서 발현되지만 정상조직에서는 고환의 생식 세포를 제외하고는 발현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MAGE 유전자의 암 특이적 발현을 폐암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유도객담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30명, 대조군으로 기타 폐질환 환자 14명에서 얻은 유도객담을 3cc의 보존제(guanidinium isothiocyanate, Triton X-100)와 잘 섞어 냉장보관 후 당일 MAGE A 1-6를 동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고안된 2종류의 primer(MAGE common primer C1/C2, C3/C4)를 이용하여 nested PT PCR를 실시하여 MAGE 유전자의 발현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 과 : MAGE common primer를 이용한 nested RT-PCR에서 폐암환자 30 명 중 24명 (80%)에서 MAGE가 양성으로 발현되었고 대조군에서는 전례에서 발견되지 않았다(p=0.001). 편평세포암 17례 중 13례(76.5%), 선암 9례 중 7례 (77.8%)에서 소세포암은 4례에서 모두 MAGE 양성이었으며 각 군간에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0.56). MAGE양성인 환자 24명 중 약 반수인 11 명에서는 기관지 내시경검사에서 육안적으로 종양 병변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였다. 결 론 : 유도객담에서 MAGE 유전자는 암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높은 빈도의 발현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객담을 이용한 MAGE 검사법이 폐암의 검색, 조기진단 그리고 치료 후 경과 관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환림프종의 초음파검사 및 자기공명영상 소견 (Ultrasonographic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of Testicular Lymphoma)

  • 조재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7권2호
    • /
    • pp.105-112
    • /
    • 2010
  • 병리조직학적으로 고환림프종으로 확진된 예들의 초음파검사 및 자기공명영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다른 고환종양과 구분할 수 있는 소견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적 절제에 의해 확진된 7예와 초음파-유도하 조직생검으로 확진된 1예 등 총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종괴의 크기와 위치, 고환 이외에 침범된 장기를 조사하였고, 초음파검사에서는 종괴의 모양과 경계, 종괴 내부의 에코, 균일도와 함께 색도플러검사에서의 혈관분포상태를 조사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이 시행된 4예를 대상으로 종괴의 모양과 경계, 균일도, T1-및 T2-강조영상에서의 신호강도 및 조영증강 여부와 시간에 따른 조영증강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환에 국한되어 있었던 경우는 2예에 불과하였고, 4예는 정삭을, 4예는 대동맥주위림프절을 침범하고 있었다. 초음파검사에서 종양의 외연은 6예에서 평활하였고 종괴의 에코는 7예에서 정상 고환 보다 저에코로 보였다. 4예는 균일하였고, 3예는 전반적으로는 균일하였으나 약간 불균일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었고, 1예는 불균일하였다. 8예 모두에서 주변의 정상 조직보다는 현저하게 혈관분포상태 (vascularity)가 증가되어 있었다. 자기공명영상 T1-강조영상에서는 정상 고환과 유사한 신호강도로, T2-강조영상에서는 현저한 저신호강도로 관찰되었고 대체로 균일하였다. 조영 후 검사에서는 4예 모두 정상 고환 조직보다는 저신호강도로, 약하게, 균일하게 조영증강되었는데, 역동적 조영증강 검사가 시행된 1예에서는 시간이 감에 따라 점차 조영증강이 증가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50세 이상의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고환 종괴가 관찰되고, 초음파 검사에서 균일한 저에코로, 자기공명영상 T2-강조영상에서 균일한 저신호강도로 관찰될 때에는 고환림프종의 가능성을 가장 먼저 고려하여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배양중인 흰쥐 뇌하수체 전엽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의 영향 (Effect of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Cells Derived from Rat Anterior Pituitary Gland)

  • Lee, Su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237-242
    • /
    • 2000
  • 흰쥐 시상하부에서 합성ㆍ분비되어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growth hormone (GH) 분비를 촉진하는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GHRH)이 시상하부 이외 조직들 (extrahypothalamic tissues)인 태반, 생식소, 그리고 뇌하수체 전엽에서도 발현됨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 발현되는 GHRH의 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i)세포 배양을 시행하면서 GHRH의 세포내 함량, 분비 그리고 세포분획법 (cell-fractionation)을 사용하여 분리한 뇌하수체 세포 유형별로 GHRH 함량을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조사하였고, ii)체외배양 중인 뇌하수체 전엽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GHRH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3$H] thymidine incorporation assay를, 그리고 iii) GHRH의 세포분열 촉진 효과와 세포내 c-fos 유전자 발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north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GHRH 방사면역측정법을 시행한 결과 상당량의 GHRH-like 분자들이 흰쥐 뇌하수체 전엽내에 존재하고, 체외 세포배양시 분비됨을 관찰하였다. 세포분획을 사용한 실험에서 GHRH 함량은 gonadotrope, somatotrope, lactotrope 그리고 thyrotrope 순으로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 생성된 GHRH가 국부적인 조절인자, 특히 상이한 유형의 세포들 간의 상호조절 (cross-talk)을 통해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세포분열과 분화, 그리고 기능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GHRH는 체외 배양중인 뇌하수체 전엽세포의 [$^3$H] thymidine incorporation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GHRH의 세포분열 촉진 효과는 예상대로 세포내 oncogene 활성 의 증가를 통해 일어나는 것임을 c-fos north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흰쥐 뇌하수체 전엽에서 합성되는 GHRH가 paracrine 또는 autocrine 기작으로 GH의 분비 촉진 이외에도 세포분열의 조절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