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icular cycl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생식주기에 따른 Androgenic Gland의 조직학적 변화 (Histological Changes of Androgenic Gland According Reproductive Cycle in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1849))

  • 김대현;강정하;이재용;정지현;김병기;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3-258
    • /
    • 2002
  • Androgenic gland는 대부분의 수컷 연갑류의 제1, 2차 성징의 분화와 성적행동을 유발시키는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식소지수와 정소 및 AC의 조직학적 조사결과, 본 종에서 정자형성이 활발히 일어나는 시기는 5$\~$7월이며 8월부터는 대부분의 개체에서 정자형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종의 수컷은 5월에서 7월이 성적으로 가장 활발하며 이 시기에 AG는 increased secretory activity를 나타내는 여러 징후를 보인다.

Expression of Cyclin D3 Transcripts in the Postmeiotic Male Germ Cells of the Mouse

  • Sun, Woong-Sun;Geum, Dong-Ho;Choi, Wan-Sung;Kim Kwon, Yun-Hee;Rhee, Kun-Soo;Kim, Kyung-Ji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95-500
    • /
    • 1998
  • D-type G1 cyclins are known to be crucial for the progression of mitotic cell cycle in mammal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elucidate the roles of D-type cyclins, it is largely unknown whether D-type cyclins are directly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meiotic germ cell development.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D-type cyclins (cyclin D1 and D3) during male germ cell development by northern blot and in situ Hybridization analyses. In the adult testes, we detected a 4.2 kb cyclin D1 mRNA and two different sizes (2.3 kb and 1.8 kb) of cyclinD3 mRNAs. The short form of the cyclin D3 transcript was testis-specific. Along with the testicular development, expression of cyclin D3 mRNA was increased whereas cyclin D1 mRNA was gradually decreased. in situ hybridization study also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cyclin D3 was restricted to the postmeiotic germ cells. Furthermore, the 2.3 kb transcript was highly expressed in the round spermatids and decreased in the elongated spermatids/residual bodies, while the 1.8 kb transcript was expressed in elongated spermatids/residual bodies more abundantly. Sucrose-gradient separation of polysomal RNA fractions demonstrated that some portions of the 2.3 kb transcript are translationally active, while the 1.8 kb transcript is likely to be inactive. Taken together, the present data suggest a functional importance of cyclin D3 expression in the differentiated postmeiotic male germ cells.

  • PDF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체외수정시술 결과의 비교 (Effect of Testicular Histopathology on Pregnancy Outcomes in Non-Obstructive Azoospermia)

  • 박찬우;서주태;박용석;김혜옥;양광문;김진영;궁미경;강인수;송인옥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4호
    • /
    • pp.293-301
    • /
    • 2008
  • 목 적: 비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서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Testicular sperm extraction, TESE)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 (Intracytoplsmic sperm injection, ICSI)의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비폐쇄성 무정자증으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하여 배아 이식을 시행한 122주기를 분석하였다.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Germ-cell aplasia (GA, 40주기), Maturation arrest (MA, 32주기) and severe hypospermatogenesis (S-HS, 50주기)로 구분하여 체외수정시술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들 결과를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한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체외수정시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 후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시 수정율은 각각 58.1% in GA, 42.2% in MA and 48.0% in S-HS로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의 72.9%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정율을 보였다 (p<0.001).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시 채취된 정자 (spermatozoa, 94주기)로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배아 이식 후 임신율은 각각 22.6% in GA, 29.4% in MA와 26.1% in S-HS이었으며, 출생률은 각각 16.1%, 29.4%와 19.6%로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정자세포 (spermatid, 16주기)를 사용하여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임신율은 각각 0.0% (0/3 주기), 9.1% (1/11주기)와 0.0% (0/2주기)이었으며, 출생률은 각각 0.0%이었다. 정모세포 (spermatocyte, 12주기)를 사용한 주기의 임신율은 각각 0.0% (0/6주기), 0.0% (0/4주기)와 0.0% (0/2주기)이었으며, 출생률도 각각 0.0%이었다. 결 론: 비폐쇄성 무정자증환자의 배아이식을 시행한 주기에서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른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시 수정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폐쇄성 무정자증 환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정율을 보였다. 비폐쇄성 무정자증환자에서 고환조직내 정자채취술시 정자를 채취하여 난자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시행한 주기의 체외수정시술 결과는 고환의 조직병리학적 진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한국산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Venus Clam, Protothaca jedoensis(Bivalvia: Veneridae) in Korea)

  • 김정;윤호섭;라성주;문성용;서호영;최규정;최상덕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45-255
    • /
    • 2002
  • 한국산 살조개 (Protothaca jedoensis)의 새로운 산업화 양식품종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 9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주로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생식소의 발달과정과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살조개는 자웅이체로서, 생식소는 해부학적으로 소화맹낭과 족부근육 사이에 위치하였다. 난소와 정소는 각각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비만도는 2월에 20.6로 가장 높았으며 8월에 최소값 (9.6)을 보였다. 군성숙도의 경우, 생물학적 최소형은 각 장 38.4 mm로 나타났다. 성숙한 난모세포의 크기는 $50-60\mu{m}$였으며, 성숙기의 정소에서 정소란이 관찰되었다. 살조개의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2-2월), 후기 활성기 (1-4월), 완숙기 (3-7월), 부분 산란기 (6-8월), 퇴화 및 비활성기(7-l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쭈굴감펭 (Scorpaena miosfoma)의 생식소 구조 및 생식주기 (Gonad Structure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Smallmouth Scorpionfish, Scorpaena miostoma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강주찬;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27-633
    • /
    • 1997
  •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부산 수영만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쭈굴감펭, Scorpaena miestoma의 생식소 구조, 생식세포의 발달 및 생식주기 등이 광학현미경 조직표본을 기초로 연구되었다. 정소의 내부조직상은 다수의 곡정세관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곡정세관은 여러개의 소낭 구조를 가지는데 각 소낭내의 생식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난소내부는 난소외막으로 부터 시작된 여러장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원세포는 난소박판의 내부상피에서 유래하며, 난모세포로 성장하면서 난소강쪽으로 돌출되어 난병에 의해 난소박판에 연결된다. 생물학적최소형은 암${\cdot}$수 모두 전장 12.5cm로 조사 되었다. 생식소숙도지수는 암 (3.81)${\cdot}$수(0.23) 모두 10월에 연중 최고치를 나타냈다. 암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5\~8$월), 성숙기 ($9\~10$월), 완숙 및 산란기 ($11\~12$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 ($1\~4$월)로 나눌 수 있다. 수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6\~8$월), 성숙기 ($9\~10$월), 완숙 및 방정기 ($11\~l$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 ($2\~5$월)로 나눌 수 있다.

  • PDF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의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Gomphina melanaegis (Bivalvia; Veneridae))

  • 이정용;박영제;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98-203
    • /
    • 1999
  • 1996년 4월부터 1997년 4월까지 강원도 주문진 연안에서 채집한 민들조개 (Gomphina melanaegis)의 생식소 발달과정과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민들조개는 자웅이체로서, 생식소는 소화맹낭과 족부 근육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난소와 정소는 각각 수많은 난소소낭과 정소세관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육중량비는 1994년 8월에 $23.0\%$로 가장 높았으나 9월에 $19.8\%$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이듬해 3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인 후 다시 증가하였다. 성숙기의 난모세포 크기는 $50\~60\mu$m로 전자밀도가 높은 인을 가진 핵이 이중의 단위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포질에는 다량의 난황과립과 지방과립 및 미토콘드리아가 분포하였다. 민들조개의 정자는 머리, 중편 및 꼬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치밀한 핵질로 충만한 원추형 머리는 그 선단에 첨체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중편부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와 원단중심소체가 편모와 연결되어 있었다. 꼬리의 편모는 전형적인 9+2 구조를 나타냈다. 암수의 성비는 1 : 0.79였고, 생물학적 최소형은 각장 25.0 mm였다.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12$\~$3월), 성장기 (4$\~$5월), 성숙기 (6월), 산란기 (7$\~$8월) 및 휴지기 (9$\~$11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되었다.

  • PDF

불볼락(Sebastes thompsoni)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Goldeye Rockfish, Sebastes thompsoni (Teleostei: Scorpaenidae))

  • 이정식;안철민;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16
    • /
    • 1998
  • 1995년 1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경남 삼천포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불볼락의 성숙 및 생식주기를 주로 조직학적 방범에 의해 연구하였다. 난소내부는 난소외막으로부터 시작된 여러겹의 난소박판으로 구성되며 이곳에서 난원세포가 유래한다 난모세포는 성장하면서 난소박판 내부에서 부터 난소강쪽으로 돌출되어 난병에 의해 난소박판에 연결된다. 정소의 내부조직상은 다수의 정세관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정세관은 여러개의 소낭구조를 가지는데 각 소낭내의 생식세포들은 같은 단계의 발달상태를 보인다. 생물학적 최소형은 암컷은 전장 19.5cm, 수컷은 전장 21.5cm이다.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3월에 9.56으로 연중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8월에는 0.15로 최저치를 나타냈다. 수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2월에 0.25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 7월에는 0.04로 연중 최저치를 나타냈다. 생식주기는 암컷은 성장기 ($10\~11$월), 성숙기 ($12\~2$월), 임신기 (3월), 출산 및 회복기 ($4\~6$월) 그리고 휴지기 ($7\~9$월)로 나눌 수 있다. 수컷의 생식주기는 성장기 ($9\~11$월), 성숙기 ($12\~1$월), 완숙 및 교미기 ($2\~3$월) 그리고 퇴화 및 휴지기 ($4\~8$월)로 나눌 수 있다.

  • PDF

소라, Turbo cornutus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TOPSHELL, TURBO CORNUTUS SOLANDER)

  • 이주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25-134
    • /
    • 1980
  • 1979년 3월부터 1980년 2월까지 울산 근해에서 채포 수집한 소라, Turbo cornutus를 대상으로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직학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1. 소라의 생식소는 패각내 후반부의 표면에 위치하고, 난소와 정소표면은 2층의 피막으로 덮혀 있는데 외층은 단층원주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단층원주상피상에는 입방형 혹은 원주형의 점액선세포가 존재한다. 상피세포층의 내층에는 체섬유와 근섬유로 구성된 섬유성피막으로 되어있으며 이 섬유층에서 기원하여 간중장선쪽으로 뻗어나온 소엽상피상에서 시원생식세포들이 형성된다. 2. 난소소엽상피 및 정소소엽상피상에는 eosin에 강하게 염색되는 과립성세포와 미분화간충직들이 영양세포로 관여하고 있으며 이들은 생식소가 발달함에 따라 감소한다. 3. 초기분열증식중인 난원세포는 $10\mu$내외이고 핵은 뚜렷한 인을 가지며 그 크기는 $8\mu$전후이다. 세포질이 점차 충만되면서 그 크기가 $50~60\mu$로 되면 난모세포들은 포도송이 모양으로 난소소엽에 부착한다. 완숙난의 크기는 $180\~210\mu$이며 $10\mu$내외의 gelatin 상피막에 싸여 있다. 4. 방란${\cdot}$방정을 끝낸 생식소는 일부 미방출된 난과 정자의 퇴화흡수가 일어남과 동시에 외측 섬유성 피막으르부터 새로운 소엽상피들이 발달하며 새로운 생식세포를 형성하기 시작한다. 5. 생식조기는 분열증식기, 성畏장기, 성숙기, 방출기 그리고 회복기등의 연속적인 조기로 구분 할 수 있었다. 6. 산란기에는 8월에서 11월까지로 주산란기는 9월부터 10월이었다. 7. 산란기는 지역별 다소 차이 나타내나 거의 수온 $20^{\circ}C$에 전후에 산란성기를 이루고 있어 산란은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 같다.

  • PDF

맛조개, Solen strictus와 붉은맛, Solen gordonis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tive Cycle of the Jackknife Clams, Solen strictus and Solen gordonis)

  • 정의영;김형배;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3-574
    • /
    • 1986
  • 한국산 맛조개류 중 가장 다산되며, 식용되고 있는 맛조개와 붉은맛을 대상으로 생식세포형성과정, 난경조성변화, 생식년주기, 군성숙도등을 조사하였다. 1. 맛조개와 붉은맛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다. 생식소는 내장낭에서부터 족부의 근육결체섬유층 사이에 수지상 소낭 및 소엽으로 구성 분포하고 있다. 2. 분열증식중인 난원세포는 $10{mu}m$내외의 크기로 핵과 단일인이 뚜렷하고, 초기의 난모세포는 난병을 형성하여 생식상피위에 부착한 채 직접 영양을 흡수하는 한편 부분화간충직과 호산성과립세포들이 성장에 관여하고 있다. 성숙난모세포는 내강내에 유리되며 나오며 완숙난의 크기는 맛조개는 $80{\sim}85{\mu}m$정도이고 붉은맛은 $80{\sim}90{\mu}m$이다. 3. 정소소엽 상피위에는 정원세포, 정모세포, 정세포 및 변태한 정자 순으로 내강을 향하여 층상배열을 하며 성숙발달해 간다. 4. 방난, 방정을 마친 생식소는 퇴화되면서 조직이 완전 해체되어 휴지기상태를 거치고 이듬해 새로 분화된 조직이 재배치 되면서 새로운 성장을 하게된다. 5. 생식소의 발달단계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성숙기, 방출기, 퇴화 및 휴지기등의 연속적인 연주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6. 맛조개의 산란기는 다대포산이나 군산산 공히 환경수온이 $20^{\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6월부터 시작하여 $25^{\circ}C$ 이하인 7월까지 산란이 지속되는데 이들의 주산란기는 다대포산은 6월이고, 군산산은 7월이다. 그리고 붉은맛의 산란기는 $5{\sim}6$월이며 주산란기는 6월이다. 7. 맛조개의 경우, 다대포산이나 군산산맛조개의 군성숙도가 $50\%$를 넘는 개체는 암수 공히 각장이 $5.1{\sim}6.0cm$인 개체들이었으며, 암수 전개체가 방난, 방정하여 재생산에 $100\%$ 참여하는 개체의 크기는 각장이 $7.1{\sim}8.0cm$이상인 개체들이었다.

  • PDF

Effect of rc Mutation on Semen Characteristics, Spermatogenic Tissues and Testosterone Profile in Blind Rhode Island Red Cockerels

  • Arshami, J.;Cheng,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5호
    • /
    • pp.701-705
    • /
    • 2007
  • Seven rc mutant and seven normal male birds (Rhode Island Red suie, RIR) were us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c mutation on semen characteristics, testosterone profile and spermatogenic tissues. All birds were randomly selected at week 12 of age and housed in individual cages and were fed and watered ad libitum. The birds were exposed to a 14L:10D light cycle during experiment. Semen were collected at weeks 22 to 23 from each bird twice a week and evaluated for semen volume (SV), sperm concentration (SC), total sperm count (TSC), percent of sperm motility (%SM), dead sperm (%DS), and sperm metabolic activity (SMA). To determine the testosterone concentration (TC) in plasma, blood was collected at weeks 12, 16 and 18. Testicular tissue were collected, processed and evaluated for semineferous tubule diameter (STD), round spermatid number (RSN), percent elongated sperm (%ES) and semineferous tubules length (STL). Body weight (BW), comb weight (CW) and testes weight (TW) were weighted at the end of experiment (week 23). The SV, TSC and %S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birds but the %DS was higher in blind birds (p<0.05). The SC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but its value was higher in normal birds. The sperm metabolic activity in the first h of collec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but after 24 h, the level of SMA in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e level of TC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enotype groups but normal birds had higher TC in all collections except the last one. The STD, RSN, %ES and STL in normal birds were higher when compared to blind birds but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except for ES percent. The BW, CW and TW between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ut the weights were higher in normal group compared to blind birds. Statistical analysis of semen characteristics, testosterone profile and histological factors were indicated detrimental effects of rc mutation in prepubertal RIR blind male birds due to lack of 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