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mandibular join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경두개촬영 및 Polytome-U 촬영에서의 하악과두위 비교 (Comparison of Condylar Position in Transcranial Radiography and Polytomography from Polytome-U)

  • 나경수;조봉혜
    • 치과방사선
    • /
    • 제28권2호
    • /
    • pp.329-338
    • /
    • 1998
  • The authors examined the condylar position and shape of condylar process from the transcranial radiographs and polytomographs of the 130 temporomandibular joints of 65 patients who complaine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the followings were obtained; 1. The age and sex distribution of the 65 patients showed peak incidence in 2nd decade (27.7%) followed by 3rd (18.5%) and 4th decade (18.5%) and female predominance (87.7%). 2. In polytomography 64 joints (49.2%) showed consistent condylar position from lateral to medial and 39 joints (30.0%) of them showed agreement with those of transcranial radiographs. Among the 66 joints (50.8%) which showed changes in condylar position. 48 joints (36.9%) showed agreement with lateral and central tomograph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ic position. 41 joints (31.5%) showed disagreement in condylar position between the polytomograph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ic images. 3. When the condylar position was classified as anterior, central and posterior. the posterior position was the most frequent position, that is . 42.3% of the transcranial radiography and 42.3%.49.2% and 38.5% of the lateral, central and medial polytomographic radiographs. 4. In polytomography 84 joints (64.6%) showed consistent condylar shape from lateral to medial and 74 joints (56.9%) of them showed agreement with those of transcranial radiographs. Among the 46 joints (35.4%) which showed changes in condylar shape. 40 joints (30.1%) showed agreement with lateral and central tomograph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ic shape. 41 joints (31.5%) showed disagreement in condylar shape between the polytomographic and transcranial radiographic images.

  • PDF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의 측두하악부 관절-근육통의 양상 (Pattern of Pain on Temporomandibular Joint-Muscle Area in Tension-type Headache Patients)

  • 오병섭;어규식;홍정표;전양현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1호
    • /
    • pp.113-120
    • /
    • 2007
  • 일반적으로 긴장성 두통환자는 측두하악부위의 관절통 보다는 근육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관절통과 근육통이 함께 나타나는 관절근육통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다. 따라서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 측두하악부의 관절통과 근육통의 임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정기간 내원한 환자 중 국제두통학회에서 제시한 긴장성 두통 진단기준에 따라 긴장성 두통으로 진단된 167명 중 관절통 환자 18명, 근육통 환자 50명 그리고 관절통과 근육통이 함께 있는 관절근육통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이를 통계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관절통군, 근육통군 그리고 관절근육통군 모두에서 연령증가에 따른 발현 증가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2). 2. 관절통군, 근육통군 그리고 관절근육통군 모두에서 성별과 구강악습관에 따른 발현 증가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관절근육통군의 증가율에 비해서 근육통군의 증가율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3). 이상의 연구로 긴장성 두통환자의 임상양상 중 관절통, 근육통 그리고 관절근육통은 성별과의 관계와 구강악습관과의 관계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나이와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 특히 관절근육통군과 근육통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여 연령이 증가될수록 근육통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향후 긴장성 두통의 진단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