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gumental ultrastructur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Surface ultrastructure of Pygidiopsis summa (Digenea: Heterophyidae) adult flukes

  • Chai, Jong-Yil;Sohn, Woon-Mok;Choi, Sung-Yil;Lee, Soon-H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0권3호
    • /
    • pp.107-112
    • /
    • 2002
  •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Pygidiopsis summa (Digenea: Heterophyidae) adults. Metacercariae were collected from gills and muscles of mullets (Mugil cephalus) caught in a known endemic area, and adult flukes were harvested from dogs after 8 weeks of experimental infection. The worm was calabash form with its posterior part broader than the anterior part. Tegumental spines were densely distributed over the body surface, except on the suckers and genital apparatus, and around the excretory pore. Well differentiated spines were observed on the anterior half of the body, with 14-16 tips ventrally, and 19-20 tips dorsally. On the oral sucker. three pairs of type I sensory papillae (uni-ciliated knob-like swellings) and one pair of type II sensory papillae (aciliated round-swellings) were observed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parts of the lip, respectively. On the lip of the ventral sucker, one pair of type II sensory papillae was distributed only on its posterior part. Sperms were seen emerging from or entering into the genital apparat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P. summa was unique among the heterophyid trematodes, especially in digitation of tegumental spines and in distribution of sensory papillae on oral and ventral suckers.

유구낭모충에 관한 연구 -유구낭모충의 미세구조- (Studies on the Bladder Worm, Cysticercus cellulosae -The Ulrastructure of C. cellulosae-)

  • 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75-82
    • /
    • 1983
  • An electron microscopic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basic tegumental structure of Cysticercus cellulosae. The scolex and bladder portions of cysticerci (human and porcine strains) were prepared for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by conventional procedures. In general, the tegument of C. cellulosae showed the basic ultrastructure of cestode tegument on electron micrographs. The teguments of both scolex and bladder portions consisted of such components, i.e., an outer vesicular layer with numerous microtriches and inner filroug layer. Below the fibrous layer, there were layers of muscle bundles and tegumental cells. The microtriches which covered the surface of cysticercus revealed two distinctly different shapes. The characteristic bladder-like, elongated pyramid shaped "tetrahedrial form" was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scolex portion, whereas the elongated cylindrical "filamentous form" was distributed on the stirface of bladder portion. In spite of the difference of isolated host and location, the cysticerci showed tole same result. But dimensional variations of the tegument according to topography of the worm were observ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making differential diagnosis from other larval cestodes and possible functions of this larval tegument were discussed.

  • PDF

Surface ultrastructure of the adult stage of Acanthotrema felis (Trematoda: Heterophyidae)

  • Sohn, Woon-Mok;Seo, Min;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07-111
    • /
    • 2003
  •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Acanthotrema felis (Trematoda: Heterophyidae) adults, recovered from a kitten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worm was leaf-like, ventrally concave and covered with scale-like multi-pointed tegumental spines. The spines on the anterior surface were short but broad, and had 10-12 pointed tips. The cytoplasmic processes protruded around the spines, like pockets for the spines. The ventrogenital opening was crescent, or kidney-shaped, and had protuberances with minute spines on its surrounding tegument. The spines on the posterior surface were long, but narrow, with 6-8 pointed tips. The cytoplasmic processes on this tegument were ridge-like, and elevated along the row of the spines.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A. felis is generally similar to that of other heterophyid flukes, but some features are characteristic, and may be of taxonomic and bio-ecological significance.

참굴큰입흡충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nlcture of metacercaria and adult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nophallidae))

  • 최민호;박원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289-296
    • /
    • 1995
  • 참굴큰입흡충(GMmophoHo썼esseoi)의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큰 구흡반과 측면돌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제1형 감각유두가 구흡반 구순을 따라 원을 이루며 분포하고 있었다. 또, 제1형 감각유두가 유충의 복측 양쪽으로 일렬로 길게 배열되어 있었다. 복흡반의 전방에 위치한 ventral pit는 근육성으로 잘 발달하였고 제1형 감각유두가 밀집해 있었다. 복흡반의 구순에는 제1형 감각유두가 분포하였다. 피극은 구흡반과 복흡반 사이의 복측 중앙부를 제외한 전 표피에 분포하였으며 구흡반 주위에는 3-5분지된 피극이 덮혀 있었으나 후방으로 갈수록 피극의 크기와 밀도가 감소하였다. 감염 3일된 성충은 양 말 단이 뽀쪽한 마름모 모양이었으며 감각유두의 분포는 피낭유충에서 관찰되는 양상과 비슷하였으나 피낭유충에서 관찰런 일렬로 배일과 감각유두는 관찰되지 않았다. 피극은 피낭유충의 경우보다 크기가 더 커지고 많이 분지되었다. Ventral pit는 성충이 되면서 현저하게 발달하였으며 감각유두의 수도 증가하였다. 참굴큰입흡충의 표피 미세구조는 나경흡충과(나경흡충과)의 충체들과 차이점이 있었으며. 피낭유충과 성충의 미세구조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점은 광학현미경에서 관찰된 양상과 비슷하였다. 또 ventral pit의 모양과 감각유두의 분포로 보아 충체가 기생부위에 흡착할 때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만으로는 정확한 기능을 추측하기 어려웠다.

  • PDF

이락촌폐흡충 표피 미세구조의 발육단계별 변화 (Tegumental ultrastructures of Paragonimus iloktsuenensi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 이순형;김상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1989
  • 이락촌폐흡충(Paragonimus iloktsuenensis)의 성장 발육에 따른 표피 미세구조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충체는 말똥게(Sesarma dehaani)에서 분리한 피낭유충과 흰쥐 감염 후 5∼4주에 얻은 유약충 및 감염 8주에 얻은 성충을 대상으로 하였다. 탈낭한 피낭유충은 작은 표주박 모양으로 전신이 상모양의 피극(tegumental spine)으로 덮혀 있었다.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large, non-ciliated round swelling)가 구흡반 주위에 11∼12개, 복흡반 주위에 6∼8개 배열되어 있었다. 감염 2주의 유약충은 홀쭉하고 긴 모양이었고 피극이 피낭유충 보다 덜 밀생하고 있었으며 피극 끝이 2개로 갈라진 것도 관찰되었다. 많은 제 I형 감각 유두 (ciliated knob-like papillae)가 구흡반 주위에 분포하며 대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복흡반 주위에서 관찰되었다. 감염 4주의 유약충은 몸체가 두꺼워졌고 표피에는 3∼5개씩 군집된 피극들이 관찰되었다. 구흡반 및 복홉반 주위에는 제 I형 감각 유두와 소형의 제 II형 감각 유두가 분포하고 있었다. 감염 8주 된 성충은 매우 두꺼운 몸체를 보였고 곰의 발톱처럼 생긴(bearfoot-like) 피극이 전신의 표피에 밀생하고 있었다. 특히 배측에는 자갈 모양의 세포 돌기(cobblestone-like cytoplasmic process) 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고 많은 피극들이 여기에 매몰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락촌폐흡충이 피낭유충에서 유약충 및 성충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 표피의 형태 및 구조도 점차적으로 바뀌며 계속 분화되어 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ercaria caribbea LVIII Cable, 1963 (Digenea: Cyathocotylidae)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Surface Ultrastructure

  • Han, Eun-Taek;Park, Jeong-Hyun;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77-180
    • /
    • 2012
  • Cercaria caribbea LVIII Cable, 1963 (Digenea: Cyathocotylidae) was detected from a brackish water gastropod species (Cerithideopsilla cingulata) in a coatal area of Shinan-gun, Jeollanam-do (Province), the Republic of Korea, and its surface ultrastructure was studi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cercariae were found freely swimming or enveloped within daughter sporocysts when the snail host was mechanically broken. They were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a linguiform and ventrally concave body, a long and bifurcated tail, and the presence of a holdfast (=tribocytic) organ posterior to the ventral sucker. On the whole ventral and dorsal surfaces, peg-like tegumental spines were densely distributed. Around the oral sucker, several sensory papillae, each with a short cilium, were distributed, and on the tail, sensory papillae, each with an extensively long cilium, were observed. This is the first record describing a cyathocotylid cercaria from a brackish water gastropod in the Republic of Korea.

면역황금표지법에 의한 일록춘폐흡충의 발육단계별 항원성부위 (Ultrastructural antigenic localization in Paragonimus iloktsuenesis during developmental stage by immunogold labeling method)

  • 김훈식;이옥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65-376
    • /
    • 1995
  • 일록춘폐흡충(Poragonimus iloktsuenensis)의 표피층, 장상피층 및 난황선의 조직항원 성을 발육단계별로, 면역황금표지법(immunogoldlabelingmethod)으로 관찰하였다. 일록춘폐흡충 으로 감염건 횐쥐(Sprague-Dawley)로 부터, 감염후 2주 3주, 4주, 5주 및 33주에 적출한 충체를 항원으로 사용하였고, 감염 후 10주의 흰쥐혈청을 항체로 사용하였다 조직항원성은 조직에 표지된 황금입자로 판정하였다. 표피층은 유약충으로부터 성충에 이르는 발육과정중 전반적으로 황금입자 표지가 많지 않았고 충체가 성숙되어감에 따라서 황금입자 표지가 다소 드물어지는 경향이 있었으나, 충체 개체별 항원 강도에 차이가 많았다. 장상피층과 난황선은 충체의 발육단계에 관계없이 많은 수의 황금입자가 표지되어 강한 항원성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결과, 일록춘폐흡충의 표피층 장강피층, 및 난황선은 중요한 조직항원 부위로 보이나, 표피층은 항원성이 낮은 편이고, 발육단계 및 개체별로 항인강도에 차이가 있었다. 장상피층 및 난황선도 개체별로 황금입자 표지강포에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충체의 발육단계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강한 항원성이 유지되는 조직부위로 보인다.

  • PDF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한 폐흡충의 유약함충 조직내 항원성 부위에 관한 연구 (Antigenic localities in the tissues of the young adult worm of Paragonimus westermani using immunogold labeling method)

  • 권오성;이준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31-42
    • /
    • 1991
  • 폐흡충(Paragonimus westermani)에 감염된 숙주에 대해 항체 생성을 유도하는 물질이 분포하고 있는 부위를 화인하기 위하여 대조군의 IgG와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의 특이 IgG를 폐흡충 유약성충 조직에 반응시키고 면역황금표식법을 이용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의 IgG를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층은 표피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포함된 표피 합포체로 구성되어 기저층과 분명하게 구별되었으며 근육층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난황세포는 크기가 다양한 분비과립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특히 조면소포체가 발달되어 있었다. 맹관의 막구조물은 잘 발달되었으며 장상피 합포체도 잘 발달되어 있었다. 한펀, 폐흡충에 감염된 실험동물의 특이 항체로 반응시킨 유약성충 표피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의 세포질에 황금입자의 매우 특이적인 표식가 관찰되었고 난황세포에서는 분필과립에 황금 입자가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맹관 상피 합포체는 미약하게 황금 표지가 되었고 맹관 막구조물과 맹관 내강에도 특이하게 황금 표지가 관찰되었지만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보다 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폐홉충에 감염된 실험 개는 폐흡충의 표피 합포체와 표피세포에서 생성된 물질과 난황세포에서 생성된 물질에 의하여 면역항체가 형성되며 일부는 맹관 내용물에 의해 약간의 면역항체가 유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Fibricola seouenis 표피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ultastructure of the tegument of Fibricola seoulenis)

  • 손운목;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01-314
    • /
    • 1993
  • Fibricola seodenis(Trematoda: Diplostomidae)의 표피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표피는 3중막(trilaminated)의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원형질층의 기질에는 공포(vacuole)와 사립체(mitochondria) 및 과립성 물질들이 많이 내포되어 있었다. 전자밀도가 낮은 기저층은 폭이 약 330 nm이었으며 원형질층내로 무수히 많은 돌기들을 내고 있었다. 감각기는 주머니 형태로 원형질층내에 매몰되어 있었으며 원형질층의 바깥으로 $12{\;}{\times}{\;}0.19{\;}\mu\textrm{m}$ 크기의 섬모를 내고 있었다. 인두는 내강을 중심으로 양쪽에 $0.5{\;}\mu\textrm{m}$ 내외의 상피층과 보다 발달된 기저층 및 근육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우넛 모양인 흡반은 내강을 둘러싸는 폭 $0.4-0.5{\;}\mu\textrm{m}$인 원형질층, 기저층 및 잘 발달된 근육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흡반 근처의 원형질 및 실질내에서 4종류의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Tribocytic organ에는 폭이 5 nm 내외이며 7중막(heptalaminated)의 층상 구조인 미세응모가 작은 방의 형태로 분포하였고 내부에서 미세응모 쪽으로 나와 있는 관에는 크고 작은 2가지형의 분비과립들이 들어 있었으며 그 주위에는 길쭉한 사립체들이 다수 분포하였다. 실질내의 세포들은 비정형이었으며 핵들의 형태도 다양하였다.

  • PDF

폐흡충 표피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 of Adult Paragonimus westermani)

  • 최원영;유재을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11-122
    • /
    • 1985
  • 1. 주사전자현미경 관찰로 체표면은 굴곡에 의한 많은 돌기로서 소위 자갈밭모양의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피극들과 유두가 체표면에 돌출하고 있었는데 피극은 끝이 하나로 되어있고 충체후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었다. 그중 구흡반과 복흡반의 융기부에 있는 피극은 작았으며 선단이 몇 갈래로 갈라져 있었고 또 밀집되어 있었다. 2. 유두는 표피가 반구형으로 돌출하고 있었고, 중앙에 하나의 직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두는 단독이거나 또는 여러개가 모여 있는 것 또는 여러개가 뭉쳐서 큰 융기를 이루고 있는 등 그 모양이 다양하였다. 구흡반이나 복흡반상에 있는 유두는 타부위보다 매우 큰 유두가 있었고 여러개가 뭉쳐있는 것이 많았다. 3. 투과전자현미경 관찰로는 표피는 전자밀도가 높은 표피층으로 덮혀있었고 표피층의 유리면과 기저면은 모두 원형질막으로 싸여 있었다. 표피층의 두께는 특히 구흡반과 반흡반 사이가 두터웠다. 표피층내에는 사립체, 소포체, 공포 그리고 구형 및 관상과립이 관찰되었다. 5. 피극은 표피층의 기저면의 원형질막에서 시작하여 외부로 돌출하였는데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무정형의 구조물로 되어 있었다. 또한 구형질의 주의의 표피층에서는 복경체가 발견되었다. 5. 표피층 아래로 기저면의 원형질막에 련해서 기저막이 있고 그 아래로 소성결합조직이 있고 그 아래로 근육층, 그리고 그 밑에 유연조직이 있으며 그 속에 표피세포가 있었다. 또한 이 표피세포와 표피층은 전형질돌기로 연결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